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드라마 보며 만화 보는 재미를?

728x90

‘꽃남’과 ‘돌아온 일지매’, 원작만화에 가까워진 드라마

물론 원작이 만화이지만 드라마 ‘꽃보다 남자’의 캐릭터들 역시 순정만화에서 막 빠져나온 듯한 인물들이다. 초부유층 자제들인 F4의 일상은 무대회, 별장, 파티 같은 순정만화 속 이야기로 채워져 있다. 그들은 분명 고등학생이지만, 신화고등학교가 재학생들에게 주는 파격적인 특혜로 인해 수능시험을 준비하는 모습 따위는 발견할 수 없다. 왜? 만화 속에서 그런 이야기는 재미가 없으니까.

대신 그 자리를 채우는 것은 멋진 꽃미남들의 판타지를 자극하는 비일상적인 모습들이다. F4의 리더인 구준표(이민호)와 스포츠카를 타고, 분위기 있는 꽃미남 윤지후(김현중)와 함께 말을 타고, 식사를 할 때도 하녀들의 시중을 받거나 주방장의 특별 서비스를 당연한 듯 받는다. 쇼핑을 할 때면, 한 백화점을 통째로 빌리기도 한다. 물론 그 백화점도 그 주인공의 것이다.

드라마로 보면 황당할 수 있는 이야기지만 만화로 보면 당연한 이 판타지의 세계는 따라서 드라마 속으로 틈입한 만화 보는 재미를 선사한다. 만화의 흐름과 드라마의 흐름은 호흡이 다르지만, 판타지라는 접점을 공유하는 순간, 시청자들의 시선 자체를 돌려놓는다. 젊은 세대들은 상대적으로 이러한 만화적 감성에 익숙하지만, 나이든 세대라도 ‘꽃보다 남자’를 보며 그 판타지에 푹 빠질 수 있는 시청자라면, 적어도 소싯적 ‘캔디’나 ‘베르사이유의 장미’같은 순정만화 한두 편쯤은 빠져서 본 적이 있는 분일 것이다.

‘꽃보다 남자’가 순정만화를 드라마 속으로 끌어들였다면, 최근 방영되며 그 독특한 연출이 화제가 된 ‘돌아온 일지매’는 고 고우영 화백의 그 독자적인 만화 세계를 사극 속으로 들어들였다. 고우영 화백의 만화에는 몇 가지 특징이 있는데, 그 중 제일 중요한 것은 작자의 개입이 들어가는 내레이션의 활용이다. 그림 속의 인물들은 저들끼리 만나고 부딪치며 대사를 주고받지만, 그 위에 그들을 내려다보는 작자의 해설이 고우영 만화의 특별한 재미를 선사한다.

그것은 ‘삼국지’나 ‘수호지’, ‘초한지’같은 원전들이 있는 작품들을 자기 식으로 해석하면서 만화화해온 고우영 화백 나름의 노하우가 깃들여져 있는 것이다. 사극 ‘돌아온 일지매’에서 작품 몰입을 방해한다는 논란을 일으킨 책녀의 존재는 바로 그 내레이션을 드라마화한 데서 나온 것이다. 이 책녀라는 내레이션은 조금 낯선 존재이기는 하지만 바로 그 점이 고우영 만화의 진짜 재미에 접근하게 해준다는 데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고우영 화백의 또 한 가지의 특징은 이야기를 중심인물에서 시작하기보다는 주변인물에서부터 서서히 중심인물 쪽으로 끌어간다는 점이다. 발차기의 고수로 옆으로 걷게 된 왕횡보(박철민)같은 매력적인 캐릭터가 이야기의 화두로서 등장하고 그 인물이 주인공과 얽히면서 이야기를 발전시켜나가는 구조가 고우영 만화의 또다른 재미이다. 이러한 주변에서부터 중심으로 가는 이야기 구조는 ‘일지매’같은 서민들의 영웅을 다루는 콘텐츠에서 특히 빛을 발할 수 있다.

이러한 이야기 구조는 일지매를 다루지만 주변부 인물들 예를 들면 구자명(김민종) 같은 인물 또한 빛나게 됨으로써 한 영웅만의 이야기가 아닌, 서민들 각각이 자신만의 영웅적인 이야기를 가진 인물로 조명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일지매라는 원전 해석이 아닌 고우영 화백 자신만의 작품이 특별히 빛나고 여러 차례 타 장르에서 재해석되는 이유가 거기에 있다.

‘꽃보다 남자’나 ‘돌아온 일지매’는 모두 원전 만화를 드라마화한 것이 아니라, 만화 그 자체를 보는 재미를 드라마 속으로 끌어들였다. 우리는 이미 현실에서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모두 인지하면서 적극적으로 그 판타지의 세계로 인도하는 순정만화 그 자체인 드라마와, 책장을 넘기듯 몇 편으로 제목 지어진 고전이 되어버린 일지매라는 고우영 만화를 드라마를 통해 보는 새로운 재미를 경험하고 있다.

혹자는 만화 같아서 유치하고, 몰입이 안 된다고 말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드라마가 만화와 동거한 지는 꽤 오래되었다. 이런 상황에서는 드라마를 꼭 리얼리티만으로 보려고 하는 것 자체가 그다지 의미가 없을 지도 모른다. 만화에서도 리얼리티를 추구하는 것과 판타지 그 세계 자체를 여행하는 것이 자유롭게 공존하듯이 이제는 드라마도 여러 형태들을 껴안을 만큼 충분히 진화해오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만화 같은 ‘꽃보다 남자’와 ‘돌아온 일지매’. 진짜 만화의 묘미를 아는 시청자라면 그것이 오히려 만화 같아서 더 재미있게 볼 수도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