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스친소’, 스타의 친구를 바라보는 두 시선

728x90

스타의 후광을 받는 친구 혹은 스타가 되고자 하는 친구

스타가 TV 저 편에 존재하는 외계인이라면, 친구는 TV 이 편에 존재하는 보통사람이다. 그리고 그 중간지대에 ‘스타의 친구’가 있다. 즉 ‘스타의 친구’는 스타는 아니지만 그 스타의 후광을 받는 ‘특별한 보통사람’이다. 바로 이것은 ‘스타의 친구를 소개합니다(이하 스친소)’를 규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스타의 친구’라는 독특한 지점
짝짓기 프로그램들은 초기 ‘사랑의 스튜디오’의 일반인 짝짓기에서 시작해, 2000년대 들어 붐이 일었던 동거동락(2001), 천생연분(2002), 산장미팅-장미의 전쟁(2003), X맨(2005), 리얼 로망스 연애편지(2006) 등의 스타 짝짓기 프로그램들로 이어졌고, 최근에는 ‘우리 결혼했어요’, ‘골드미스 다이어리’, ‘꼬꼬관광 싱글♥싱글’같은 스타들의 짝짓기이면서도 그 일상을 포착하는 리얼리티 스타 짝짓기 프로그램으로 진화했다.

하지만 이 리얼리티 경향 속에서 여전히 과거의 틀, 즉 스튜디오나 특정 장소에서의 장기자랑과 게임, 그리고 선택이라는 전형적인 짝짓기 프로그램의 단순한 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건 ‘스친소’가 거의 유일하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스친소’만이 가진 ‘스타의 친구’라는 독특한 지점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짝짓기 프로그램에 스타가 직접 등장했던 시기에는 그 ‘스스로 빛나는’ 그네들의 일거수 일투족과 언뜻언뜻 드러나는 아슬아슬한 속내가 시청자들의 눈과 귀를 사로잡았다. 하지만 이 형태의 짝짓기 프로그램이 비판을 받게 된 것은 우후죽순 생겨난 유사 프로그램들이 시청자들의 선택권을 앗아간 탓도 있지만 프로그램 자체가 지나치게 스타들 자신들의 홍보의 장이 되어버린 탓도 있다. TV 이편의 세계에 놓여진 시청자들은 저들끼리 웃고 떠드는 그 프로그램에서 재미를 느끼면서도 한편으로 소외되는 양가적 경험을 해야했다.

‘스타킹’과 ‘스친소’의 유사점
‘스타킹’은 이 상황을 뒤집어놓음으로써 소외된 시청자를 프로그램의 무대 위로 올렸다. 일반인들이 무대에서 자신들의 장기를 보이고, 스타들이 객석에 앉아 아낌없이 박수와 환호를 보내주는 이 프로그램은 누구나 영상의 주인공이 될 수 있는 UCC 시대의 징후를 가장 잘 보여주는 예능 프로그램이 되었다. 그 연장선상에서 짝짓기 프로그램과 만나 탄생한 것이 ‘스친소’라 할 수 있다.

스타는 자신의 친구를 자랑하고, 그 친구가 이 짝짓기에서 성공하게 하기 위해 갖은 노력을 다한다. 친구는 거기에 맞춰 자신의 끼를 한껏 발휘한다. 그런데 ‘스타킹’에 출연하는 보통사람들이 그저 보통이 아닌 특별한 능력과 재주를 가진 것처럼, ‘스타의 친구’들 역시 보통 사람으로는 상상하기 힘든 끼와 재능을 가지고 있다. 이 ‘특별한 친구’는 프로그램의 재미를 위해서도 필수적인 것이지만, 또한 친구를 소개하는 스타 자신의 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에는 스타 중의 스타가 존재하는 ‘스타킹’처럼, ‘스타’ 그 이상의 ‘스타의 친구’가 존재한다. 붐의 친구인 장마철은 이 프로그램이 만든 스타 중의 스타다. 특유의 끼로 똘똘 뭉친 그는 출연하는 스타들을 모두 포복절도하게 하는 재미를 줌으로써 거꾸로 그 친구인 붐을 돋보이게 하는 역할까지 해낸다. 또 MC몽의 친구로 등장한 박장근은 프로그램에서 만든 ‘전국민 러브송’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준연예인이라는 비판과 주목도 사이의 아슬아슬한 줄타기
‘스타의 친구’가 이처럼 스타 이상으로 주목받고, 또 그럼으로써 이 프로그램이 유지될 수 있기 위해서는 따라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 있다. 그것은 섭외되는 ‘스타의 친구’가 스타도 보통사람도 아닌 그 중간지대에 머물러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과거 연예인 지망생들이 데뷔의 수순처럼 스타와 함께 출연해 비판받았던 짝짓기 프로그램들(예를 들면 ‘장미의 전쟁’ 같은)과 아무런 차별성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장마철은 본래 문웅기라는 이름의 영화배우로 ‘고사’에 출연했고, 서인영의 친구 이세미는 MBC ‘섹션TV 연예통신’의 리포터로 등장했다. 이밖에도 ‘스타의 친구’로 소개된 친구들은 대부분이 연예계 종사자이다. 이것은 물론 스타가 가진 직업과 연관이 있는 친구들이 소개되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일 수도 있다. 하지만 시청자들이 생각하는 ‘스타의 친구’와는 거리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프로그램의 성격상, 즉 ‘스타의 친구’라는 스타의 후광을 받는 인물로서의 친구가 갖는 기대감을 충족시키는 인물을 연예계와는 거리가 먼 보통의 직장인에서 찾기가 사실상 어렵다는데 딜레마가 있다. 방송을 알고 그만큼 방송출연에 부담이 적은 데다가 특유의 끼로 무장한 인물은 아무래도 연예계 가까운 곳이 더 많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비판의 소지는 있지만 장마철 같은 재기 넘치고 발랄한 준 연예인이 등장했을 때 그 주목도는 높아진다. ‘스친소’에서 특집으로 방영한 ‘스타의 매니저를 소개합니다’는 어쩌면 이런 고민들이 작용한 결과는 아니었을까. ‘스친소’는 지금 준연예인이라는 그 비판과 주목도 사이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