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콘’의 두 직업 기자와 PD, 그 의미
‘개그콘서트’의 두 직업으로 기자와 PD가 떴다. 황당한 현실을 전달하는 안상태 기자와 소비자를 우롱(?)하는 과장 과대 광고를 가차없이 고발하는 황현희 PD가 그들이다. 물론 이건 개그일 뿐이지만, 이들을 바라보는 시선은 그것이 그저 개그에 머물지만은 않는 모양이다. 황현희가 실제 소비자들을 위해 잘못된 상흔을 고발하는 시사교양 프로그램인 ‘소비자 고발’에 고정출연하고, 안상태가 케이블 경제 전문 뉴스 채널 mbn에서 ‘안상태의 거꾸로 뉴스’ 진행을 맡게 된 것이다. 도대체 무엇이 이들을 개그 코너에서 실제상황으로 까지 끌어오게 한 것일까.
일단 제일 먼저 주목해야할 것은 이들이 코너에서 갖고 있는 기자와 PD라는 직업이다. 현재처럼 다변화된 복잡한 사회 속에서 매체가 갖는 힘을 생각해보면 이들이 선택한 직업군의 무게감을 실감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장기불황의 늪에 빠져있는 현 상황 속에서 이 직업군이 갖는 의미는 신뢰와 불신을 동반한다. 복잡한 상황 속에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그들의 이야기는 신뢰하지 않으면 아무런 정보도 얻기가 어려워지는 직업군인 반면, 그 실망감, 즉 불신에 대한 배반감도 큰 직업군이다. 같은 경제상황을 가지고 서로 다른 입장차가 난무하는 요즘 같은 시대에, 어쩌면 기자와 PD는 믿음과 불신을 동반하는 가장 핫한 직업인지도 모른다.
‘개콘’의 코너들은 이 직업군이 갖는 상황을 뒤집으며 웃음을 주었다. 안상태 기자는 기자로서의 본분에서 벗어나는 감정 섞인 말투로 자신의 처지와 신세를 한탄한다. 세상을 바라보고 그 사건을 전달해줘야 할 기자가 오히려 그 세상의 황당함에 포로가 되는 웃지 못할 상황이 웃음을 주는 식이다. 한편 황현희 PD는 믿지 못할 세상에 대한 조금은 병적인 집착을 드러낸다. 이것은 흔히들 예술작품에서 활용되는 ‘미친 자의 목소리’다. 조금은 엇나간 지적들을 하는 미친 자의 목소리를 통해서 오히려 세상의 잘못된 부분을 지적해내는 식이다. 황현희 PD가 하는 지적은 병적이지만, 그 지적하게 되는 상황(믿지 못할 세상)은 현실이다.
하지만 안상태 기자와 황현희 PD라는 조금은 엇나간 캐릭터가 가진 의미는 단지 잘못된 세상에 대한 대응만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는 매체에 대한 불신 또한 들어가 있다. 기자와 PD가 전달하는 세상의 이야기가 얼마나 진실에 가까운 것인가, 하는 의문 제기. 물론 모든 뉴스와 고발 프로그램들이 그렇다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에게 이제 TV가 전달하는 뉴스나 정보란 이제 하나의 진실이라기보다는 하나의 해석으로 읽힌다. 진실 자체가 쉽게 왜곡되는 매체적 상황 속에서 기자와 PD는 무력해질 수밖에 없다. 그런 점에서 개그라는 테두리를 안전장치로 가진 안상태 기자와 황현희 PD는 오히려 더 쉽게 진실에 접근하는 힘을 보인다. 즉 내용(거기서 하는 말)보다는 형식(토로하는 형식과 다그치는 형식)이 오히려 진실에 쉽게 접근시킨다는 말이다.
안상태 기자와 황현희 PD가 개그 코너를 넘어서 실제 뉴스나 시사교양 프로그램까지 나오는 이 상황은 물론 이 캐릭터들이 가진 재미 때문이다. 하지만 이 상황이 말해주는 것은 뉴스나 시사교양 같은 정보를 다루는 프로그램들이 가진 말에 대한 신뢰성이 그다지 높지 않다는 반증일지도 모른다. 말 그 자체보다는 그 말이 가진 형식이 때론 더 신뢰가 가고, 또 공감이 갈 수도 있다는 것을 ‘개콘’의 이 두 직업을 캐릭터로 가진 개그맨들은 보여준다. 말이 아닌 온 몸으로.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SBS 예능, 가족 코드에 거는 이유 (0) | 2009.01.19 |
---|---|
‘무릎팍 도사’, 이순재의 일침이 시사하는 것 (0) | 2009.01.15 |
바늘방석 시대, 멍석 깔아주는 ‘해피투게더’ (0) | 2009.01.09 |
장동건, 박중훈의 시대, 박찬호, 강호동의 시대 (1) | 2009.01.08 |
‘패떴’의 짜여진 대본이 말해주는 것 (5) | 2009.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