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독설의 대가들, 그 존재의 이유

728x90

독설, 이독제독(以毒治毒)의 기능, 지나치면 독

예능 프로그램에 언제부턴가 등장해 거침없는 독설로 주목을 끌고 있는 이들이 있다. 예능계에 김구라, 박명수가 있다면, 가요계에는 신해철이 있고, 개그계에는 왕비호(윤형빈)가 있다. 하나같이 독설가라는 이미지로 읽히지만, 그 양상은 조금씩 다르다. 상대방의 말을 받아치는데 능한 김구라는 특유의 공격적이고 집요함이 특징이며, 박명수는 약간은 모자란 듯이 자신을 낮추며 상대방에게 호통을 치는데 능하다. 신해철은 특유의 직설어법으로 연예계에서부터 사회전반에 걸쳐 진지한 비판을 하는 반면, 왕비호는 독설을 개그의 틀로 끌어와 신비화된 스타들을 비틀면서 웃음을 유발하는 ‘귀여운 독설가’이미지를 갖고 있다.

연예계에 독설가들이 이렇게 자리를 잡게 된 것은 작금의 달라진 방송 환경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시대는 이제 신비주의 전략을 고수할 수 없는 개방적인 대중사회로 변화해가고 있으며 이 상황 속에서 TV의 ‘맨 얼굴 숨기기 전략’은 거짓으로 치부되었다. 길거리에서 우연히 폰카에 찍힌 연예인 굴욕사진들이 순식간에 인터넷에 퍼지고 화제가 되는 시대에, 아닌 척 하는 이른바 짜고 치는 고스톱은 더 이상 먹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렇게 달라진 시대에 대본에 의해 만들어진 대사들과 이벤트, 제스추어들은 ‘방송의 독’이 되었다.

박명수의 호통개그와 김구라의 막말개그가 주목을 받게 된 것은 바로 이 ‘방송의 독’에 시청자들이 식상함을 느낄 때였다. 이전에는 재미없는 출연진들의 멘트에 억지로라도 웃음을 강요했었다면, 박명수는 그 재미없는 멘트에 대해 “야야야! 재미없잖아!”하고 호통을 쳤다. 김구라는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숨기고 있는 연예인들의 이면을 들춰내기 시작했다. 약점으로 지목된 부분들을 거침없이 들춰내 이야기의 도마 위에 올려놓는다는 것은 물론 과격해 보이지만 그것은 한편으로는 독으로서 독을 치유하는 이독제독(以毒治毒)의 기능도 한다.

김구라가 ‘명랑히어로’에 출연한 김성주 아나운서를 ‘배신의 아이콘’으로 부르고, 김국진을 ‘이별의 아이콘’으로 부를 때, 일부 시청자들은 그것이 지나치다고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바로 이 순간에 이독제독의 기능이 수행된다. 김구라는 문제가 되었던 연예인들에게 갈 모든 비판을 자신이 대신 한 셈이 되며, 그걸 통해 거꾸로 비판을 동정과 이해의 시선으로 바꾸기 때문이다. 즉 시청자들이 ‘그 비판의 말이 맞다’고 생각하게 내버려두는 것보다는 ‘지나치다’고 생각하게 만드는 독한 말이 오히려 비판의 대상에는 순기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독설의 기능을 프로그램화 한 것이 ‘무릎팍 도사’다. 초기 문제 있는 연예인들이 기꺼이 곤혹스러워 보이는 질문공세를 받을 각오로 이 프로그램에 출연한 이유는 바로 이 독설의 기능이 가져올 이점들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무당집 같은 분위기에 살풀이를 한다는 컨셉트는 애초부터 ‘무릎팍 도사’가 이 기능들에 주목하고 있었다는 걸 잘 말해준다. 면죄부라고 하면 지나치겠지만 적어도 ‘문제 연예인’이라는 이미지를 상쇄시키고 그 문제를 시청자들과 나눌 수 있는 자리는 충분하기 때문이다.

물론 독설은 지나치면 독을 제거하는데 사용되지 않고 오히려 치명적인 독이 된다. 아프지만 솔직하고 직설적인 이야기와 비방은 다르며, 독설과 막말은 다르다. 이미 인터넷 환경을 통해 누구나 독설을 내뱉는 이른바 ‘독설의 평준화’가 이루어진 상황에서 자칫 독설은 본래의 진정성의 틀에서 벗어나 주목도를 높이려는 형식전략의 하나로 변질될 수도 있다. 바로 그런 우려에 대한 자성 때문일까. 최근 들어 김구라나 박명수, 그리고 프로그램으로서의 ‘무릎팍 도사’는 특유의 독설을 풀어내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독설은 아직 유효하다. ‘공감 가는 악플러’는 늘 널리 퍼져있는 찬양가들과 함께 공존하면서 건전한 균형감각을 만들어주기 때문이다. 속히 건전한 독설의 대가들이 귀환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