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온에어’, 전문직과 멜로가 만났을 때 본문

옛글들/명랑TV

‘온에어’, 전문직과 멜로가 만났을 때

D.H.Jung 2008. 5. 1. 02:08
728x90

‘온에어’, 동그라미 치는 그들의 사랑법

이경민 PD(박용하)는 늘 서영은 작가(송윤아)의 대본을 읽으면서 빨간 펜으로 동그라미를 친다. 그것은 ‘재미있다’는 표현이다. 처음에 서영은은 그것이 무슨 숙제검사 하듯 대본 검사하는 것처럼 부담스러웠다. 하지만 차츰 이경민의 동그라미가 점점 간절해진다. 동그라미의 의미는 점점 진화한다. 대사에 동그라미가 하나도 없는 걸 확인하고 실망하던 차에, 서영은은 대본 첫 장에 쓰여진 자기 이름 위에 동그라미가 쳐져 있는 걸 발견하고는 아이처럼 즐거워한다. 동그라미가 단 한 개만 있는 대본을 주며 이경민이 그 한 신만 빼고는 다 좋다고 할 때, 둘 사이의 미묘한 감정이 움직인다. 직업적인 관계와 사적인 관계가 차츰 엮이고 부딪치는 부분이다.

‘온에어’가 가진 멜로의 장치는 바로 이 직업적인 관계로 사적인 관계를 숨길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경민과 서영은 간의 멜로는 대본을 통해 교감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되면 둘 사이에는 일정한 거리감과 긴장감이 유지된다. 이것은 오승아(김하늘)와 장기준(이범수) 사이의 관계에서도 마찬가지다. 매니저는 응당 자기 배우를 챙기는 것이 직업이지만, 때론 “내 배우”라는 말이 가진 뉘앙스는 매니저와 배우 사이의 미묘한 기류를 형성한다.

이것은 단순히 이경민-서영은, 오승아-장기준의 이분화된 라인으로만 흘러가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직업적으로 보자면 PD인 이경민은 당연히 배우인 오승아를 위해 신경을 써줘야 하는 것이고, 이것은 오승아의 매니저인 장기준이 드라마 첫 방영을 끝내는 산고(?)를 치른 서영은에게 미역국을 끓여다 주는 것과 마찬가지다. 요는 다 드라마가 잘 되기 위한 노력이라는 것으로 표면화된다는 점이다. 하지만 그 수면 아래 그들의 감정들은 조금씩 교차된다.

전문직 장르 드라마와 멜로의 공존에 있어서 수많은 비판을 받아온 것은 ‘전문직은 없고 멜로만 있는’드라마들에서 비롯되었다. 그런 비판 때문인지 전문직 장르 드라마에 멜로가 들어가면 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보고 놀라듯 드라마를 백안시하는 경향이 있다. 심지어 멜로 드라마는 뭔가 트렌디하고 뻔한 것이라는 암묵적인 시선까지 생겼다. 하지만 사실 어떤 드라마든 멜로는 있을 수 있다. 어찌 사람과 사람이 만나는데 멜로가 생기지 않을 수 있을까.

문제는 멜로를 어떻게 활용하고 어떤 방식으로 드러내느냐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보면 ‘온에어’는 전문직이라는 장치를 멜로에 활용하고 있는 셈이다. 유난히 이 드라마에서는 인물들 간의 팽팽한 대립이 많은데, 그것은 바로 직업적인 관계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오승아와 서영은, 서영은과 이경민, 이경민과 오승아, 오승아와 장기준의 대립은 배우, 작가, PD, 매니저 간의 힘 겨루기처럼 그려진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 힘 겨루기 이면에는 그들이 가진 감정이 숨겨져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들의 드러내지 않는 사랑법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멜로를 쿨하게 그려낸다. 초반부 만나기만 하면 으르렁대는 모습은 물론 어떤 사적 감정이 끼여든 것이 분명하지만, 직업적인 프로의식의 한 측면으로 가려진다. 이러한 대립적인 관계는 이제 실제로 드라마가 제작되는 단계로 넘어오면서 전환점을 맞는다. ‘티켓 투 더 문’이라는 드라마에 동승한 이상, 서로를 격려하고 치켜 세워주는 분위기로 바뀌는 것이다. 이 부분에서도 역시 사적인 감정은 직업적 상황 속에서 가려진다.

‘온에어’가 보여주는 멜로가 쿨하게 보이는 것은 바로 이러한 직업적 관계에 동그라미를 치는 간접화법에 기인한다. 대본을 바꾸겠다며 애써 웃어 보이려는 서영은에게 지금 대본 대로 간다고 말하는 이경민. 그 말에 흘리는 서영은의 눈물은 직업적인 관계에서 끝까지 자신을 밀어주는 이경민에 대한 고마움일 수도 있고, 사적인 감정의 발로일 수도 있다. 아직까지 ‘온에어’의 멜로가 좋은 지점은, 그 울고 있는 서영은을 이경민이 끌어안기보다는 그 앞에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채 바라보고 있다는 것이다. 그 거리감이 주는 일정한 긴장감, 그것이 전문직과 멜로가 만날 때 꼭 필요한 것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