주간 정덕현

이서진과 박하선, 왕족은 웃음도 달라 본문

옛글들/명랑TV

이서진과 박하선, 왕족은 웃음도 달라

D.H.Jung 2012. 1. 18. 09:40
728x90


사극의 그들, 예능에서 주목되는 이유

'1박2일'(사진출처:KBS)

우리가 알고 있던 이서진의 모습은 사극 속의 왕이 대부분이다. 반듯한 이미지에 신뢰 가는 목소리로 차분하게 대사를 던지는 이서진에게서는 진짜 '왕족'의 아우라가 느껴지곤 했다. 그런 그였기에 그 반전이 주는 웃음도 클 수밖에 없었을 게다. '1박2일' 절친 특집에 이승기의 초대로 출연한 이서진은 지금껏 궁 안(?)에서 보여주던 반듯함을 깨고, 은근히 승부욕 있고, 은근히 폼생폼사하며, 은근히 성깔 있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미대형(미대 다니는 형)'이란 캐릭터를 만들어냈다.

물론 이런 '미대형'이란 캐릭터가 창출된 것은 거기 혹한기 실전캠프를 함께 한 '1박2일' 멤버들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다. 그들은 이서진의 야생에서도 어딘지 도도하려 하고, 하지만 그게 가능하지 않은 상황에서 순간순간 드러나는 그의 맨 얼굴을 찾아내며 '미대형'이란 캐릭터로 추켜세웠다. 여기에 족구 게임이나 아침 기상 미션에서 군고구마 빨리 먹기 게임을 하는 장면 등에서 이서진의 면면을 편집 장면으로 집중시킴으로써 그 캐릭터는 더 부각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주변인물들의 도움과 편집이 있었다고 해도 이런 캐릭터가 생길 수 있었던 것은 결국 이서진이라는 독특한 인물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다. 많은 이들이 드라마 속의 반듯한 이미지만을 떠올릴 지 모르지만, 사극이라는 제작 환경은 '1박2일'의 야생보다 더 생야생인 경우가 많다. 혹한에도 야전에서 잠 못 자며 몸으로 부딪치며 촬영해야 하는 그들이지만, 막상 카메라가 돌아가면 캐릭터에 맞게 반듯한 이미지를 고수하는 것이 그들의 직업이다. 그러니 '혹한기 실전 캠프'에서의 이서진 같은 캐릭터가 가능한 것이다. 힘겨워도 카메라가 돌면 그 누구보다 열심이고, 투덜대다가도 일단 시키면 군말 없이 잘 하는 그런 캐릭터. 그러면서도 어딘지 캐릭터가 주는 아우라를 카메라 바깥에서도 지키려는 모습. '미대형'은 그렇게 탄생된 캐릭터다.

사극에서 반듯한 이미지를 선보이다가 예능(시트콤을 포함한)에서 주목받는 이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그 아우라가 깨지면서 주는 웃음이 있다는 점이다.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이 발굴한 최고의 유망주 박하선이 대표적이다. 이 시트콤에 출연하기 이전에 박하선에 대한 대중들의 선입견은 '동이'의 인현왕후 이미지였다. 고고하면서도 위엄이 있고 자애롭기까지 한 그 이미지. 하지만 그 이미지는 이 시트콤에서 때론 급 흥분하는 모습, 당황해 어쩔 줄 모르는 모습, 때로는 '롤리폴리'를 추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깨져버렸다. 그만큼 대중들의 호응도 커졌다. 아우라의 파괴를 통한 웃음이 가져오는 힘이다.

흥미로운 건 이렇게 다른 작품 혹은 예능 프로그램을 통해 제 아무리 아우라를 파괴시킨다고 해도 그것이 완전히 소진되거나 사라지는 게 아니라 여전히 대중들의 뇌리에 그 잔상이 남아있다는 것이다. 즉 순간적인 아우라의 파괴는 그들의 전혀 다른 이미지를 보여줌으로써 웃음을 주지만, 곧 다시 평소대로의 얼굴로 돌아가면 예전 왕과 왕후로서 근엄했던 이미지로 되돌아간다. 즉 이들이 아우라의 파괴로 보여준 인간적인 모습은 하나의 부가된 이미지이지 과거 이미지를 완전히 탈피하게 만드는 건 아니라는 얘기다.

이 지점에서 신비로운 느낌이 생겨난다. 즉 어떨 때는 인간 세상으로 내려앉은 듯한(?) 우리와 다를 바 없는 면모에서 일종의 통쾌함을 느끼다가도 어느 순간 다시 제 자리로 돌아갔을 때 그 변함없는 고고함이 공존하는 느낌이다. "도대체 누구냐 넌?"하고 묻는 이유는 바로 그 신비로운 이미지의 체험을 순간 이들에게 느끼기 때문이다. 아무래도 사극이 갖는 힘이 클 것이다. 그 야전의 제작환경 속에서도 근엄함을 잊지 않아야 하는 그 경험치는 예능의 맨 얼굴과 만났을 때 그만큼 큰 반전을 주기 마련이다. 게다가 휘발되지 않고 다시 본래의 아우라로 돌아가는 이미지라니. 어찌 신비하게 느껴지지 않겠는가. 이서진과 박하선, 역시 왕족(?)이 주는 웃음은 뭔가 달라도 다른 모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