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이 드라마 제목이 왜 '펀치'인가 했더니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이 드라마 제목이 왜 '펀치'인가 했더니

D.H.Jung 2015. 1. 15. 09:59
728x90

<펀치>, 정의와 진실을 빙자한 끝없는 난타전의 현실

 

이것은 난타전이다. 한쪽에서 스트레이트를 날리면 다른 한쪽에서는 어퍼컷을 올린다. 주먹이 날아갈 때마다 피가 튀고, 맞은 자는 휘청거리지만 금세 자세를 잡고 회심의 일타를 날린다. 게다가 이 난타전의 주인공은 절박하다. 시간이 정해져 있다. 그 시간 내에 상대방을 넘어뜨리지 않으면 자신은 허망하게 링을 내려와야 한다.

 

'펀치(사진출처:SBS)'

드라마 <펀치>는 바로 이 권력의 링 안에서 벌어지는 난타전이다. 제 멋대로 해석되고 활용되고 이용되는 법은 스트레이트이자 어퍼컷이고, 국민의 여론을 만들어내는 언론은 카운터펀치가 된다. 시한부 판정을 받은 박정환(김래원)과 그와 함께 하게 된 전처 신하경(김아중)이 한 편이라면 서로의 약점을 쥔 채 동거에 들어간 이태준(조재현) 검찰총장과 윤지숙(최명길) 법무부장관이 다른 한 편이 되었다. 하지만 이 난타전은 처음부터 편이 이렇게 정해져 있던 건 아니다.

 

처음에는 박정환과 이태준이 한 편이었고, 신하경과 윤지숙이 다른 한편이었지만 이태준이 박정환을 배신하고, 윤지숙의 숨겨진 본색이 신하경에게 드러나자 판이 바뀌었다. 오션캐피털을 가지려는 이태준 총장과 아들의 병역비리를 덮으려는 윤지숙 장관을 움직이는 동력은 돈과 권력이다. 그들은 번지르르한 명분을 앞세워 자신들의 욕망을 채우려 한다.

 

그런 그들을 끌어내리려는 박정환과 신하경은 목적이 약간 다르다. 신하경이 정의와 진실을 추구한다면 박정환은 오로지 가족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이다. 얼마 남지 않은 삶. 박정환이 날리는 펀치는 그래서 절박하면서도 두려움이 없다. “어차피 사람은 다 죽어.” 이렇게 말하는 박정환에게는 죽음을 앞둔 자의 욕망에 대한 무상함이 담겨 있다. 정의로운 검사는 아니지만 그렇기 때문에 순진한 싸움 따위는 하지 않는 박정환이 그나마 이 살벌한 링 위에서 강력한 힘을 가진 이태준, 윤지숙과 맞서 버틸 수 있는 힘이 된다.

 

정의를 얘기하지만 드라마의 재미는 저마다의 목적 앞에서 끝없이 변화하고 부딪치는 인간군상의 이야기에 담겨져 있다. 적어도 <펀치>는 정의로운 자가 승리한다는 식의 순진한 이야기를 던지지 않는다. 그리고 이것은 대중들이 세상의 현실을 바라보는 시선 그대로일 것이다. 정의 운운하며 발표되는 사안들은 겉치레일 뿐이고 그 내막은 그네들의 끝없는 욕망들이 꿈틀댄다.

 

가끔씩 뉴스로 보여지는 대기업 회장의 병보석 이야기나, 병역 브로커를 두고 벌어지는 밀고 당기기의 거래, 인사권을 갖고 벌이는 장관과 총장의 갈등 같은 것들은 우리가 현실에서도 늘 뉴스로 보던 것이지만 그 내막을 드러내는 드라마는 그것을 전혀 다른 이야기로 전달한다. 아마도 땅콩 회항을 염두에 둔 시퀀스인 듯한 브로커의 해외도피를 막기 위해 비행기를 돌리려 하자 이를 막는 윤지숙 장관의 대사는 그래서 더욱 흥미롭다. 괴물을 잡으려다 괴물이 된 윤지숙 장관은 항공보안법 42조를 얘기하며 회항을 막는다. “항공보안법 제 42조 위계 또는 위력으로 항공기의 정상 운행을 방해하는 자는 1년 이상 10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어네스트 헤밍웨이가 얘기했듯이 어차피 링이란 현실의 또 다른 축소판일 것이다. <펀치>라는 링은 그래서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을 축소해 보여준다. 그러면서 저들의 입에서 툭하면 호명되는 정의와 진실의 이야기가 얼마나 의미 없는 것인가를 아프게도 드러내준다. 세상을 바꾼다는 것은 박정환처럼 저들의 세상이 실제로 어떻게 돌아가는가를 다 알고 있는 자가 죽음 같은 어떤 계기를 만나 마음을 돌리고, 저 자신마저 함께 불구덩이 속으로 뛰어들려 해야 겨우 가능성을 보인다는 걸 <펀치>는 우리에게 보여준다. 나쁜 놈과 덜 나쁜 놈 그리고 더 나쁜 놈이 있는 현실. <펀치>는 그 난타전의 현실에 날리는 주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