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세월호 참사에 올 스톱, 편향된 음악방송의 문제

728x90

섹시와 현란함에 빠진 아이돌 편향 음악방송

 

세월호 참사로 인해 지상파 음악방송들은 모두 멈춰 섰다. KBS<뮤직뱅크>SBS<인기가요>도 또 MBC<음악중심>도 녹화 자체가 취소됐다. 애도 분위기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말 속에는 음악과 음악방송에 대한 비뚤어진 편견도 들어가 있다. 음악이 어째서 애도와 어울리지 않는다는 얘기인가. 음악은 때로는 아픈 이들을 위로해주는 기능도 있지 않던가.

 

'생방송 인기가요(사진출처:SBS)'

하지만 이런 편견에 대한 지적은 적어도 지상파 음악방송에는 해당되지 않는 얘기다. 그것은 지금껏 지상파 음악방송들이 거의 섹시와 현란함으로 무장한 아이돌에 편향된 모습을 보여 왔기 때문이다. 음악에 대한 편견을 지적하다가도 그간 이들 지상파 음악방송들이 마치 경쟁적으로 내보내곤 했던 섹시 걸 그룹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과도한 노출을 떠올려 보면 도무지 이런 참담한 분위기에서 이 음악방송들은 전혀 어울리지 않는다는 걸 깨닫게 된다.

 

이건 결국 음악의 기능에 대한 편견의 문제가 아니라, 편견을 갖게 만드는 음악방송의 편향의 문제다. 가요라고 하면 늘 섹시 걸 그룹과 아이돌들만 잔뜩 있는 것처럼 오인하게 만드는 지상파 음악방송들의 편향은, 음악의 또 다른 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 깊이 있는 삶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나 위로를 배제시키고 있다. 실로 다양한 음악들이 있고 그 음악들이 전하는 다양한 결과 삶이 있지만 과연 우리네 지상파 음악방송들은 그것을 제대로 담아내고 있을까.

 

MBC 음악 프로그램 <예스터데이>가 방송 4개월만에 폐지된 것에 대해 대중들이 안타까움을 표한 것은 이 프로그램이 그나마 대중음악의 다양한 결을 담보해내려 노력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야밤에 편성되어 당연히 낮을 수밖에 없는 시청률을 이유로 폐지된다는 것은, 어째서 저녁 시간대에 편성되지만 역시 낮은 시청률을 내고 있는 <음악중심>이나 <인기가요> 같은 프로그램들이 여전히 존속되고 있는지 의구심을 자아내게 만든다. 시청률이 문제가 아니라 이건 기획사들과 방송사 사이에 놓여진 암묵적인 관계의 문제다.

 

세월호 참사에 맞춰 음악 전문 케이블 채널인 엠넷은 <뮤직테라피>라는 음악 프로그램을 내보냈다. 기존에 <윤도현의 MUST> 같은 라이브 프로그램을 통해 소개됐던 아티스트들의 음악들을 선별해 편집한 프로그램이다. <뮤직테라피>라는 제목에 걸맞게 세월호 참사를 애도하고 위로하는 곡들이 소개됐다. 김범수의 보고싶다’, 이소라의 바람이 분다’, YB흰수염고래등등. 노래가 그저 오락만이 아니라 우리의 상처 난 마음을 어루만지고 위로해주는 기능이 있다는 걸 보여준 감동적인 무대였다.

 

우리는 너무 음악을 오락으로만 여기고 있었던 건 아닐까. 그리고 이런 편견을 만들어낸 것은 천편일률적인 아이돌들만 보여주고 있는 지상파 음악 방송의 책임이 크다. 물론 최후의 보루처럼 몇몇 다양한 음악을 들려주는 라이브 프로그램이 겨우겨우 남아있지만 편성에서 밀려난 이들 프로그램에 대한 집중도는 낮을 수밖에 없다. 최근 벌어진 뷰티풀 민트 라이프2014’ 등 일부 공연들의 취소사태는 음악에 대한 이러한 편견들이 만들어낸 사안이다. C음악은 흥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라며 질타했다. 하지만 우리네 음악방송의 현실은 김C의 노래하는 모습을 방송에서 그다지 보지 못했다는 점일 것이다.

 

EBS <스페이스 공감> 10주년 기념으로 열린 한국대중음악과 미디어의 역할이라는 포럼에서 김창남 성공회대 교수는 방송에서 대중음악은 한 번도 오락의 지위를 벗어난 적이 없으며 교양적 대상이 된 적이 없다고 말했다고 한다. 음악을 그저 오락으로 치부하는 방송의 태도. 이것이 이번 세월호 참사에서 갑자기 취소된 뷰티플 민트 라이프공연에 대한 반발과는 사뭇 다르게, 올 스톱되어버린 음악방송들을 당연하게 여기게 만드는 이유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