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종반에 와서야 왜 궁의 황태자가 마왕으로 캐스팅 되었는지를 알 것 같다. ‘궁’에서 보여주었던 겉으론 차갑지만 정이 많은 황태자의 모습은 ‘마왕’에 와서 좀더 완성되는 느낌이다. 이 드라마에서도 주지훈은 초반 시종일관 차가운 얼굴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드라마가 진행되면서 그 차가운 얼굴 속에서 따뜻함이나 아픔 같은 것들을 발견하게 된다. 이 야누스적인 면모는 ‘마왕’이란 드라마 캐릭터가 주는 매력이면서 또한 주지훈만의 독특한 아우라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마왕’과 주지훈은 서로의 주인을 제대로 찾은 격이다. ‘마왕, 오승하’가 아닌 ‘마왕, 주지훈’이라 일컫는 것이 어색하지 않은 이유다.
마왕, 오승하
오승하(주지훈)란 캐릭터를 연기하는 주지훈의 얼굴은 좀체 변화가 없다. 웃는 것도 우는 것도 아닌 말 그대로 포커페이스다. 이것은 ‘마왕’이란 드라마가 처음 시청자들에게 내민 얼굴과 같다. 그 속에 수많은 이야기들이 있을 것 같지만 아무런 설명도 해주지 않는 얼굴, 그것은 ‘마왕’이란 퍼즐조각 맞추기 게임에는 필수적인 전제조건이 된다.
변호사란 직업을 가진 오승하란 캐릭터는 그 설정 자체가 이 드라마의 질문이 된다. 과연 ‘정의란 무엇인가’란 철학적 질문은 변호사라는 직업이 갖는 이중성과 맞물린다. 그것은 변호사가 ‘약자를 위한 변호’를 하기도 하지만 또한 ‘강자를 위한 변호’를 하기도 한다는 것에서 비롯된다. 오승하가 변호사가 된 것은 자신의 형이 ‘강자(강오수네 집안)를 위한 변호’에 희생되었기 때문이다. 그가 하려는 것은 형사인 강오수(엄태웅)가 잡으려는 범인을 변호해 과거의 자신이 약자로서 겪었던 상황을 강오수가 똑같이 겪게 하는 것이다.
그러니 이런 변호사의 캐릭터를 가진 오승하의 얼굴은 감정이 묻어나지 않는다. 직업적인 얼굴과 표정과 말이 나올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승하가 갖는 묘한 카리스마와 탈속한 듯한 느낌, 그리고 거기서 이어지는 악마적인 이미지는 어디에서 만들어지는 것일까. 그것은 바로 눈과 입이다. 그의 감정은 반쯤 감겨진 눈빛을 통해 무표정한 얼굴 속에서 더욱 강하게 전달된다. 그것은 포기한 눈이며, 슬퍼하는 눈이고, 분노하고 있는 눈이며, 그런 자신을 증오하기도 하는 그런 눈이다. 그런데 좀체 표정을 보이지 않던 입이 실룩거리기 시작하면 위악적인 얼굴이 연출된다. 무표정한 얼굴에서 언뜻 보이는 살짝 말아 올려진 입 꼬리가 주는 섬뜩함은 개구쟁이처럼 보이는 악동을 만들어낸다. 오승하는 바로 이 악동의 얼굴을 차마 숨기려는 듯 애써 무표정한 주지훈의 절제된 연기에 의해 탄생했다.
마왕, 정태성
무표정과 절제된 얼굴이 주는 힘은 지대하다. 그것은 시종일관 감정의 변화를 보이는 얼굴이 특정 감정을 드러내는 표정을 지었을 때 보다 특별한 강렬함으로 다가온다. 이 미로 같은 드라마에 오승하는 작은 실타래를 던져주는 캐릭터이기에 그 얼굴의 변화에 시청자들은 극도로 민감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그 얼굴은 좀체 속내를 보여주지 않는다. 그러다 어느 순간 감정이 수면 밖으로 빠져나오면서 얼굴에 표정으로 드러난다. 그 때 나타난 얼굴은 바로 오승하란 얼굴 뒤에 숨겨진 진짜 얼굴, 정태성의 얼굴이다.
해인(신민아)의 집에 초대되어 잡채를 먹다가 어린 시절 형과의 추억이 떠올라 차마 삼키지 못하는 장면이 바로 그런 순간이다. 뒤쫓아 나온 해인이 본 것은 늘상 무표정한 얼굴로 감정이라고는 피 한 방울 나오지 않을 것 같던 오승하의 얼굴이 아니다. 어린 시절, 그녀에게 우산을 건네주고는 자신은 괜찮다며 빗속으로 달려간 정태성의 얼굴이다. 사고로 죽은 오승하 행세를 한 자신을 알아차린 오승하의 누나 앞에서 미안하다며 오열하는 이는 바로 정태성이다.
정태성이란 얼굴이 늘 울고 있는 것은 그 복잡한 상황 때문이다. 겉으로 드러난 얼굴 오승하가 지금 하고 있는 복수는 자신이 당한 것을 고스란히 돌려주는 것이지만 그것은 또한 또 다른 정태성이란 피해자를 만드는 일이다. 권현태(이도련) 변호사를 죽인 조동섭(유연수)을 변호해 결국 무죄로 만든 오승하에게 권 변호사의 아들은 “사람이 죽었는데 무죄라는 게 말이 되냐”고 말한다. 그 말에 오승하 속의 정태성이란 얼굴이 꿈틀댄다. 그것은 바로 자신이 12년 전 부조리한 세상을 향해 했던 말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자신이 만든 시나리오 속에서 복수의 희생양이 되는 대리살인자들에 대한 죄책감 역시 그를 짓누른다. 복수를 하면 할수록 자신과 같은 피해자가 나온다는 것. 그것이 채워질 수 없는 갈증으로 정태성의 얼굴이 울고 있는 이유다.
마왕, 주지훈
그를 캐스팅한 박찬홍 PD는 주지훈이란 연기자에 대해 ‘따뜻함과 악마 같은 차가움을 동시에 가진 인물’이라 평한 바 있다. 이처럼 주지훈이 정태성과 오승하의 양면성을 모두 지닌 마왕이 된 것은 그의 얼굴 이미지가 갖는 양면성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하지만 거기에는 주지훈 자신의 얼굴에서 마왕의 면모를 뽑아내려는 당사자의 노력이 전제되었을 때 얘기다. 무표정으로 날카로움과 차가움을 보여주면서, 동시에 짧은 웃음과 울음을 극대화시킨 주지훈의 전략은 주효했다.
여기에 주지훈을 마왕으로 탄생시킨 공로에 있어서 반드시 덧붙여져야 할 것이 있다. 바로 탁월한 화면연출과 조명이다. 드라마 중간마다 마치 간주곡처럼 삽입되는 주지훈의 모습은 그의 무표정한 얼굴 너머의 감정을 영상을 통해 전달하는 효과를 주었다. 빛이 쏟아지는 창을 바라보며 등을 보이고 똑바로 앉아 있는 주지훈의 모습은 오승하의 악마적인 면모와 정태성의 쓸쓸한 면모를 동시에 전달한다. 가끔 하늘을 찌를 듯 솟아 있는 나무들 사이에 처연한 얼굴로 선 주지훈에게서는 마왕의 전지전능함과 쓸쓸함이 묻어난다. 긴 터널을 걸어가다 문득 돌아보는 얼굴에서는 쓸쓸함과 동시에 섬뜩함이 느껴진다.
그리고 이 영상들 속에 여지없이 끼어 드는 것은 바로 조명이 만들어내는 색감이다. 때론 파란색으로 때론 오렌지색으로, 때론 어둠 속에 실루엣으로 주지훈의 얼굴에 음영을 만들어내는 조명은 그 얼굴에서 여러 가지 모습의 감정들을 전달해준다. 파란색 속에서 악마적인 이미지를 끄집어냈다면, 오렌지색에서는 쓸쓸한 감정을 잡아낸다. 조서실의 어둠 속에 나타난 실루엣은 이 인물이 가진 야누스적인 면모를 보여준다.
마왕, 주지훈의 탄생은 김지우라는 작가가 탄생시킨 놀라운 이중적 캐릭터에 박찬홍 PD의 계산된 연출과 정길용 조명감독의 색감이 주지훈이란 연기자의 얼굴에 집중된 결과이다. 도대체 정의란 무엇인가란 질문 앞에서 고뇌하는 ‘마왕’이란 캐릭터의 창출이 이 드라마가 하려는 이야기의 목적인 바, ‘마왕’은 주지훈을 통해 소기의 목적을 달성했다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쩐에 관한 짠한 이야기, ‘쩐의 전쟁’ (0) | 2007.05.18 |
---|---|
지수와 화영, 당신은 어느 편인가 (0) | 2007.05.17 |
한드, 미드에서 배울 것들 (0) | 2007.05.15 |
세상을 향한 일침, 세태개그의 세계 (0) | 2007.05.11 |
진실과 거짓 사이, 시청률이 있다 (0) | 2007.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