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녀시대의 예능 출연, 실효를 거두려면
이효리는 예능 프로그램에서는 몸빼 바지의 굴욕도 마다 않고 무너지는 모습을 보여주지만, 가수라는 본업으로 돌아오면 섹시 디바로서의 면모를 잃지 않는다. ‘패밀리가 떴다’에서 유재석이 농담 삼아 “그 이효리가 이 이효리냐?”고 물을 정도. 리얼리티 시대에 탈신비주의 컨셉트가 하나의 대세를 이루고 있는 현재, 모두가 이효리의 이런 섹시와 털털을 넘나드는 이미지를 갖기를 원하지만 그것이 그렇게 쉬운 일은 아니다.
이효리는 게스트로서의 단발성 출연보다는 고정 MC로서 예능에 입지를 다져왔다. 핑클 해체 이후 이효리는 ‘해피투게더’에서 조금씩 자신의 끼를 보였고, 핑클 속에서 고형화되었던 요정 이미지를 예능에 고정 출연함으로써 조금씩 깨뜨렸다. 이렇게 충분한 시간을 갖고 자신만의 솔직한 개성을 대중들에게 어필하게 되자, 섹시 컨셉트로 나온 ‘10 Minutes’는 그녀의 엔터테이너적인 끼(정확히 말하면 퍼포먼스, 연기)로서 받아들여졌다. 꽤 오랜 시간의 준비기간이 있었기에 섹시와 털털은 공존할 수 있게 되었다.
이효리의 예능, 게스트가 아닌 고정으로
여기서 이효리의 행보 중 가장 중요한 점은 ‘게스트가 아닌 고정’이라는 점이다. 예능에 잘 출연하지 않다가 어느 날 갑자기 음반을 내고 그것을 홍보하기 위해 예능에 게스트로 출연했다면, 제 아무리 발군의 순발력과 예능감으로 무장한다고 해도 대중들에게 크게 어필되지 못했을 것이다. 하지만 고정MC는 이러한 홍보성 논란에서 자유롭다. ‘그 이효리가 이 이효리가 된’ 상황은 오히려 더 큰 화제를 일으킨다.
이러한 이효리의 성공 방정식을 거의 유사하게 그려낸 인물은 박예진이다. 그녀는 ‘패밀리가 떴다’를 통해서 이효리가 했던 방식, 즉 그녀의 고정된 이미지(이 이미지는 너무 흐릿해 오히려 상투적이었다)를 ‘달콤 살벌한 이미지’로 깼다. 고정 출연자이기 때문에 홍보성 출연이 갖는 한계를 넘어서 자신의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런 그녀가 ‘미워도 다시 한번’에서 섬뜩할 정도로 살벌한 연기를 보여주자 그것은 그녀의 연기력으로 부각되었다. 박예진은 이로써 예능에서는 솔직한 면모를, 또 드라마에서는 대단한 연기력을 보여주는 엔터테이너로서의 이미지를 만들었다. 이 과정은 같은 프로그램의 대성에게도 똑같이 해당되는 것이다.
하지만 고정MC로서의 예능이 아닌, 게스트로서의 예능으로 출연했던 비와 김종국은 그다지 큰 효과를 보지 못했다. 그들이 거의 모든 예능 프로그램을 장악했을 때, 물론 귀환을 알리는 효과는 분명 있었겠지만 그것이 지속적인 이미지 제고에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았다. 어느 순간부터 이들의 잦은 예능 출연은 지나친 홍보성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그 이유는 당연한 것이지만, 그들의 출연이 자신들의 홍보를 위한 것이라는 한계에서 비롯된 것이다.
빅뱅의 예능, 함께보다는 따로
최근 들어 소녀시대의 지나친 예능 출연이 갖고 있는 문제도 여기에 있다. 너무나 많은 구설수에 휘말리고, 항간에서는 오히려 떨어진 시청률을 근거로 ‘소녀시대 효과라는 것은 없다’고까지 주장하게 된 것은 그 출연의 목적이 소녀시대의 홍보에만 치우쳐진, 게스트라는 입장에 묶여있었기 때문이다. 집단으로 출연한 ‘무한도전’과 ‘박중훈쇼’는 정반대의 입장에서 소녀시대의 이미지를 어필하지 못했다. ‘무한도전’에서는 무한도전 멤버들과 소녀시대 멤버들이 너무 부딪치는 바람에 그랬고, ‘박중훈쇼’에서는 박중훈이 너무 소녀시대를 띄워주기에 급급해서 그랬다. 모두 게스트 출연이 갖는 한계들이다. 게스트가 게스트의 위치에서 자신을 어필하지 않고 메인이 되려는 것이나, 혹은 너무 지나치게 게스트 중심으로만 끌려가는 것은 둘 다 문제가 있다.
게다가 소녀시대의 멤버가 아홉 명이라는 사실은 게스트 출연에 있어서도 장애로 작용한다. 집단 게스트 출연은 예능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출연자의 개성을 시청자들에게 어필하기가 어렵다. 차라리 소녀시대가 가장 자신들의 이미지를 잘 전달할 수 있었던 가능성은 윤아가 ‘너는 내 운명’에 출연했던 것과 태연이 라디오를 진행하는 것에서 발견할 수 있다(태연의 ‘우리 결혼했어요’출연은 언제부턴가 소녀시대의 ‘우리 결혼했어요’로 바뀌고 있다). 그만큼 단독 고정출연자로서 자신들의 이미지를 확실히 알려주었고, 그것은 동시에 소녀시대 전체의 이미지를 형성해주었다. 이것은 ‘빅뱅’이 전원 출연보다는 대성의 단독 출연으로 예능으로부터 큰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을 통해서도 드러난다.
이제 배우와 가수들의 예능 출연은 대세가 되었다. 하지만 거기에도 나름의 성공방정식은 존재한다. 예능 출연의 효과는 이제 단발로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고 충분한 시간을 갖고 그 안에서 어떤 기여도를 보여주어야 얻어질 수 있는 그 무엇이 되었다. 소녀시대는 지금껏 예능 바람몰이를 해가며 대중들에게 확실하게 ‘지금은 소녀시대’임을 알려주었다. 하지만 이 예능 바람이 실질적인 어떤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이제 각각의 개성을 살리는 방향으로 ‘함께’가 아니라 ‘따로’ 출연하는 방식을 택해야 하며, 그것도 단발성의 게스트가 아닌 고정의 길을 찾아야 할 것이다. 이제 소녀시대에게 필요한 것은 통상적인 음반 홍보를 위해 일시적으로 게스트 출연을 하는 가수들의 전략이 아니라, 아예 예능인으로서도 충분한 이효리와 대성의 전략이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그야’의 추락, 편성 탓만은 아니다 (0) | 2009.03.22 |
---|---|
‘웃찾사’의 웃음, 2%가 부족하다 (3) | 2009.03.21 |
‘무한도전’과 패러디, 왜 뗄 수 없나 (0) | 2009.03.14 |
확 바뀐 ‘상상플러스’, 옛 인기 되찾을까 (0) | 2009.03.11 |
리얼 버라이어티, 실패가 성공이 된 이유 (0) | 2009.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