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네모난 세상

딸바보들 왜 이렇게 많아진걸까

728x90

TV, 영화 사로잡은 딸바보의 심리학

 

이준익 감독의 신작 <소원>에는 성폭행을 당한 딸아이를 위해 헌신적인 노력을 하는 아빠가 등장한다. 성폭행의 후유증으로 아빠마저 가까이 오는 것을 허락하지 않자 아빠는 기상천외한 방법으로 딸의 마음을 조금씩 연다. 결코 눈물 없이는 볼 수 없는 이 영화에서 특히 주목되는 부분은 딸바보 소원이의 아빠다. 그저 가족에게 무심하게 살아왔던 그는 참회하듯 딸 앞에 무릎을 꿇고 눈물을 뚝뚝 흘린다.

 

사진출처:영화 <소원>

최근 종영한 MBC 수목드라마 <투윅스>에서 아빠 장태산(이준기)은 삶에 아무런 의미조차 갖지 못한 채 밑바닥 인생을 전전하다 딸 수진(이채미)이 백혈병을 앓고 있고 그녀에게 골수를 기증할 유일한 사람이 자신이라는 걸 알고는 삶이 절실해진다. <투윅스>는 이 주 동안 딸바보 장태산이 온갖 세상의 위협과 어려움을 뛰어넘고 딸과 가족에게 돌아오는 이야기다.

 

최근 들어 TV 프로그램이나 영화에 부쩍 딸바보 아빠들이 많아졌다. 올해 초에 개봉해 1천만 관객을 훌쩍 뛰어넘은 영화 <7번방의 선물>은 딸바보 아빠들의 탄생을 알리는 신호탄이었다. 이 영화에서 딸 예승(갈소원)이에 대한 무한사랑을 보여주는 딸바보 용구(류승룡)는 실제로도 정신지체를 갖고 있는 바보이기도 하다. 즉 이 영화는 대놓고 딸바보의 이야기를 기획했다고 보여진다.

 

무려 50%에 육박하는 시청률을 낸 드라마 <내 딸 서영이>에서 서영이(이보영) 아빠 이삼재(천호진) 역시 딸바보다. 자신이야 아버지라는 이름에서 잊혀지더라도 딸 서영이가 행복하게 잘 살기만을 바라는 그 모습은 많은 시청자들에게 깊은 감동을 주었다. 물론 이삼재가 그렇게 하는 데는 원죄가 있다. 서영이의 청춘시절에 자신의 사업실패가 그녀의 앞길을 가로막았다는 것. 그래서 이삼재의 사랑에는 원죄에 대한 참회가 섞여 있다.

 

딸바보 열풍(?)은 예능 프로그램도 예외가 아니다. <아빠 어디가>의 송종국이나 <슈퍼맨이 돌아왔다>의 추성훈은 물론이고 예능에 출연하는 이들은 서슴없이 자신들이 딸바보임을 인증하곤 한다. 마치 세상의 아빠 치고는 딸바보 아닌 이들이 없는 것처럼 이들은 왜 이렇게 스스로를 딸바보로 세우는 것일까.

 

흥미로운 건 TV 프로그램과 영화 속에 등장하는 딸바보들은 대부분 자신의 잘못된 과거에 대해 무릎을 꿇는다는 점이다. 영화 <소원>의 아빠는 그간 벌어먹고 살기 위해 딸에게 무심했던 자신을 반성하고, <투윅스>의 장태산은 가족을 위한다면서 가족을 떠난 자신을 후회한다. <7번방의 선물>의 용구는 정신지체이기 때문에 딸 예승에게 해주지 못하는 것들에 눈물을 쏟고 <내 딸 서영이>의 이삼재는 자신의 잘못된 과거를 서영이에게 사죄한다.

 

딸바보들은 이처럼 과거와 달라진 아빠들의 부성애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즉 과거에 어딘지 권위주의적인 모습을 보였던 아빠들이 가족에 대한 화해의 손길을 내밀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아마도 IMF 이후부터 꺾여 온 아빠들의 권위와 사회가 달라지면서 점점 가족 내에서 아빠가 차지하는 입지가 좁아진 점 때문에 아빠들 스스로 가족에 편입하고자 하는 욕구로부터 생겨난 현상일 것이다. 아내는 어딘지 어색하지만 딸이라면 바보처럼 살갑게 굴어도 훨씬 자연스러울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여기에는 점점 집 밖에 딸을 내놓기가 위험해지는 사회와도 관련이 있다. 특히 성폭행이니 하는 사건들을 접할 때마다 아빠들은 괜스레 지켜주지 못한 미안함에 빠져들곤 한다. 어른들이 만든 불안한 사회는 아빠들에게는 그래서 또 하나의 죄의식으로 자리하기도 한다. 이준익 감독의 <소원>은 바로 이런 딸바보 아빠들의 원죄의식이 그 밑바닥에 깔려 있는 영화다. 이토록 많아진 딸바보 아빠들. 그간의 남성성의 성 역할에만 머물며 집밖을 떠돌던 아빠들은 그렇게 가족의 품으로 점점 돌아오고 있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