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유퀴즈' 교과서엔 없는 찬란한 역사, 김동우 사진가에게 경의를

728x90

'유퀴즈'가 소개한 김동우 사진작가가 보여준 역사란

 

그는 기자라는 직업을 접고 2년 간 전 세계를 돌면서 독립운동 유적지를 찾아다니며 사진을 찍었다고 했다. 김동우 다큐멘터리 사진가의 이야기다. tvN <유 퀴즈 온 더 블록>이 8.15 광복절을 기념해 특집으로 기획한 '남겨진 이들의 역사'편에서 그는 그간 찍었던 사진들을 하나하나 보여주며 거기 담겨진 숨은 역사의 이야기들을 들려줬다. 우리가 알고 있는 해외의 독립운동의 이야기들도 있었지만, 너무나 생소한 이야기들도 적지 않았다.

 

이런 역사들이 어째서 기록으로 남아 우리에게 알려지지 않았을까. 사실 김동우 사진가가 이 일에 뛰어든 것 역시 바로 이런 안타까움을 충격적으로 접하고 나서였다고 한다. 인도 델리의 레드포트라는 곳을 찾아갔다가 그 곳에서 1943년 아홉 명의 광복군들이 파견되어 영국군들과 같이 훈련을 받았다는 사실을 알고는 그런 사실을 전혀 몰랐던 데 놀랐다는 것이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군의 요청에 보내진 그들은 적은 숫자지만 훈련 후 실제 미얀마 전선에 파견되어 일본군에 대항해 큰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그들이 참전한 데는 전후 연합군 참전국 지위를 얻어 독립을 주장하기 위함이라는 중대한 이유가 있었다. 그 사실을 접한 김동우 사진가는 너무 놀랐고 자신은 이런 역사를 "왜 교과서에서 배우지 못했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됐고 그것이 다큐멘터리로 이 작업을 하게 된 계기가 됐다고 했다.

 

멕시코 살리나 크루즈 해변에서 수평선 저편을 바라보고 있는 자신을 찍은 사진은 1905년 제물포에서 멕시코로 떠난 1033명의 한인들의 아프지만 숭고한 역사가 담겨 있었다. 우리에게는 '애니깽'으로 잘 알려져 있는 그 역사. 마침 경술국치로 돌아갈 고국이 사라진 이들은 그 곳에서도 고국을 그리워하며 그들만의 방식으로 독립운동을 이어나갔다.

 

그가 어스름 해가 떠오르기 직전에 찍은 에네켄(애니깽이라는 말이 여기서 나옴)이라는 선인장 사진은 새벽 5시면 나와 일을 했던 당시 선조들의 고단한 삶이 묻어났다. 그분들은 계약기간이 끝난 후에도 숭무학교라는 독립군 양성학교를 만들었고, 독립운동을 후원하는 모금 운동도 해나갔다고 한다.

 

그는 전 세계의 독립운동가 후손들을 만나 사진을 찍기도 했는데, 그 사진들 속에는 인물을 흐릿하게 지워지는 형상으로 담겨 있었다. 그것은 역사에 대한 우리의 기억이 그러하지 않을까 하는 걸 표현한 것이라고 했다. 실제로 우리는 교과서에 담겨있는 역사들조차 잘 기억하지 못하고 있지 않은가. 하물며 기록에조차 남겨져 있는 역사라면 어떨까.

 

만주 왕칭현의 동굴 벽에 그려진 태극기 사진도 그렇게 기록하지 않으면 지워질 지도 모르는 역사가 아닐 수 없었다. 첩첩산중을 힘겹게 오르고 올라야 마주하는 그 동굴 벽에서 김동우 사진가는 그 태극기 벽화와 대한독립군이라는 지칭 아래 적힌 이름들을 마주하곤 목이 메었다고 한다. "나라가 뭐하고 이렇게 하셨을까 싶은데 그분들 덕에 지금이 있는 것"이라고 그는 말했다.

 

교과서를 통해서만 접하던 당대의 역사는 만주와 상해만을 독립운동이 벌어졌던 곳으로 기억하게 만드는 면이 있다. 김동우 사진가가 사진을 통해 보여준 것처럼 하와이 같은 곳에서 벌어졌던 우리네 최초의 공군을 시도했던 현장들에는 푯말 하나 남아있지 않아 그 역사 자체가 지워질 위기에 놓여 있었다.

 

김동우 사진가의 사진은 그래서 우리가 봐온 역사가 얼마나 반쪽짜리였던가를 새삼 깨닫게 해준다. 그런 기록과 이를 통한 기억이야말로 지금의 우리가 어떻게 이 자리에 이런 모습으로 서 있을 수 있게 된 것인가를 제대로 알 수 있는 일이 아닐까. 김동우 사진가의 사진에 담긴 그 노력의 가치 앞에 유재석도 조세호도 깊은 공감을 하게 된 이유다.(사진:tv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