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워낭소리’촬영지 관광과 증발되는 시골 본문

옛글들/네모난 세상

‘워낭소리’촬영지 관광과 증발되는 시골

D.H.Jung 2009. 3. 4. 08:37
728x90

촬영지 관광, 노동마저 상품화되는 세상

인디언들은 사진에 찍히면 영혼을 잃는다고 생각했다. 비합리적이라 생각될 수 있는 이 말은 그러나 지금 현실로 드러나고 있다. 경상북도가 관광상품화하겠다고 공식적으로 밝힌 ‘워낭소리’의 촬영지는 그 다큐멘터리 영화가 보여주었던 노동을 증발시키고, 전시되는 상품으로 변질되어 가고 있기 때문이다. 어쩌면 우리는 노동마저 상품화되는 세상에 살고 있는 지도 모른다.

‘워낭소리’가 대중들의 폭발적인 지지를 받았던 것은 그 영화가 주목했던 이제는 실종되어버린 진정한 노동의 발견 때문이었다. 소를 부려 짓는 농사를 고집하는 할아버지와, 그 할아버지와 함께 묵묵히 일생을 살아온 소는 그 노동을 증명해온 끊이지 않는 워낭소리만을 여운처럼 남긴 채 사라져 갔다. 그 워낭소리는 현재를 살아가는 이들에게 실종된 노동 속에서 소처럼 일하다 사라져버린 아버지를 떠올리게 하며 대중들의 가슴 속에도 울려 퍼졌다.

하지만 ‘워낭소리’가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며 신드롬이 되는 순간(어쩌면 카메라에 담겨 그 사적영역이 공적영역으로 노출되는 순간부터였는지도 모른다), 그 카메라가 포착한 공간의 아우라는 휘발되어 버렸다. 그 곳은 영화가 보여주었던 노동의 현장이기를 거부하고, 도시인들의 호기심의 대상이 되었다. 이 시대의 카메라는 저 인디언들이 터부시하며 말했던 것처럼, 확실히 그 대상의 영혼을 빨아들이는 마법(?)을 발휘하고 있다.

안타깝게도 이런 ‘워낭소리’의 사례는 그다지 새로운 일은 아니다. 우리는 이미 한 산골소녀가 미디어에 노출되는 순간, 그 상업적 물결에 휩싸여 고통받던 모습을 기억하고 있다. ‘맨발의 기봉이’의 실제 인물인 기봉씨는 영화화된 후, 유명세로 고통받다가 결국 그토록 사랑하던 어머니를 떠났고 그렇게 한참을 돌아서 이제 다시 어머니의 품으로 돌아왔다. 카메라가 포착한 시골의 그 순수함들은, 바로 그 카메라에 담기는 순간부터 사라지게 될 운명에 처했던 것이다.

이것은 현재 TV 속에서도 진행되는 현상이다. 시골이 가진 그 순박한 모습은 이제 도시인들의 향수의 공간이 되었고, TV는 이제 그 공간들을 안방으로 날라다 주고 있다. 흔히 여행 버라이어티 속에 잡혀진 시골들에서 그 본질적인 모습들은 찾아보기가 어렵다. 그 속에서 시골 노동의 현장은 그저 병풍처럼 배경이 되거나, 도시인들의 놀이공간으로 변해가고 있다. 카메라가 도시에서 떠난 자들의 하룻밤을 포착하는 그 버라이어티쇼의 공간들은 그 순간부터 도시의 논리에 복속되기 시작한다.

촬영지의 상품화는 이제 문명화의 끝단에 서서 그 골동품적 취향으로 변질되어 도시화 되어가는 현 시골의 상황을 보여준다. 도시화되어야 살아갈 수 있는 현재의 불균형한 경제조건 속에서 ‘워낭소리’ 촬영지의 관광상품화에 대해 동의해준 최 할아버지 가족들의 처지는 충분히 이해될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도시화의 물결 속에서 그 마지막처럼 보이는 공간을 포착해 대중들의 마음을 울려준 그 영화가 거꾸로 그 공간을 잡아먹는 상황이 달갑게 보이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