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범죄가 남 이야기? '알쓸범잡', 재미는 물론 쓸모까지 챙겼다 본문

옛글들/명랑TV

범죄가 남 이야기? '알쓸범잡', 재미는 물론 쓸모까지 챙겼다

D.H.Jung 2021. 4. 8. 10:13
728x90

'알쓸범잡', 어째서 범죄 이야기를 스핀오프로 가져왔을까

 

2018년 <알아두면 쓸데없는 신기한 잡학사전3(이하 알쓸신잡)>가 방영된 지 벌써 햇수로 3년이나 지났지만, 이 프로그램은 시즌4로 오지 못했다. 아무래도 그간 이 프로그램의 주축이라 할 수 있었던 유시민이 방송을 하기에는 여러모로 정치적 이슈들이 적지 않아 참여하기가 어렵다는 사실이 그 이유가 아니었을까 싶다. 물론 다른 출연자가 그 빈자리를 채워도 되지만 워낙 이 프로그램의 상징성이 큰 인물임을 부인하긴 어렵다.

 

그래서 양정우 PD는 이 프로그램의 스핀오프로서 <알쓸범잡>을 갖고 돌아왔다. 굳이 <알쓸범잡>이라 줄인 표현으로 제목을 삼은 건, '알쓸신잡'으로 불리던 본편의 연장선이면서 동시에 차별화가 있다는 걸 드러내기 위함이다. '범죄'를 하나의 심화된 아이템으로 삼았고, '쓸데없는'을 '쓸데 있는'으로 바꾸었다. 물론 <알쓸신잡>도 제목은 '쓸데없는'으로 썼지만 그건 인문학도 재밌게 접근할 수 있다는 걸 강조하기 위함이었다. <알쓸범잡>은 대놓고 쓸데 있음을 강조했다.

 

그 이유는 첫 회만 봐도 드러난다. '이것은 우리 주변의 이야기입니다'라는 캐치 프레이즈처럼 범죄는 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우리 주변에 있고, 무엇보다 중요한 건 그런 범죄가 생겨나는 이유가 저 멀리 있는 것으로 치부하는 우리의 '무관심'에서 비롯된다는 걸 이 프로그램은 첫 회 '부산편'을 통해 보여줬기 때문이다.

 

34년 전 벌어졌던 '한국판 홀로코스트'로 불리는 형제복지원 사건은 단적인 사례였다. 88올림픽을 앞두고 벌어진 이 사건은 도시 부랑인들을 수용한다는 명목으로 민간이 위탁받아 저지른 조직적인 범죄였다. 부랑인들도 그렇게 취급되면 안 되는 일이지만, 이 시설에는 무려 70%의 가족이 있는 사람들조차 끌려와 노예 취급을 당했고 폭력과 성폭력을 일상적으로 겪었다. 확인된 사망자만 513명이었다는 것.

 

하지만 이 사건이 알려지고 나서도 형제복지원 원장은 납치와 감금에 있어서 무죄를 선고받았고 단지 횡령죄로 2년 6개월의 선고받았다고 했다. 정재민 법학박사는 당시에 박종철 서울대생 고문치사사건이 대서특필됐던 것과 비교해 무려 513명이 사망한 이 사건이 조명되지 못했던 걸 짚어내며 안타까워했고, 김상욱은 이 사건의 본질이 우리의 '무관심'이라는 걸 강조했다.

 

<범죄와의 전쟁>, <마약왕> 등 영화의 소재가 되기도 했던 1980년대 부산의 마약 밀수에 대한 이야기도 흥미진진했다. 당시 화이트 트라이앵글의 한 축이었던 부산은 일본에 제공되는 마약의 생산기지이기도 했었다고 한다. 김상욱은 마약이 어떻게 아편에서부터 몰핀, 헤로인으로 변화해왔는가와 코카인과 필로폰에 대한 이야기를 과학적 시각으로 소개한 건 물론이고. 이러한 마약의 등장이 20세기 들어 강도가 높아진 '노동'과 관련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려줬다. 마약의 이야기가 우리가 지금도 매일 겪고 있는 강도가 높아진 '노동' 같은 '우리 주변 이야기'로 연결되는 것.

 

또 낙동강변 살인사건으로 무고한 최인철, 장동익씨가 고문에 의해 살인죄를 뒤집어쓰고 무기징역 선고를 받았다 재심으로 무죄가 입증된 사건 역시 '무관심'과 관련 있었다. 박지선 범죄심리학자는 당시 '얼마나 아무도 이분들의 이야기를 들어주지 않았는가'를 통탄해 했다. 고문으로 나오게 된 진술과 갑자기 등장한 보강증거에 의해 누군가의 삶이 살인자로 낙인찍혀 감옥까지 가게 된 그 일은 만일 우리가 관심을 두지 않으면 또 벌어질 수도 있는 사안일 수 있었다.

 

최근 들어 '범죄'라는 소재는 대중들이 관심을 갖는 방송의 한 분야가 되고 있다. 범죄 스릴러들이 시청자들의 호응과 공감을 얻고 있고, <유 퀴즈 온 더 블럭> 같은 경우 범죄를 카테고리로 했던 프로파일러나 형사들의 이야기가 큰 주목을 받기도 했다. <알쓸범잡>은 이러한 범죄에 대한 관심을 스핀오프로 끌어오면서, 그것이 남 이야기가 아닌 우리의 이야기라는 걸 강조함으로써 재미와 더불어 '쓸모'까지 보여주었다.

 

물론 범죄 한 분야로 카테고리화되어 있어 <알쓸신잡>이 보여주던 다양한 담론들의 묘미에는 떨어질 수밖에 없지만, 그 분야에 특히 관심이 있는 이들에게는 보다 깊이 있는 이야기들이 귀는 물론이고 마음까지 잡아끄는 힘이 있다. 향후 어떤 지역에서 또 어떤 사건들을 통해 그 시사점과 흥미로운 관점들을 더해줄지 기대되는 대목이다.(사진:tv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