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적 공감대 없는데 왜 코리아를 붙일까
미스코리아 대회에 대한 관심은 시들해졌다. 과거 대회가 열리면 TV 앞에 삼삼오오 모여 앉아 ‘나름대로의 채점’을 해보던 시절과 비교해보면, 언제 그런 대회가 있었느냐고 할 정도다. 이것은 여성을 상품화한다는 비판에 따라 2002년을 기점으로 공중파 방송이 중단되면서부터이다. 이로써 사실상 연예인 선발대회의 성격을 띄었던 미스코리아 대회와 공중파 방송과의 밀월 관계는 끝난 셈. 2002년 이후 지금까지 눈에 띄는 미스코리아 출신 연예인이 별로 없는 것은 이 사실을 방증한다.
미스코리아는 더 이상 연예인의 등용문이 아니다
미스코리아가 연예인의 등용문으로 인식된 것은 80년대 후반 김성령(88 진), 고현정(89 선), 오현경(89 진) 같은 스타들을 쏟아내면서부터다. 이후 염정아(92 미), 이승연(92 미), 김남주(92 경기진), 성현아(94 진), 최윤영(95 선), 권민중(96 한국일보), 김지연(97 진), 김사랑(2000 진), 손태영(2000 미), 박시연(2000 한주여행사) 등 수많은 연예인들이 미스코리아를 통해 배출됐다. 이후에도 몇몇 수상자들은 아나운서로 진출하기도 했지만 과거에 비하면 그다지 주목되지는 않았다. 분명한 건 이제 미스코리아는 더 이상 연예인이 되는 길을 확실히 제공하지는 못한다는 사실이다.
미스코리아 대회에 대한 시들해진 관심은 또한 달라진 미의 기준 때문이기도 하다. 과거에 우스웠던 점은 성형외과 의사가 나와서 예를 들면 삼등 분할 같은 완벽한 얼굴의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그것이 과학적 기준이라는 것이었지만 본래 미라는 것은 객관적으로 평가될 수 없는 어떤 것이며 이것은 지금 시대에 와서 더욱 그러하다. 그 만큼 다양한 취향과 개성들이 존재하는 시대에 최고의 아름다움을 어떤 기준으로 뽑을 수 있을 것인가. 지금은 1백 명이 뽑으면 1백 가지의 아름다움이 뽑히는 시대다. 따라서 미스코리아 대회에서의 진선미라는 순위는 납득될 수 없는 것이 된다. 심사위원들의 개인적 잣대를 통해 진선미를 뽑는 미스코리아 대회는 저들만의 리그일 뿐이다.
미스코리아 대회의 실체와 포장 사이의 간극
미스코리아 대회를 연예인 선발대회의 하나로 인식하게 되는 건 그걸 바라보는 한국인(이건 그저 미인선발대회가 아니라 코리아가 붙은 국가적인 대회다)과의 공감대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니 겉으로 내세우는 나라의 홍보대사니 국위선양 같은 홍보문구는 낯간지러운 것이 되고 만다. 실체는? 연예인이 되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바로 이들이 국가적 행사인 양 포장하면서 은근히 민족주의적인 색채를 가미시켜, 대회의 본질인 ‘여성의 성 상품화’를 가려왔던 것이 이제는 오히려 대회의 발목을 잡는 족쇄가 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2008년 미스코리아 미에 뽑힌 김희경이 과거 성인화보를 찍은 것과 2007년 미스코리아 미의 김주연이 낙태를 한 사실이 불거지자 타이틀을 서둘러 박탈한 것은 아마도 숨겨졌으면 좋았을 국가대표(?)의 결격사유가 드러났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미스코리아의 수영복 심사와 김희경이 찍은 성인화보는 그 드러나는 형식이 다를 뿐 성 상품화라는 차원에서는 사실상 같은 것이나 마찬가지다. 따라서 이 대회의 심사위원이 품위 운운하며 김희경의 타이틀을 박탈하는 것은 넌센스다. 게다가 이미 미스코리아로 연예계로 뛰어든 몇몇 연예인들이 찍은 성인화보는 되고, 미스코리아가 되기 전에 한 성인화보는 안 된다는 건 어딘지 앞뒤가 잘 맞지 않는다. 중요한 건 이 대회의 본질로 보면 이미 연예인이 된 미스코리아의 화보촬영은 성공으로 간주되는 것이지만, 미스코리아가 되기 전에 찍은 화보는 대회의 포장을 더럽힌다는 점이다. 김희경의 타이틀 박탈 사건이 보여주는 건 미스코리아 대회의 실체와 그 포장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이다.
저마다의 개성을 미의 기준으로 삼는 시대에, 획일적인 미의 순위를 가르는 미스코리아 대회는 이미 시대착오가 되었다. 대회의 실체가 언제부턴가 연예인이 되는 길로 바뀌어졌지만 공중파와 고리가 끊어진 지금은 그 길마저 불확실한 상황이다. 어쩌면 공중파들은 이 달라진 시대에 미스코리아 출신이 갖는 무게감이 과거와는 달라졌다는 것을 이미 알아차린지도 모른다. 미스코리아 대회는 더 이상 존재할 이유가 없다. 굳이 존재하려 한다면 차라리 대회의 본질에 합당한 새로운 이름을 갖는 편이 그나마 대중들의 공감을 확보할 수 있는 방편이 될 것이다. 코리아라는 거창한 단어는 빼고 말이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능의 올림픽특집, 그들도 할말은 있다 (0) | 2008.08.18 |
---|---|
‘전설의 고향’인데...왜 안 무섭지? (0) | 2008.08.14 |
올림픽 방송은 쏠림 현상의 종합선물세트인가 (0) | 2008.08.12 |
새로운 ‘구미호’는 왜 재주를 넘지 않을까 (2) | 2008.08.07 |
‘전설의 고향’, 다시 전설이 될 것인가 (0) | 2008.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