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웃찾사’의 웃음, 2%가 부족하다 본문

옛글들/명랑TV

‘웃찾사’의 웃음, 2%가 부족하다

D.H.Jung 2009. 3. 21. 00:59
728x90

‘웃찾사’의 웃음, 공감포인트가 아쉽다

‘웃음을 찾는 사람들’의 ‘노래박사 강박사’에서 강성범은 과거 수다맨에서의 수다 실력을 이어받아 노래선생으로 변신한다. 노래를 부르는 감정을 구수한 사투리를 섞어 쏟아내다가 트로트풍으로 불러 제끼는 맛이 일품. 견습생 역할로 나오는 신인 개그우먼 유은의 엉뚱한 틈입도 볼거리다. 하지만 그 뿐. 코너가 끝날 때쯤이면 무언가를 빼놓은 듯한 부족함을 느끼게 된다.

“핫! 핫! 댓스 베리 핫!”을 반복하는 ‘초코보이’는 마치 후크 송을 패러디한 것처럼 중독성이 강하다. 성적 상상을 불러일으키는 특정 동작에서 이 노래가 반복되며 이어지는 야릇한 몸 동작은 자칫 선정적으로까지 보인다. 선정적인 세상을 풍자할 수도 있었던 이 발군의 아이디어를 가진 코너가 왜 선정적인 몸 동작에 그치고 마는 것일까. 그것은 몸 동작과 반복되는 후렴구와 함께 어떤 의미 망이 형성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웃찾사’의 대표주자였던 ‘웅이 아버지’는 여전히 그 캐릭터가 재미있지만 너무 오래도록 지속한 결과 이제는 웃음의 강도가 약해졌다. 그나마 현재 이 코너가 유지되는 것은 게스트의 카메오 출연과 ‘스타킹’같은 프로그램을 코너 속으로 끌어들이는 외부요인들 덕분이다.

‘공공의 적’을 패러디한 ‘공공의 편’은 공분을 자아내게 하는 상황을 콩트로 보여준 후, 그것을 응징하는 구조로 통쾌한 웃음을 선사한다. 신문을 보고 있던 이가 신문을 던지거나 신문으로 때리는 설정은 이 코너가 마치 신문 속의 갑갑한 뉴스가 주는 그 공분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연상시킨다. 하지만 그저 소리치고 분노하는 장면으로는 어딘가 부족한 면이 있다. ‘개그콘서트’의 유사한 포맷인 ‘도움상회’가 가진 다채로운 재미(각종 패러디들 같은)와는 비교되는 지점이다.

‘묵언수행’은 초기 그 말을 하지 않는다는 설정이 꽤 기대감을 자아내게 했던 코너였다. 코미디언에서 개그맨으로 이름이 바뀌었을 때 거기 중심으로 선 것은 연기보다는 말 재주였다는 점을 생각하면, 이 코너의 말을 지워버린다는 설정은 역발상이다. 하지만 그것이 지금처럼 ‘물에 얼굴 담그고 숨 오래 참기’같은 무의미한 몸 개그에 머무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면 역시 웃음의 포인트는 약할 수밖에 없다. 좀더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사회적 함의를 갖는 말 못하는 상황을 발굴해낼 필요가 있다.

‘믿거나 말거나’ 역시 초기에는 ‘웃찾사’를 새롭게 끌어올릴 수 있는 코너로 주목되었지만 현재는 그저 그 유행어의 반복 포인트만을 찾고 있는 느낌이다. 이 코너가 가진 힘은 바로 그 ‘믿기 힘든 세상’에서 나올 것이다. 하지만 ‘세상 사람들이 모두 덤 앤 더머처럼 살아간다면’같은 개그 주제로는 공감을 끌어내기가 어려워진다. “믿기 어려우시다고요? 믿으세요!”하는 이 마지막 멘트가 힘이 빠지게 되는 것은 그 때문이다.

‘웃찾사’는 전체적으로 코너가 주는 임팩트와 여운이 부족하다. 그렇기 때문에 코너가 끝나고 나서 캐릭터나 형식에 대한 인상이 깊게 남지를 않는다. 이렇게 된 것은 코너들이 어떤 순간적인 상황의 아이디어에서 웃음의 포인트를 잡아내고는 있지만, 그것을 사회적인 맥락과 연결시키는 부분이 취약하기 때문이다. ‘불황에 개그 코너는 호황’이라는 말이 있다. 하지만 이것은 그저 모든 개그를 대상으로 하는 말이 아니다. 그것은 개그가 불황의 사회적 맥락을 담보하고 있을 때 그렇다는 말이다. ‘웃찾사’의 부족한 2%가 바로 그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