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가면', 그저 그런 막장의 유혹 빠지지 않으려면

728x90

<가면>, 가면 놀이가 돼서는 곤란하다

 

SBS <가면>이 다루려는 건 정체성에 대한 문제다. 살아있지만 죽은 사람의 삶을 살아야하는 자(변지숙)와 죽었지만 타인의 욕망에 의해 유령처럼 떠도는 자(서은하)의 이야기. 도플갱어인 그들은 가면이란 장치를 통해 삶을 바꾼다. 흥미로운 주제가 아닐 수 없다. 변신 욕구는 시대를 불문하고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소재지만, 이러한 범죄에까지 와 닿는 변신에 대한 욕망은 그 사회의 건강하지 못함을 드러낸다.

 


'가면(사진출처:SBS)'

즉 이 드라마는 가면이란 설정 자체가 이미 진지해질 수밖에 없는 특징을 만들어낸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막상 가면을 씌우고 나니 거기 보이는 많은 놀이(?)들이 있다는 점이다. 드라마적으로 이런 놀이들은 극성을 높여주고 때론 달달하게 때론 자극적으로 이야기를 풀어낼 수 있게 해준다. 이를테면 가면을 쓴 당사자인 변지숙(수애)과 그 사실을 모른 채 조금씩 그녀에게 마음이 이끌리는 민우(주지훈)의 사랑이다.

 

가면이란 장치를 쓰자 두 사람은 서로 끌리면서도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밖에 없게 된다. 변지숙은 다가오는 민우에게서 한 걸음씩 물러나게 된다. 자신의 진짜 정체가 드러나는 것이 두렵기 때문이다. 또 두 사람은 정략결혼을 한 사이로 한 방에서 지내지만 한 침대를 쓰지 않는다. 이것은 또 하나의 가면 장치다. 그들이 한 침대를 쓸 것인가 아닌가 역시 이 드라마의 달달한 자극 중 하나다.

 

가면을 씌우자 만들어지는 놀이는 이밖에도 많다. 변지숙에게 그 가면을 씌운 석훈(연정훈)은 그녀에게는 이 모든 사실을 터트릴 수 있는 두려운 존재이면서, 동시에 그 범죄의 공모자로서 그녀를 도울 수 있는 인물이기도 하다. 그래서 그녀의 정체를 아는 동창을 그는 끝내 살해한다. 또 그녀의 정체가 드러날 위기에서 그는 등장해 그럴 듯한 거짓말을 해댄다.

 

가면이란 설정은 결국 두 가지 장치를 가능하게 해준다. 멜로의 장애물로서 정체를 숨기는 장치가 그 하나고, 스릴러의 요소로서 범죄 사실을 숨기는 장치가 나머지 하나다. 이 두 장치가 서로 얽히면서 굴러갈 때 드라마의 극적 전개는 가능해진다. 여기에 여전히 가난한 지숙의 집안과 병을 앓는 노모 그리고 사채 빚을 받는 일을 하는 동생의 이야기가 겹쳐지고, 지숙을 향한 석훈의 시선이 단지 자신의 욕망만을 채우려는 게 아니라 죽은 서은하와의 비뚤어진 애정관계도 깔려 있다는 사실은 이 극적 전개를 더 복잡하게 만든다.

 

좋다. 가면이란 장치는 이만큼 충분한 효용을 드러낸다. 하지만 드라마는 단지 그런 놀이의 쾌감 때문에 보는 건 아니다. 하나의 이야기 흐름이 메시지를 관통해야 하고 놀이의 쾌감 역시 그 흐름 위에서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정도여야 한다. 그런데 <가면>은 이 장치를 활용한 놀이에 너무 깊게 빠져드는 경향이 있다. 그러다보니 이야기의 구성 또한 약간 패턴화되어간다. 즉 정체가 드러날 위기에 놓인 변지숙을 민우나 석훈이 등장해 구해주는 장면들이다.

 

변지숙의 캐릭터 또한 너무 수동적인 입장만을 만들어 놨다. 즉 그 범죄의 가면을 쓰게 된 그녀의 입장을 가족을 위한 희생 같은 선함에서만 찾다보니 너무 캐릭터가 일면적으로 그려지고 있다는 점이다. 그녀는 자신의 욕망을 저 밑으로 꾹꾹 눌러놓은 채 수동적인 위치에만 서려 한다. 누군가 그걸 건드려 주었을 때만 깨어나기 때문에 그녀의 행동이 너무 답답하게 여겨지는 면이 있다. 어차피 가면을 썼다면 그 가면이 주는 욕망을 끄집어내는 힘또한 무시할 수 없을 텐데도 그녀는 여전히 신파의 주인공처럼 그려진다.

 

<가면>은 그 장치가 가진 극성이 높은 드라마다. 그래서 시청률은 당연히 높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드라마가 가면이 가진 욕망의 변주를 제대로 그려내지 못하고 멜로나 스릴러적인 상황에만 빠져 가면놀이에 탐닉한다면 그것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막장의 유혹에 빠져버릴 지도 모를 일이다. 자극을 위한 자극으로만 치닫는. 가면놀이에서 벗어나 좀 더 인물들의 과감한 변신과 그 파국을 그려내는 일은 어려운 일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