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를 배우로 만드는 것은 무엇일까
배우를 배우로 만드는 것은 도대체 뭘까. <배우는 배우다>는 어찌 보면 당연해 보이고 어찌 보면 너무나 모호한 이 질문을 도발적으로 던지는 영화다. 배우의 존재 근거를 질문하는 영화에 이준이라는 아이돌 스타를 세웠다는 것이 그 도발의 증거다. 왜 하필 이준이었을까.
사진출처: 영화 '배우는 배우다'
물론 이준은 <닌자 어쌔신> 같은 영화를 통해 액션 연기를 경험한 적이 있다. 그래서인지 이준의 연기에서 장점으로 보이는 것은 단순히 말로 전달하는 장면에서조차 그것을 액션처럼 몸으로 보여주는 힘이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결국은 몸의 언어로 표현될 수밖에 없는 연기에 있어서 그가 가진 굉장한 자산이다.
하지만 이렇게 연기에 대한 타고난 자산을 갖고 있다고 해도 이준은 연기자로서는 여전히 초보에 가깝다. 배우라고 부르기보다는 아이돌 스타라고 하는 편이 오히려 더 자연스러운 그가 배우를 연기한다는 것은 어떻게 가능한 일일까. 바로 이 부분에 이 영화가 가진 묘미가 들어 있다. 우리가 생각하는 배우나 연기 같은 조금은 딴 나라 이야기처럼 들리는 것들이 사실은 우리 자신이거나 혹은 우리네 일상일 수 있다는 것.
<배우는 배우다>에서 이준이 연기하는 오영이라는 인물은 연기의 기술은 잘 모르지만 몰입이 뛰어난 친구다. 그래서 서툴게도 연극을 하면서 타인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자신의 감정에만 너무 지나치게 빠져들어 극을 망치기 일쑤다. 즉 연극을 하면서 그것이 마치 실제인 것처럼 연기한다는 점이다. 물론 작품을 망치는 위험성이 있지만 연기자로서 이보다 중요한 덕목은 없을게다. 최고의 연기란 연기하지 않는 것이라고 하지 않던가.
하지만 그런 오영이란 인물에게 마치 메피스토펠레스 같은 매니저가 달라붙으면서 상황이 달라진다. 영화의 단역 캐릭터를 조역까지 바꿔놓아 말 그대로 일약 스타를 만들어버리자 오영은 진정한 연기가 아니라 마치 스타를 연기하는 인물처럼 바뀌어버린다. 그토록 자신을 밟았던 여배우를 마치 정복하고 복수하듯 정사를 치른 후 그래서 그가 무심코 내뱉는 말은 이렇다. “여배우라고 별거 아니잖아.”
정점에 올라 스타가 되자 그는 작품의 캐릭터에 몰두하기보다는 스타가 된 자신에 더 몰입한다. 영화가 흥미로운 것은 감독이 바라보는 연기라는 세계가 단지 스크린 안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는 시점 때문이다. 사실 우리는 모두 어떤 식으로든 상황에 맞는 가면을 쓰고 연기를 하며 살아간다. ‘페르소나’라고도 흔히 표현되는 이 가면은 그래서 어쩌면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기도 하다. 중요한 것은 너무 가면을 오래 쓰다보면 자신의 맨얼굴을 잊게 된다는 점이다.
오영은 스타라는 가면을 쓰면서 배우라는 자신의 본래 얼굴을 잊어버린다. 영화를 찍으면서 자기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스스로 컷을 외치는 건 그가 전혀 배역에 몰입되어 있지 않다는 걸 말해준다. 결국 그는 그렇게 추락한다. 그리고 바닥에 내려와서야 비로소 자신의 맨얼굴을 찾아낸다. 중요한 것은 이 일련의 성공과 추락의 과정을 통해서 그가 배우라는 직업에 한 걸음 더 다가가게 됐다는 점이다. 어디서 어떤 역할을 하든 ‘배우는 배우다’라고 편안히 말할 수 있다는 것. 마치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다 말할 수 있는 것처럼.
이 영화에서 대단히 흥미로운 두 시퀀스가 있다. 그 하나는 오영이 어느 날 우연히 룸싸롱에서 알게 된 조폭 같은 깡다구(마동석)에게 이끌려 억지로 형 동생하는 자리에서 술을 마시는 상황이다. 이 상황에서 스타를 연기하며 살아가던 오영은 갑자기 조폭 영화(이를테면 <영화는 영화다> 같은)의 한 인물을 연기하게 된다. 험악한 분위기에서 굴욕적인 일을 당하면서 그가 하는 행동은 전혀 다른 상황에서는 다른 연기를 하게 되는 우리네 삶을 잘 보여준다.
또 한 시퀀스는 마치 오영에게 구원처럼 등장하는 여자 서영희와 길거리에서 만나 즉석에서 벌이는 연기 장면이다. 이 장면은 마치 남녀가 서로 만나고 헤어지는 그 애증의 갈등을 그저 평범하게 일상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그와 그녀가 함께 연극에서 했던 연기를 재연하는 것이다. 즉 연기와 일상이 겹쳐지는 지점이다. 이 장면에서는 도대체 어떤 게 연기이고 어떤 게 실제인지 모호하기 이를 데 없다. 아마도 우리가 살아가면서 하는 연기적인 행동들이 대부분 이럴 것이다.
<배우는 배우다>는 이처럼 연기가 연기자들의 것만이 아니라 누구나 하고 있는 일상적인 것이란 걸 보여준다. 물론 여기서 연기자와 일반인을 가르는 것은 오영이 경험했던 것처럼 실제 연기생활을 통해 자신을 조절할 줄 아는, 그래서 어디서 연기해도 ‘배우는 배우다’라고 얘기할 줄 아는 것과 그렇지 못한 것에서 비롯된다. 그렇다면 이 영화를 경험한 이준은 어떨까. 그는 과연 이 영화를 통해 ‘배우는 배우다’라고 얘기할 수 있는 연기자의 세계로 들어왔을까.
영화를 통해서 보면 분명 이준은 신연식 감독이 그려낸 이 치밀한 연기의 세계 속에서 진짜 연기자를 경험한 것으로 보인다. 아직은 투박한 면이 보여도 그는 분명 꽤 깊이 있는 연기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것은 그가 아이돌임에도 불구하고 전라 정사 신을 찍었다는 사실보다 더 중요한 일이다. 누구나 영화를 보고 나오면 이렇게 말하게 되는 것. “이준, 역시 배우는 배우네.” 이것만큼 배우에게 좋은 찬사가 있을까.
'옛글들 > 영화로 세상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호인'의 국밥과 MB의 국밥 (3) | 2013.12.31 |
---|---|
'변호인'의 질문, 빨갱이는 여전히 유효한가 (1) | 2013.12.27 |
'천안함', 이토록 평범한 다큐에 왜 발끈했을까 (11) | 2013.09.15 |
'천안함', 영화 한 편 편히 보기 힘든 현실 (0) | 2013.09.10 |
'설국열차' 아이러니, 진정 모두가 동승해야 할까 (1) | 2013.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