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상근이를 보면 ‘1박2일’이 보인다

728x90

상근이가 마스코트이자 제7의 멤버인 이유

스타 못지 않은 대접을 받고 있는 ‘1박2일’의 마스코트, 상근이. 하지만 최근 들어 ‘1박2일’에서의 활약상이 과거와 같지 못하다는 얘기가 솔솔 나오고 있다. 혹자는 이런 상황에 처한 상근이를 두고 ‘반짝 스타’를 떠올리기도 하나 보다. 그 인기는 언론 플레이가 만들어준 것일 뿐이라는 것이다. 물론 그런 부분이 분명히 있다. 현재 피부병에 대한 기사만 봐도 그렇다. 연예인들 중 어느 누가 피부병에 걸렸다고 기사화까지 될까 싶다. 하지만 이것은 거꾸로 생각해보면 상근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는 걸 알 수 있다. 상근이는 시청자들이 보호해주고 싶은 혹은 꼭 보호해줘야 할 존재로서 인기를 끌고 있기 때문이다.

상근이가 주목을 받은 이유는 단지 언론 때문만이 아니다. 거기에는 ‘1박2일’이라는 프로그램 성격과 상근이의 캐릭터와의 상관관계가 있다. 야생 버라이어티를 주창하는 ‘1박2일’에서 상근이는 야생 그 자체를 상징하는 캐릭터다. 초창기 ‘1박2일’을 떠올려보면 야생에서 하룻밤을 지내는 출연진들의 고생담이 거의 대부분이었다는 걸 상기할 수 있다. 그 때 상근이란 존재는 그냥 그 출연진들 옆에 있기만 해도 부각될 수밖에 없다. 이것은 야생 그 자체인 상근이와 문명의 때가 잔뜩 묻은 출연진들로 대비되면서 양자의 캐릭터를 모두 강화하는 효과를 지닌다.

여기서 재미있는 것은 이 대비가 차츰 흐려지고 비슷해지는 순간이다. 즉 출연진들이 처음에는 야생의 이질적인 존재로서 등장하다가 차츰 야생에 적응해가는(혹은 잘 버티고 있는) 모습들을 보이는 순간 순간이 ‘1박2일’의 중요한 재미요소였다는 말이다. 그러니 상근이와 출연진들은 초반부에는 서로 간의 거리가 먼 존재였다가 차츰 가까워지는 존재가 된다. 상근이와 은초딩, 허당 같은 캐릭터가 서로 눈밭에서 어울리고 뛰어다니는 모습에서 떠오르는 것은 저 무인도에 떨어졌던 로빈슨이 유일하게 살아남은 개와 함께 적응해가는 모습이다.

특히 ‘1박2일’의 성공 조건이 되었던 것은 겨울이라는 계절적인 조건이었다. 추위라는 원초적인 야생에서의 하룻밤을 두고 복불복 게임은 큰 힘을 발휘할 수 있었다. 이 조금은 극단적인 야생 상황 속에서 상근이의 존재는 분명한 대비효과이면서(자신은 여유로운), 또 한편으로는 위안이 되는 존재(기댈 수 있거나 혹은 보호해줘야 할 대상으로 존재한다는 점에서)이기도 하다. 상근이의 존재가 최근 잘 눈에 띄지 않는 이유는 바로 이 계절적 요인(따뜻한 봄의 도래)이 크다고 보인다. 그리고 이것은 상근이만이 아니라 ‘1박2일’ 자체가 가진 현재의 도전상황이기도 하다. ‘1박2일’에게 봄은 새로운 도전이 된다.

그리고 이 봄은 단지 계절적인 요인만이 아닌, 소위 뜰대로 떠버린 프로그램 자체의 상황을 말해주기도 한다. 이미 적응해버린 로빈슨에게는 새로운 미션이 주어지지 않으면 재미가 반감될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서 ‘1박2일’이 여서도를 선택한 것은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1박2일’을 성공시켜주었던 섬이라는 공간(소외된 지역, 야생의 공간, 혹은 로빈슨 적인)을 다시 되새기면서 초심을 다시 다질 수 있는 여건이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곳에서 출연진들이 새로운 면모를 보여준다면 ‘1박2일’의 도전상황은 오히려 좀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해줄 지도 모른다. 그리고 이러한 출연진들의 새로운 모습이 가장 극명하게 보여지는 자리에 상근이는 대비되는 존재의 모습으로 서 있을 것이다. 이런 면에서 상근이는 가만히 존재하기만 해도 ‘1박2일’의 현재를 보이게 하는 구석이 있다. 이것이 상근이가 ‘1박2일’의 마스코트이자 제 7의 멤버인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