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워낭소리’의 대박, 왜 위기일까 본문

옛글들/네모난 세상

‘워낭소리’의 대박, 왜 위기일까

D.H.Jung 2009. 2. 19. 07:43
728x90

독립영화에 대한 상업적 조명이 가진 위험성

‘워낭소리’가 100만 관객을 향해 달려간다는 기사가 하루가 멀다 않고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 양상은 마치 블록버스터 영화들이 관객몰이 하듯 쏟아내던 수치와 유사하다.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이 결과는 그러나 수많은 것들을 바꾸어놓았다. ‘워낭소리’에 등장한 할아버지, 할머니에 대한 사생활 침해와 성공에 따른 수입에 관련된 소문들은 독립영화로서 갖고 있던 진정성의 아우라마저 휘발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오마이뉴스 주최로 열린 특별 상영회에 참석한 이충렬 감독은 이런 상황에 대해 “관객이 늘어날수록 무섭다”며 “차라리 잠적하고 싶다”는 심경을 토로하기도 했다.

‘워낭소리’가 독특한 아우라를 가질 수 있었던 것은 그것이 여전히 소를 이용한 농사를 고집하고 있는 할아버지와 소를 조명했다는 데 있다. ‘워낭소리’는 사실 다큐멘터리 영화로서는 연출의 의도가 꽤 전면에 드러나는 작품이다. 물론 연출해서 찍었다는 것이 아니고, 그 의도가 드러나는 장면을 포착했다는 이야기다. 소가 눈물을 흘리고, 소와 함께 할아버지가 보조를 맞춰 걸어가고, 소와 할아버지가 힘겹게 농사를 짓는데 뒤편에서 기계로 농사를 짓는 장면이 겹치는 장면 같은 것들은 카메라의 앵글 자체가 의도로서 끼여든 것이다. 하지만 이런 모든 작위적인 느낌의 영상연출은 이 다큐멘터리 영화의 기획의도인 할아버지와 소를 조명한 그 마음, 진정성을 통해 모두 덮어지고도 남음이 있다.

따라서 이 진정성이 유지되려면 현실과 영화 사이에 변함 없는 관계가 유지되어야 가능하다. 이것은 원본(현실)과 복제(영화)가 어느 정도의 밀착된 관계를 가지고 있어 복제 속에서도 여전히 아우라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을 때 그 진정성이 유지된다는 말이다. 하지만 복제가 원본을 위협하는 시뮬라크르의 세계 속에서 할아버지, 할머니, 이충렬 감독과 나아가 독립영화라는 현실은 거꾸로 대박이 나면서 상업적 성격으로 둘러싸인 ‘워낭소리’의 공격을 받는 입장이 되고 있다.

독립영화에 있어서 진정성의 힘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가난하다는 것은 거꾸로 자본의 힘에 휘둘리지 않는다는 얘기가 되어버린 작금의 세상에서, 독립영화의 가난함은 자본논리를 넘어선 어떤 진정성을 담보하게 된다. 물론 그 가난함이 지금처럼 처절한 생존의 문제로까지 와 있는 독립영화의 상황이 긍정적이라 말하는 것은 아니다. 문제는 그 생존을 넘어서 대박으로 치닫게 되었을 때, 과도해지는 상업적 논리의 개입이다.

지금껏 별 관심을 주지 않았던 독립영화에 갑자기 쏟아지는 정치적, 경제적 관심은 자칫 독립영화라는 본래의 순수한 형태를 왜곡할 수 있다. 대통령이 영화를 찾아서 보고, 문화부장관이 관심을 갖는 것은 한 개인의 취향으로서는 이해되는 일이나, 그 위치가 가지는 무게감을 생각해보면 그 순수함을 왜곡시키는 엉뚱한 결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무엇보다 ‘독립영화도 대박을 터트릴 수 있다’는 식의 사고방식은 실로 위험하다 할 수 있다. 상업적 성공이 나쁜 것이 아니라, 그 이후에 벌어질 수 있는 상업적 계산이 위험하다는 것이다.

흔히들 인류학의 문제를 지적할 때, 원주민의 삶을 파헤쳐 보겠다는 그 시도 자체가 원주민의 삶을 바꿔버리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말하곤 한다. ‘워낭소리’가 지금 처해 있는 문제도 마찬가지다. 할아버지와 소가 보여주는 실종된 노동의 숭고함과 그것을 잡아내면서 그 숭고함에 동화되어버린 독립영화로서의 ‘워낭소리’는 이제 거꾸로 영화의 엄청난 상업적 성공으로 인해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이제 필요한 것은 ‘워낭소리’의 상업적 성공에 대한 주목이 아니라, 독립영화의 하나로서 갖게 되는 그 진정성에 대한 가치 조명이 아닐까. ‘워낭소리’의 제작자인 고영재 PD는 심지어 자신의 부모님조차 얼마를 벌었느냐고만 묻는 작금의 상황에 대해 “지금 중요한 건 돈이 아니라 자신이 일하고 있는 가치”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