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의드의 계보에서 '브레인'이 성취한 것

728x90


의사가 환자라니... '브레인'의 기막힌 설정

'브레인'(사진출처:KBS)

초기 의학드라마에서 의사들의 이야기는 비판받을 소지가 다분했다. 전문적인 소양 없이 주로 멜로가 중심이 되다보니 '가운입고 연애하는' 무늬만 의학드라마들이 양산되었기 때문이다. '종합병원'이 호평 받은 것은 좀 더 디테일한 병원의 이야기들이 전문적인 느낌을 주었기 때문이다. 의사들의 멜로는 여기서도 빠질 수 없었지만, 그래도 다양한 병과 그 병을 앓고 치유하고 이겨내는 환자들의 이야기가 풍부했기 때문에 '무늬만 의학드라마'와는 확실한 차별화를 이루었다.

하지만 환자들의 이야기를 미니시리즈로 다루는 것에는 한 가지 한계가 있었다. 그것은 결국 에피소드별로 이야기가 뚝뚝 끊어지게 된다는 점이다. 이것은 드라마가 어떤 흐름을 타야 시청자들의 이목을 지속적으로 잡아 끌 수 있다는 점에서 한계로 지목되었다. 대안으로 등장한 것은 의사를 다시 중심에 세우는 것이었다. 물론 이들은 과거처럼 연애만 하는 의사가 아니다. 진지한 의사로서의 고민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하얀거탑'은 의사라는 직업을 통해 좀 더 보편적인 조직생활의 정치와 시스템, 그리고 그 속에 서게 되는 한 개인의 욕망과 좌절을 담아냈다. '외과의사 봉달희'는 봉달희라는 의사가 병원에서 겪는 다양한 경험을 통해 성장해나가는 과정을 다루었다. 그 후에 의학드라마는 '뉴하트', '종합병원2'처럼 다시 과거 환자 중심의 이야기로 회귀한 듯 했다. 그 와중에 '카인과 아벨' 같은 액션과 복수극이 뒤섞인 특이한 의학드라마가 등장하긴 했지만 어딘지 의학드라마는 정체기를 맞이한 듯 했다. 적어도 '브레인'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말이다.

'브레인'의 초기 반응이 소소했던 것은 이 의학드라마가 후반부에 보여줄 반전을 내내 숨기고 있었기 때문이다. '브레인'은 그저 '하얀거탑'처럼 뇌수술 전문의들의 성공을 향한 욕망을 다루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중간부터 그 진면목을 드러내면서 '브레인'은 반전을 시작했다. 이 드라마는 내내 이강훈(신하균)이나 김상철(정진영) 같은 의사들이 환자를 수술하는 장면들을 마치 대결하듯 그려 넣고 있지만, 실상 그리려는 것은 바로 이들 의사가 갖고 있는 트라우마였던 것.

즉 의사가 환자가 되는 이 기막힌 설정은 과거 김상철이 이강훈의 아버지 수술에 욕심을 내다 죽음에 이르게 만든 사건에서 비롯된다. 이 사건은 이강훈과 김상철을 모두 트라우마를 갖게 되는 환자로 만들어버린다. 김상철은 그 아픈 상처를 잊기 위해 스스로 기억을 지워버리고(없는 일처럼 살아간다), 이강훈은 실력에 대한 집착(진짜 실력을 갖는 것과 그것을 인정받는 것)을 갖게 된다. 흥미로운 것은 이 과거의 사건이 이강훈의 어머니를 통해 다시 현재로 환기된다는 점이다. 뇌 질환을 가진 이강훈의 어머니에 대해 이강훈은 집착을 드러내고(결국 김상철이 과거에 했던 그 경험을 하게 된다), 김상철은 덮어버렸던 기억이 되살아난다.

김상철이 스스로 이강훈에게 "내가 살인자임을 증명하지 않고 도망치느냐?"고 묻는 장면은 그래서 기묘하다. 그것은 마치 환자가 의사를 붙잡는 듯한 인상을 주기 때문이다. 이강훈이 모든 사실을 밝혀내고 김상철이 가진 죄를 묻는 그 과정은 어찌 보면, 이강훈이라는 의사가 김상철이라는 환자의 뇌질환(기억의 문제)을 수술하는 과정처럼 보인다. 따라서 '브레인'이 수술하고 있는 것은 단지 환자들만이 아니다. 거기 의사들의 기억에 종양처럼 자라고 있는 트라우마와 죄책감이 바로 '브레인'이 진짜 수술하려는 병변이다.

'브레인'이 다소 괴기스럽고 때로는 감정 과잉의 의사들의 면면을 드러내는 건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그들은 아픈 기억을 앓는 환자들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것은 '브레인'이 기존 의학드라마의 계보에서 성취하고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의사가 갖는 병에 대한 진지한 접근, 그로 인해 우리 모두가 겪을 수 있는 기억의 보편적 문제로 의학드라마의 지평을 넓힌 것. '브레인'의 가치는 여기서 발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