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푸른거탑'식 군대 이야기에 열광하는 이유

728x90

<푸른거탑>과 <레밀리터리블>의 성공 요인

 

군대 이야기만큼 닳고 닳은 소재가 없지만, 이 이야기만큼 공감가고 관심이 가는 소재도 없다. 대한민국의 건장한 남자라면 누구나 한번쯤 경험해봤을 이야기들. 그래서 흔해 빠질 수밖에 없는 군대 이야기의 관건은 어떻게 스토리텔링을 할 것인가가 된다. 똑같은 군대 이야기라도 어떤 이들은 군대 문턱에도 가보지 않았던 여성들의 귀까지 쫑긋 세우게 만들지만, 어떤 이들은 지겹게 들은 이야기의 반복으로 여겨지게 만들기도 한다. tvN의 <푸른거탑>과 공군에서 <레미제라블>을 패러디해 만들어 뉴욕타임스나 월스트리트저널 같은 미국 언론에도 호평을 받은 <레밀리터리블>의 성공은 바로 이 스토리텔링의 묘미를 제대로 살려낸 데 있다.

 

'푸른거탑'(사진출처:tvN)

군대 이야기의 대부분은 과장이 들어갈 수밖에 없다. 혹한기 훈련을 이야기 하며 오줌만 눠도 얼음이 얼더라는 식의 과장은 당연한 군대 이야기의 양념처럼 들어간다. <푸른거탑>에서 혹한기 훈련을 하며 꽁꽁 얼어버린 야전 화장실의 분변을 곡괭이로 깨며 “젠장 말년에 곡괭이로 언 응가를 깨고 있다니!”라고 외치는 최병장(최종훈)의 한 마디에 어찌 빵 터지지 않을 수 있을까. 혹한기 훈련이라는 무언가 대단한 일을 하는 것 같지만 그것이 결국 ‘변의 전쟁’ 같은 엉뚱한 일로 비화될 때 웃음은 터질 수밖에 없다.

 

귤 풍년이 군대에 몇 박스씩 들어온 귤을 다 먹어치워야 하는 상황으로 해석되고, 태권도 단증을 따기 위해 마치 ‘바람의 파이터’처럼 단련을 하며, 군대에 뒤늦게 들어온 나이 많은 신병이 알고 보니 옛 은사였다는 식의 시퀀스는 군대 이야기에서 빠질 수 없는 것들이지만, <푸른거탑> 특유의 과장된 연출로 웃음을 만들어낸다. 드라마 <하얀거탑>의 패러디는 그 OST를 까는 것만으로도 <푸른거탑>에 충분한 효과를 준다.

 

코미디적인 상황을 가장 잘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이 결국 ‘서열’ 문화라고 볼 때, <푸른거탑>의 군대나 <하얀거탑>의 의사사회는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다. 즉 <하얀거탑>이 그 서열의 권력구조를 심각하고 진지하게 다룸으로써 시청자들을 몰입시켰다면, <푸른거탑>은 그 서열 사회를 풍자하고 과장함으로써 웃음을 주는 식이다. <유머일번지>의 ‘동작그만’ 같은 코너를 통해 계급 사회로서의 군대는 그 자체로 웃음의 단골소재로 활용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그 많던 조폭개그나 기업의 서열개그(이를테면 ‘갑을컴퍼니’ 같은) 역시 이 군대 개그가 가진 계급 사회 뒤집기의 연장선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힘들었던 군대 시절의 이야기는 회고담 형식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늘 기억의 왜곡을 만들어낸다. 다만 그 왜곡이 한 사람만의 것이 아니라 집단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군대 이야기의 과장은 어떨 때는 터무니없는 것이면서도 너무나 진지하게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바로 이 지점을 확대해서 보여주는 것이 <푸른거탑>의 웃음 포인트가 되는 셈이다.

 

하지만 어디 군대 이야기가 그저 웃음뿐일까. 군대 이야기만큼 눈물 나는 이야기도 없다. 그것을 잘 보여준 에피소드가 명절에 어머니의 부음을 듣게 된 백봉기 일병의 이야기다. 군대에서 명절 때가 되면 더더욱 그리워지는 얼굴이 바로 어머니라는 점에서 이 에피소드는 많은 이들의 큰 공감을 얻을 수 있었다.

 

한편 <레밀리터리블>은 전 세계적인 열풍을 일으킨 <레미제라블>이라는 보편적인 콘텐츠를 분단국가인 우리의 군대이야기(그것도 제설작업)라는 특수성으로 해석해냄으로써 유튜브를 타고 글로벌한(?) 인기를 얻을 수 있었다. 아예 자막처리가 되어 있다는 점이나 유튜브 같은 신매체를 활용했다는 점은 아예 글로벌한 접근을 의도했다고도 볼 수 있다. 의외로 진지하고 잘 짜여진 음악적 구성은 그것이 군인이 하고 있는 것이라는 점에서 반전의 힘을 발휘한다.

 

끝도 없는 활주로 제설작업을 하는 이등병을 장발장으로, 눈길을 뚫고 달려온 여자친구를 코제트로, 또 이들 사이를 가로막고 제설작업을 요구하는 당직사관을 자베르로 패러디한 점은 실로 절묘하다. 이미 유튜브 조회수 300만 건을 돌파한 이 패러디 동영상은 영화 <레미제라블>에서 자베르 경감 역을 맡았던 러셀 크로우가 자신의 트위터에서 리트윗하면서 해외의 관심이 급증했다고 한다. <레밀리터리블>은 군복에 가려진 군인들이 보여준 창의적인 작업이라는 점에서도 그 의미가 새롭다.

 

한없이 웃기다가도 때론 한없이 슬퍼지는 <푸른거탑>이나, 제설작업이라는 군대의 상황을 <레미제라블> 콘텐츠로 패러디해낸 <레밀리터리블>은 모두 군대 이야기라는 닳고 닳은 소재도 어떻게 스토리텔링 하느냐에 따라 완전히 다른 콘텐츠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짧지만 강력한 <푸른거탑>의 에피소드들이나 <레밀리터리블> 같은 동영상은 그래서 이미 많이 차용된 이야기 소재들이라고 해서 모두 식상한 콘텐츠가 될 것이라는 섣부른 오해를 불식시키기에 충분하다. 관건은 결국 스토리가 아니라 텔링에 있는 것이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