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쩐에 관한 짠한 이야기, ‘쩐의 전쟁’ 본문

옛글들/명랑TV

쩐에 관한 짠한 이야기, ‘쩐의 전쟁’

D.H.Jung 2007. 5. 18. 02:08
728x90

‘쩐의 전쟁’의 풍자가 말해주는 것

장태유 PD는 왜 ‘돈의 전쟁’이 아니고 ‘쩐의 전쟁’이냐는 질문에 “쩐이 더 끈끈한 맛이 있지 않냐”고 되물었다. 그렇다. 지금은 돈을 돈이라 표현해서는 어딘지 밋밋할 정도로 돈에 대한 욕망과 박탈감이 많은 시대다. 그래서일까. ‘쩐의 전쟁’이란 드라마가 만화적인 연출로 인해 무겁게 가라앉을 수 있는 심각한 이야기를 최대한 부담을 줄여 가볍게 시청자들에게 전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짠한 느낌이 남는 것은.

웃으면서도 짠한 것, 풍자의 힘
박인권 화백의 만화를 원작으로 하고 있지만 ‘쩐의 전쟁’은 만화 원작을 갖고 있는 작품들이 가질 수 있는 ‘과장의 약점’을 오히려 이용하고 있는 중이다. 박인권 화백의 만화는 리얼리티를 다루면서도 만화만이 갖는 과장을 또한 극적 장치로 활용하고 있는데, 드라마, ‘쩐의 전쟁’ 속에서도 그 심각한 리얼리티와 만화적인 가벼움이 동시에 나타난다.

즉 심각한 상황에서도 웃게 만들고, 웃고 있으면서도 마음이 짠하게 만드는 이것이 어떻게 가능한 일일까. 그것은 풍자의 힘 때문이다. 풍자는 과장의 기법을 통해 사람들의 웃음을 끌어내지만, 그 과장이 제거됐을 때 드러나는 심각한 현실 때문에 짠한 느낌을 남긴다.

그것은 단적으로 아버지의 유서를 통해 나타난다. 칼처럼 날카롭게 간 카드로 동맥을 끊어 자살한 아버지가 ‘카드 빚 쓰지 마라’는 유서를 남겼다는 사실은 그 심각한 상황 속에서도 어이없는 웃음을 짓게 만든다. 거기에는 자살도구로 쓰인 것이 카드라는 사실과 유서와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카드 빚’이란 단어 때문이다.

이것은 실제 당사자에게는 엄청난 비극일 수 있지만 그것을 드라마라는 장치 속에서 보는 시청자로 하여금, 알 수 없는 웃음을 짓게 만든다. “이게 무슨 유서가 이래?”하며 오열하는 금나라를 보는 시청자들은 웃게 되는 것이다. 그 웃음은 이 과장된 설정에서 비롯되지만 그 현실은 참혹하기 이를 데 없다.

이 간극에서 우리는 작가가 전하려는 사회에 대한 비꼼을 공유할 수 있다. ‘오죽 했으면 카드 빚 쓰지 마라’고 유서를 썼을까 하고 생각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것은 서주희(박진희)가 “남자는 상처를 남기지만 돈은 이자를 남긴다”고 할 때 그 말의 묘미에서 웃음을 짓게 되지만 또한 ‘정말 돈돈 하는 세상’이라고 씁쓸하게 만드는 것과 같은 이유다.

왜 하필 풍자였을까
그런데 왜 하필 풍자라는 장치를 만들어 썼을까 하는 데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풍자란 직접적으로 비판하기 어려운 대상을 언어유희나 과장된 표현으로 비꼬는 기술이다. 즉 듣는 사람에게 그것이 자신을 비판하는지 즉각적으로 알아차리지 못하게 만드는 것이다. ‘쩐의 전쟁’이 풍자를 사용하고 있는 것은 그 내용이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그만큼 민감한 사안이라는 것을 반증한다.

사실적으로 그렸다면 ‘피도 눈물도 없고 오로지 돈만 있는 사채업자’로 그려지는 드라마가 처하게 될 사회적 파장도 무시할 수 없었을 것이다. 또한 드라마 후반으로 가면서 나올 ‘진정한 돈을 아는 사채업자’의 이야기에서 “혹 사채업자를 미화하는 것 아니냐”는 삐딱한 시선에 직면했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다가는 드라마가 하려는 진짜 이야기는 이상한 오해에 휘말릴 수도 있다.

우리는 모두 쩐의 전쟁 속에 살아간다
하지만 풍자로 덧대진 악덕 사채업자 마동포(이원종)와 그 부하들은 돈을 받아내기 위해 사람 목숨을 파리 목숨처럼 거둬 가는 악독한 캐릭터들이지만, 우리가 이들에게 갖는 우선적인 이미지는 코믹함이다. 풍자라는 안전장치를 단 드라마는 더 신랄하게 상황을 표현할 수 있는 자유를 얻는다. 신체포기각서를 쓰고 죽었으니 시체를 가져 가겠다거나, 결혼식장에 들어온 축의금을 강탈해가며, ‘사람은 죽어도 빚은 남는다’는 식의 질깃질깃한 빚 독촉을 해대는 사채업자들의 모습이 풍자라는 옷을 입고 고스란히 그려진다.

우리는 그 속도감 있는 풍자의 틀 속에서 웃음을 터뜨린다. 그런데 그 웃음 뒤에 남는 짠한 느낌은 사실 그 풍자의 대상 속에 자신도 피해갈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그 누구도 돈, 아니 쩐의 손아귀에서 벗어나 살아가기 어렵다는 자조 섞인 웃음이다. 드라마 ‘쩐의 전쟁’은 저네들 사채업자들만의 이야기처럼 보이지만 그것 또한 자본주의라는 쩐의 세상을 비꼬는 풍자의 장치로 활용되고 있기에 이 드라마의 이야기는 남 일이 될 수 없다. 우리는 모두 ‘쩐의 전쟁’ 속에 살아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