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 <화신> 김희선을 편안하게 했을까
김희선이 <화신>이라는 새로운 토크쇼에 들어온다고 했을 때 가장 먼저 비교대상으로 떠오른 인물은 고현정이었다. 과연 김희선은 <고쇼>의 고현정과는 다른 길을 걸을 수 있을까. 물론 <고쇼>도 나름대로 고현정의 새로운 면모를 볼 수 있는 토크쇼였지만 그다지 성공적이라 평하기는 어렵다. 시청률이 문제가 아니라 고현정이라는 메인 MC의 매력이 생각만큼 부각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화신'(사진출처:SBS)
이것은 기대감의 문제일 수 있다. 이름을 건 토크쇼의 경우, 예능의 프로들도 그 기대감의 무게를 견뎌내기 쉽지 않은 게 사실이다. 이것은 이미 <박중훈쇼>의 실패를 통해서 일찌감치 드러난 바 있다. 게스트로 나왔을 때 그토록 재미있었던 박중훈은 막상 호스트 입장이 되자 재미없는 토크쇼를 보여주었다. 한 MC에 대한 부담감과 기대감은 이토록 쇼에 영향을 미치기 마련이다.
<승승장구> 역시 초반에 메인 MC였던 김승우가 고전했던 것도 같은 맥락이다. 결국 김승우가 메인이 아닌 다른 MC들 모두가 전면에 나서기 시작하면서 <승승장구>는 제 궤도의 토크쇼를 할 수 있었다. 즉 자신의 이름이 걸림으로써 전체 쇼를 이끌어가야 한다는 중압감이 생기는 순간 아이러니하게도 그 당사자는 굳어버린다는 것을 이들 쇼들은 보여준 셈이다.
그렇다면 <강심장>의 후속으로 새롭게 시작한 <화신>의 김희선은 어땠을까. 지금껏 토크쇼에 많은 배우들이 진출했지만 김희선만큼 초반부터 편안한 매력을 선보인 이는 많지 않았던 것 같다. 여기에는 굳이 김희선을 전면에 메인 MC(사실상의 메인이라도)로 세우지 않은 <화신> 제작진의 배려가 엿보인다. <힐링캠프>에서 이경규라는 토크의 달인과 김제동 같은 진행의 귀재 사이에서 오히려 돌직구를 편안하게 날릴 수 있었던 한혜진이 부각될 수 있었던 것은 제작진에게 좋은 사례가 되었을 것이다.
신동엽이 전면에서 이끌어나가고 윤종신이 끊임없이 추임새를 달며 웃음의 포인트를 잡아나가는 <화신>에서 김희선은 상대적으로 편안한 위치에 설 수 있었다. 특히 신동엽은 콩트면 콩트, 토크면 토크, 애드립이면 애드립까지 능수능란한 말 그대로 토크쇼 대세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중요한 것은 김희선이 얼마나 이들의 이야기를 잘 받아주고 또 자신의 솔직한 이야기를 던질 수 있느냐는 점이었다.
결과적으로 보면 김희선은 기대 이상(애초에 기대감을 뺀 것이 이런 결과로 이어졌다)의 매력을 보여주었다. 그 매력은 그녀가 "누구나 주차장에서 연애 한 번씩 해보지 않나요"라며 "층수가 깊을수록 좋다"거나, 남편에게 “밥을 잘 차려주지 않아 잘 모르겠다”는 식의 폭탄발언을 했기 때문만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편안함이다. 토크쇼 내내 김희선은 어색하거나 불편한 모습이 전혀 느껴지지 않고 오히려 토크에 잘 녹아든 느낌을 주었다. 바로 이것이 어딘지 불안해보였던 고현정과 김희선이 달랐던 지점이었을 것이다.
여기에는 <화신>이 가진 설문 방식 토크쇼의 장점도 작용했다. <고쇼>가 게스트의 카테고리만 정해져 있을 뿐 구체적인 토크의 주제가 잘 보이지 않았던 점은 고현정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하지만 <화신>은 주제가 명확하다. 먼저 콩트로 설문을 바탕으로 한 문제를 제시하고 그 세대별 정답을 맞히는 포맷은 이미 <야심만만>을 통해 검증된 형식이기도 하다. 이 형식 속에서는 설문을 통해 공적인 여론을 주제로 얘기하면서 거기서 사적인 이야기를 덧붙이기가 용이하다. 그만큼 편하다는 얘기다.
<화신>으로 첫 토크쇼 MC를 시도한 김희선은 첫 단추를 잘 꿰었다. 그것은 신동엽이나 윤종신 같은 발군의 토크 기량을 가진 MC들이 멍석을 잘 깔아주었기 때문이며 또 설문 방식 같은 구체적인 주제를 던져주는 토크 방식 때문이기도 하다. 그 위에서 김희선은 우리가 잘 보지 못했던 그녀만의 솔직한 매력을 선보이기만 하면 되었던 셈이다.
이렇게 보면 김희선이 메인 MC가 맞나 싶을 수 있겠지만, 그것은 거꾸로 이 토크쇼에서 김희선이 없다고 상상해보면 단박에 알 수 있을 것이다. 신동엽과 윤종신의 토크 능력이나 설문방식의 토크 형식은 이미 우리에게 익숙한 것이지만, 유독 김희선만은 새로운 것이기 때문이다. <화신>은 이 익숙함(능숙함)과 새로움(풋풋함)의 균형을 잘 맞춤으로써 김희선을 잘 부각시켰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도', 이제 제대로된 도전을 보고 싶다 (11) | 2013.02.25 |
---|---|
'보코2', 오디션 많아도 인재 넘쳐나는 이유 (2) | 2013.02.24 |
'런닝맨'의 유재석, 예능 한류 열 것인가 (1) | 2013.02.19 |
'푸른거탑'식 군대 이야기에 열광하는 이유 (0) | 2013.02.18 |
박성호, 갸루상만이 아니무니다 (0) | 2013.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