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슈스케4', 로이킴 우승과 달라진 대중정서

728x90

로이킴은 어떻게 <슈퍼스타K4>가 되었나

 

간발의 문자투표 차이로 로이킴이 딕펑스를 이기고 <슈퍼스타K4>가 되었다. 우승과 준우승을 가른 표 차이는 실로 미미했다. 당일 심사위원 점수는 283점으로 둘 다 똑같았고 인터넷 점수는 로이킴(90점)이 딕펑스(100점)보다 10점 낮았지만 당일 투표점수는 로이킴(600점)이 딕펑스(588)보다 12점이 많았다. 결과적으로 2점 차이로 로이킴이 우승을 거머쥐게 되었다.

 

'슈퍼스타K4'(사진출처:mnet)

너무 미소한 차이였기 때문에 딕펑스를 응원하는 팬들에게는 이 결과가 자못 아쉬울 수밖에 없었을 게다. 심사위원 점수가 똑같았다는 것에 대해 일부 팬들이 의혹을 제기하는 것도 그런 맥락일 것이다. 하지만 결국 당락을 결정지은 것은 문자 투표였기 때문에 심사위원 점수가 같다고 해서 그것이 어떤 의도를 갖고 있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다만 아쉽다는 표현일 것이다.

 

이번 시즌은 유독 역대 그 어떤 <슈퍼스타K>보다 그 오디션의 승패를 예측하기가 어려웠던 게 사실이다. 의외의 결과 때문에 심사방식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 정준영은 그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top6에서 음 이탈을 하고도 붙었을 때는 왜 붙였느냐는 논란이 생겼지만 상대적으로 잘했던 top3에서 떨어졌을 때는 또 왜 떨어뜨렸느냐는 말이 나오기도 했다.

 

그런데 사실 붙고 떨어지는 것은 심사방식을 통해 알 수 있듯이 거의 문자투표에 의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제작진이나 심사위원은 그 가이드라인 정도를 제시할 수 있을 뿐이다. 들리는 바로는 이번 본선 무대의 결과에 대해서 제작진들 역시 곤혹스러움을 느꼈다고 한다. 제작진들도 나름 이런 친구가 올라가면 방송에 더 유리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 지난 시즌에는 거의 대부분 그 예측이 맞아떨어졌는데 올해는 도무지 종잡을 수가 없었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도대체 무엇이 이런 상황을 만들었을까. 가장 중요한 것은 대중들이 오디션 프로그램을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졌다는 점이다. <슈퍼스타K>를 가장 대중적인 오디션 프로그램으로 세운 시즌2에서 허각이 보여준 것은 실력, 그 중에서도 가창력이었다. 허각 신드롬까지 생겼던 것은 그가 공정하지 못한 세상에서 뛰어난 실력을 가진 인물로 비춰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당시 <슈퍼스타K2>의 판타지는 그 무대가 현실과는 달리 공정하다는 것에서 비롯되었다. 그 공정함 위에 오로지 실력만으로 겨루는 그 과정에 대중들은 매료되었던 것.

 

그리고 2년이 지난 지금은 어떨까. 대중들은 그 실력, 즉 가창력 대결 자체를 피곤해하고 있다. <나는 가수다>, <불후의 명곡2>, <위대한 탄생>, <탑밴드>, <K팝스타> 등등 무수히 많은 오디션 프로그램들이 쏟아져 나오면서 끝이 보이지 않는 몇 단 고음을 치는 가창력의 소유자들이 부지기수로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처음에는 놀라웠지만(<나는 가수다>가 대표적이다) 차츰 식상해졌다. 성대 대결에 대한 대중들의 혐오는 그렇게 서서히 음악에서의 실력이 단지 가창력(고음이나 음정 리듬감 같은)만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차리는 데서부터 비롯되었다.

 

가창력이 아니면 그럼 무엇일까. 흥미롭게도 유독 심사결과에 대해 논란이 많았던 올해 <슈퍼스타K4>는 이런 변화를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었다. top12 안에는 실로 다양한 개성의 인물군들이 들어 있었다. 연규성이나 홍대광처럼 강력한 스토리를 바탕으로 뛰어난 가창력을 가진 후보들이 있는 반면, 유승우나 김정환처럼 노래보다는 작곡이나 편곡에 능한 아티스트도 있었다. 정준영처럼 하나의 스타일이 압도적인 경쟁력이 되는 인물도 있었고, 가창력은 떨어지지만 연주와 아이디어로 승부한 딕펑스 같은 밴드도 있었다.

 

즉 이렇게 다양한 개성을 가진 인물들을 한 무대에 세워서 오로지 실력만으로(그 실력의 기준을 대중들은 여전히 가창력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그 우위를 판단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대중들은 결국 자신들이 좋아하는 취향대로 투표할 수밖에 없다. 여전히 가창력을 우선으로 생각한다면 홍대광에게 투표했을 가능성이 높고, 스타성을 우선으로 생각한다면 정준영을 더 선호했을 가능성이 높다. 무언가 창의적인 무대 퍼포먼스에 더 치중하는 대중이라면 딕펑스에 열광했을 것이다. <슈퍼스타K>라는 한 무대에 서 있다고 해서 그들을 이제 유일한 하나의 잣대로 판단할 수 있는 그런 상황이 이제는 더 이상 아니라는 것이다.

 

가창력 하나를 잣대로 보던 데서 이제 우리의 시선은 음악의 다양한 면들로 돌려지고 있다. 이 과도기적인 상황은 당연히 논란을 만들 수밖에 없다. 그 속에서 로이킴이 우승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상대적으로 괜찮은 가창력에 좋은 스타성 그리고 아티스트적인 이미지까지 두루 갖추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정준영과 대결해도 스타성에 덧붙여 노래 실력이 더 좋아 보이고, 딕펑스와 대결해도 괜찮은 무대 퍼포먼스(비주얼만으로도!)를 보여준다. 홍대광이 확실한 스토리를 가졌다면, 로이킴은 거꾸로 곡절 없는 그 엄친아 스토리가 있다.

 

즉 로이킴의 우승은 각각의 개성을 가진 경쟁자들과 비교해 그들에게 없는 한 가지씩을 가졌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따라서 로이킴이 우승했다고 해서 다른 경쟁자들보다 모든 면에서 우위에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다양성의 관점으로 보면 무대 퍼포먼스는 확실히 딕펑스가 좋고, 스타성은 여전히 정준영이 낫다고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보면 이번 <슈퍼스타K4>의 본선 무대에 오른 top12가 모두 우승자나 마찬가지다. 그들은 자신들이 가진 개성에 있어서는 확실히 인정받은 셈이니까.

 

로이킴의 우승 사실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렇게 달라져가는 대중정서 속에서 <슈퍼스타K>가 대중들에게 주는 판타지도 달라졌다는 점이다. <슈퍼스타K2>가 공평하지 않은 현실에서 공정한 무대를 세움으로써 판타지를 주었다면, <슈퍼스타K4>는 단지 타고난 가창력만이 아닌 다양한 음악적 개성들이 무대에 설 수 있는 기회로서의 판타지를 제공했다. 일반인들은 그 무대를 보면서 뭔가 자신이 부족해도 자기가 가진 개성을 창의적으로 개발하는 것을 통해 최고의 위치에 오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았을 것이다.

 

이것은 오디션 프로그램을 보는 대중정서의 반영이면서, 또한 최근 오디션 프로그램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제 오디션 프로그램들은 가창력에서 개성적인 목소리와 끼의 소유자들을 찾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다. 오디션 프로그램이 한 물 갔다는 얘기가 나오는 그 지점에서 새로운 판타지로 무장한 오디션 제 2기가 열리고 있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