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지수와 화영, 당신은 어느 편인가 본문

옛글들/명랑TV

지수와 화영, 당신은 어느 편인가

D.H.Jung 2007. 5. 17. 11:05
728x90

‘내 남자의 여자’의 여자들

김수현의 여자들, 지수(배종옥)와 화영(김희애) 중 당신은 어느 편인가. 이것은 이 시대 남성들에게 그네들의 여성 취향을 묻는 질문이 아니다. 이 시대의 여성들은 지수와 화영 중 어느 쪽에 더 빠져드느냐는 질문이다. 그리고 이 질문은 ‘내 남자의 여자’라는 드라마가 또한 가정을 지키려는 지수라는 여성상과, 금기된 욕망의 질주를 하면서 가정을 깨려는 화영이란 여성상이 서로 부딪치는 이야기라는 점에서 중요한 질문이다.

아무리 얘기해도 불륜드라마라는 딱지를 떼긴 어려울 것이다. 그래도 시청률 고공행진을 계속하는 드라마의 속내를 한번 들여다볼 필요는 있다. 거기에는 그 드라마를 보는 대다수 현대 여성들의 욕망이 또한 꿈틀대고 있기 때문이다. 도대체 지수와 화영이란 여자들이 그려내는 이 시대 여성들의 환타지는 무엇일까.

지수, 착한 여자 콤플렉스
“내가 저를 위해 전부를 바쳤는데 어떻게 내게 이럴 수가 있어.” 준표(김상중)를 화영에게 보내고 남은 지수는 아버지(송재호) 앞에서 이렇게 오열한다. 그런 그녀에게 아버지는 이렇게 말한다. “누가 그러라고 했어? 네가 좋아하고서는 이제 생색내려고 하지마.” 그러자 옆에서 듣고 있던 은수(하유미)가 한 마디 한다. “그래도 지수가 지극 정성한 건 인정해줘야 되요.” 거기에 대해 아버지가 하는 말, “그게 바로 지수 너야.” 그 말에 지수는 멍해진다. 자신의 괴로움은 준표가 준 상처 때문 만이라 여겼는데, 거기에는 자기 스스로 자초한 것도 있다는 사실을 깨달은 것이다.

드라마 초반 내내 김수현 작가가 지수를 그려낸 모습이 바로 이것이다. 그녀는 모든 것을 완벽하게 하고, 주변에서 모두 잘한다고 얘기 듣는 그런 여자를 꿈꾼다. 자신의 삶을 자신의 생활에서 찾기보다는 주변 사람들을 위해 헌신(?)하는 데서 찾는다. 그런데 바로 그 점이 준표를 숨막히게 하는 거라는 걸 그녀는 알아채지 못한다. 착한 여자가 나쁜 것은 아니지만 그녀는 그 이상을 하려고 하는 데서 내적인 문제를 갖고 있다. 자기 삶이 없는 헌신은 때론 자신의 삶을 공허하게 만들고, 타인에게는 강요가 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왜 끝까지 가정을 지켜야 하나
상처 입은 착한 여자가 아픔을 토로하는 식의 드라마는 이제 식상해져버렸고, 김수현 작가가 그걸 모를 리가 없다. 당사자가 갑자기 돌변해 악다구니하는 모습은 자칫 가정을 지키는 여자와 불륜녀가 같은 모습으로 비춰질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그래서 김수현 작가는 은수라는 지수의 대리인을 등장시킨다. 은수가 등장하자 눈물 흘리고 있을 가정 지키는 여자 편에 든든한 힘이 실린다. 욕망을 향해 뻔뻔하게 질주하는 화영 앞에 주먹을 날리고 업어치기를 하는 은수는, 어려워도 가정을 지키며 살아가는 지수편에 선 시청자들의 분노를 대리충족 시켜준다.

많은 시청자들이 은수의 거침없는 말과 액션(?)에 “속 시원하다”는 반응을 보이는 것은 바로 그 때문이다. 하지만 냉정하게 “왜 끝까지 가정을 지켜야 하는가”를 생각해보면, 지수에 대한 감정이입이 가부장적 질서 속에서 학습된 결과가 아닌가하는 의구심을 갖게 된다. 부모와 남편, 아이에게 헌신하는 삶을 가치로서 받아들여왔던 시청자들로서는 “왜 그래야 하는가”하는 질문보다는 “가정을 지키려는 건 당연한 것”이라는 이른 결론에 도달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대리인으로서 등장해 참으며 가정을 지키라는 은수와 달리 지수가 선택하는 것이 별거라는 것은 이 드라마가 섣부른 결론보다는 질문을 던지고 있다는 걸 말해준다. 이 드라마가 여타의 불륜드라마와 다른 점이다.

화영, 금기된 욕망의 화신
반면 화영은 윤리적 잣대로 보면 뻔뻔한 불륜녀지만, 또 한 편으로 보면 금기된 욕망에 솔직한 여자이기도 하다. 불륜 사실을 알고 지수가 “왜 그랬니? 넌 내 친구였잖아”하고 항변할 때 화영은 당돌할 정도로 솔직하게 말한다. “불가항력이었어. 죽어도 좋았어. 너 따윈 아무 상관없었어.” 그러자 발끈한 지수가 독설을 퍼붓는다. “너희 짐승이니?” 그러나 화영은 선선히 그 사실도 인정해버린다. “행복한 짐승.”

될 대로 되라는 식으로 막가는 화영이지만, 그녀의 금기된 욕망을 향한 무한질주는 이 시대 가부장적 질서 속에서 억압받아왔던 여성들의 간지러운 부분을 긁어주는 구석이 있다. 특히 가정이라는 이름 하에 자신을 희생하는 삶을 살아왔던 중장년층의 주부라면, 가정보다는 자신의 삶을 당당히 살아가는 지금의 세태 속에서 상대적인 박탈감 같은 것을 느꼈던 여성이라면, 그녀의 도발은 ‘비난하면서도, 속 시원한’ 양가감정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여지가 다분하다. 이것이 그녀를 (윤리적인 잣대에서) 욕하면서도, (금기된 욕망의 표출을 통해) 묘한 매력을 갖게 하는 요인이다.

친구의 가정을 깨고 얻은 것, 결국 가정?
하지만 그런 화영의 거침없는 욕망의 질주가 얻은 것은 무엇일까. 늘 가족들의 생계를 뒷바라지하면서 살아야 했고, 남편조차 자살해버린 그녀에게 가정이 주는 의미는 억압과 고통 그 자체이다. 늘 단란해 보이는 지수의 가정을 파괴시키는 데는 바로 그 점도 작용하고 있다. 그래서 그녀는 지수를 찾아가 “셋이서 같이 살자”는 도발적인 제안을 한다. 이것은 가부장제와 기존 가족 이데올로기에 대한 전면전을 선포한 것과 같다.

그런데 지수에게서 준표를 빼앗아와 자신의 집에 들이자 그것이 가정의 모습으로 돌변하는 묘한 상황이 발생한다. 살을 맞대고 살면서 사랑(이것은 화영의 표현이다)은 퇴색되고 현실이 눈앞에 펼쳐지게 된다. 그녀는 그토록 깨고 싶었던 (지수의) 가정을 깨고, 결국 스스로 가정을 만든 셈이다. 그런 그녀가 지수를 찾아가 ‘가정생활의 어려움’을 토로하는 것은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하지만 그 부분이 이 드라마가 공감을 주는 대목이다. 화영은 악역이 아니고 가정이라는 억압을 주는 단단한 사회적 질서 속의 희생자일 수 있다는 점이다.

불륜드라마와 여성심리극의 갈림길
가정이란 틀을 두고 벌이는 지수와 화영의 대립구도는 이 드라마가 그저 자극적인 설정만을 추구하는 불륜드라마의 틀을 벗어나 금기된 욕망과 억압에 대한 여성심리극이 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하지만 그것은 전적으로 앞으로의 행보에 달려 있다. 김수현 작가는 지금껏 드라마 속에서 가부장적 질서에 대한 이중적 잣대를 들이댄 혐의가 짙다. 가부장제의 문제를 꼬집고 비틀면서 한껏 시청자들의 금기된 욕망을 해소시키다가 결국에는 다시 가부장제로 돌아가는 결론으로 끝맺었던 것.

만일 김수현 작가가 여타의 드라마들을 통해 보였던 이중적인 잣대를 이 도발적인 문제제기의 끝에 꺼내든다면 그것은 이 드라마를 그저 자극적인 설정을 통해 시청률만을 노린 불륜드라마로 전락시키는 결과를 낳을 것이다. 하지만 가정의 틀을 깨는 도발적 제안으로 끝낸다는 것도 부담이 되기는 마찬가지. 이것이 지수와 화영이란 대타자들을 통해 가정이란 체계에 대한 문제제기를 한 김수현 작가가 앞으로 고민해야될 문제다.

또한 이 드라마를 열성적으로 보는 시청자들이라면 한번쯤 어떤 캐릭터가 자신을 그렇게 공감하게 하는가를 생각해보면서, 김수현 작가의 행보와 비교해볼 필요가 있다. 드라마 보는 재미도 더할 것이지만, 그것이 그럴 듯한 이야기로 포장된 불륜드라마에 기만당하지 않고, 질 높은 여성심리극을 불륜드라마로 싸잡아 비판하는 우를 범하지 않는 길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지수와 화영, 당신은 어느 편인가.
/정덕현 대중문화 칼럼니스트 mansuri@osen.co.kr 블로그 http://thekian.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