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신이 귀여울 정도로 인간은 무서웠다
여름철 납량특집 하면 딱 떠오르는 건? <전설의 고향> 같은 귀신 나오는 공포물이 아닐까. 하지만 최근 들어 이건 옛말이 되어가고 있는 것 같다. 공포물 자체가 방영되지 않는 상황이고 그 중에서도 귀신 얘기는 더더욱 찾아보기 어렵게 됐다. 물론 올해는 런던 올림픽이 있었기 때문에 자정부터 새벽까지 납량특집이 편성될 시간조차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작금의 공포물을 찾아보기 힘든 원인은 이런 시의적인 이유 때문만이 아니다. 거기에는 공포물을 바라보는 대중들의 달라진 시선이 존재한다.
'아랑사또전'(사진출처:MBC)
한국형 공포물의 대명사였던 <전설의 고향>은 1977년부터 1989년까지 무려 12년 간 578회를 방영하다가 종영했다. 그러다 1996년에 다시 방영이 재개돼서 1999년까지 방영되었고, 그 후로는 여름 시즌 납량특집으로 2008년에 8편, 2009년에 10편이 방영되었다. 이렇게 장구한 세월동안 명맥을 이어왔던 ‘전설의 고향’이 2009년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방영되고 있지 않다는 것은 현재의 TV 공포물이 처한 위치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확실히 시대는 바뀌었다. 귀신은 그 자체로 더 이상 우리에게 무서운 존재가 아니다.
최근 방영되고 있는 <아랑사또전>은 본래 <전설의 고향>에서도 자주 다루어졌던 이야기다. 어느 고을에 사또가 부임하면 바로 죽어버리는 사건들이 반복되고 나중에 담이 센 사또가 부임해 알고 보니 원한을 가진 처녀귀신의 사연을 듣게 되는 이야기. 결국 사또가 억울한 원혼을 달래주고 고을은 평화를 찾는다는 그런 얘기다. 이 <전설의 고향>에서 공포물로 다뤄졌던 소재가 <아랑사또전>에서는 코믹으로 다뤄진다. 귀신 아랑은 무섭긴 커녕 귀엽고 웃기기까지 한 캐릭터다.
이러한 귀신 캐릭터의 변화는 <전설의 고향>이 내세웠던 공포의 대명사인 구미호가 최근 어떻게 바뀌었는가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내 여자 친구는 구미호>나 최근 방영되고 있는 시트콤인 <천 번째 남자>에 등장하는 구미호들은 코믹하고 사랑스러운 존재로 등장한다. 본래 공포물이란 그 안에 사회의 억압된 부분을 담기 마련이다. 그 억압이 귀신이나 이상한 존재들을 통해 드러나는 것인데 구미호도 그런 존재다.
1970년대에 고부갈등 속에서 초창기 구미호가 열렬한 환호를 받았던 것은 당대 여성들의 억압과 해방이 그 특별한 공포 속에 내재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구미호는 알다시피 맘만 먹으면 누구라도 변신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그런 구미호가 왜 굳이 사람이 되려 할까. 그것도 한 사람의 아내가. 이것은 다분히 전통적인 사회의 가부장적이고 보수적인 가치관이 반영된 결과다. 당대의 구미호는 이런 식으로 가부장적인 사회에서의 여성들을 그대로 대변하기도 했다.
즉 당대의 며느리들은 구미호를 통해 잠시 억압의 탈출을 경험하게 된 셈이다. 하지만 지금은 가부장적 사회의 단면이 고부갈등으로 표출되던 1970년대가 아니다. 그러니 '구미호'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2010년도에 재해석된 '구미호 여우누이뎐'에서는 구미호보다 더 무서운 인간이 등장한다. 자신의 딸을 살리기 위해 구미호의 간을 빼먹으려는 인간이 등장하는 것. 즉 21세기 가장 무섭고 억압적인 존재는 더 이상 귀신이 아니라 인간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그러다 이제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 같은 작품으로 와서는 이런 억압이 별로 보이지 않는다. 다만 우리와 다른 존재의 대변자로서 구미호와 인간이 공존하는 이야기가 다뤄진다. 이것은 구미호의 새로운 해석이다. 다양한 종족이 함께 살아가는 이야기는 지구촌화된 세상에 새로운 가치로 등장한다. 구미호 이야기는 이제 서로 다른 인종과 국가를 가진 이들이 서로 공존의 길을 찾는 그 보편적인 가치의 이야기로 재해석된다.
그렇다면 이제 달라진 시대에 공포물이란 더 이상 불필요한 것이 된 것일까. 그렇지 않다. 다만 귀신같은 황당한 이야기로서의 공포물이 아니라 좀 더 현실적인 공포를 다루게 될 거라는 얘기다. 즉 이야기로서의 공포보다 더 무서운 것이 사회적 공포라는 것을 대중들은 이제 느끼고 있는 것 같다. 올 상반기 드라마에서 대중들을 열광시켰던 ‘추적자’나 ‘유령’ 같은 드라마는 그 기저에 공포물의 감성을 담고 있다. 즉 사회 권력에 의해 벼랑 끝으로 몰리게 되는 개인의 공포를 다룬 것이 바로 ‘추적자’다. 또 ‘유령’은 개인 사찰의 문제라든가, 사이버 테러가 주는 공포를 다뤘다고 볼 수 있다.
즉 이 사회적 공포는 권력과 관련을 맺는다는 점에서 사회극의 성격을 띠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이렇게 보면 공포물이 사회극과 이란성 쌍둥이라는 걸 알 수 있다. 물론 ‘여고괴담’류의 귀신 이야기는 여전히 섬뜩하지만 그것이 섬뜩한 진짜 이유는 귀신이 있기 때문이 아니라 그 여고생들이 처한 현실 상황이 끔찍하기 때문이다. 그만큼 최근의 공포물들은 이야기 자체의 공포가 아닌 사회적인 공포에 더 많이 천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요즘의 공포는 확실히 사건 사고가 주는 공포가 더 크게 되었다. 워낙 끔찍한 사건 사고가 현실에 많다 보니 귀신 이야기 같은 것은 오히려 너무 약한 이야기로 여겨지게 된 것. 씁쓸한 현실이다.
길거리에서 벌어지는 묻지마 폭행, 비정규직이라는 위치를 악용해 벌어지는 성폭력, 마치 장난처럼 벌어지는 왕따 놀이, 그로 인해 생기는 비극들... 이것이 우리를 귀신이야기쯤은 귀여운 것으로 여겨지게 만드는 사회적 공포다. 이것이 작금의 달라진 공포물 얘기를 하다 보면 귀신보다 무서운 게 인간이라는 씁쓸한 현실을 발견하게 되는 이유다. 도대체 무엇이 우리 인간 사회를 이토록 공포스럽게 만들어버린 걸까. 귀신이 오히려 귀여워지고 공포물이 사회에서 벌어지는 사건 사고로 채워지는 이 경향은 우리네 현실의 살풍경을 잘 말해준다. 안타까운 일이다.
'옛글들 > 네모난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대중들은 은정에 동정하지 않을까 (3) | 2012.08.30 |
---|---|
그 누가 카라를 친일로 내모나 (1) | 2012.08.29 |
올림픽 보다 드라마를 더 많이 본 이유 (0) | 2012.08.06 |
양승은 아나운서, 왜 비난받을까 (0) | 2012.08.04 |
배수정 발언이 끄집어낸 연예인 국적 문제 (30) | 2012.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