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
한류, 글로벌이 아니다 글로컬이다옛글들/대중문화와 마케팅 2011. 8. 17. 10:03
한류가 글로벌 경제에 던지는 시사점 한때 박진영은 미국 진출을 선언하면서 미국시장을 뚫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철저한 '미국화'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실이 그랬다. 당시에는 우리 음악은커녕 우리나라에 대한 인지도 자체가 미국 대중들에게는 거의 없었을 때니까. 그래서 박진영은 미국에서 활동하면서 의도적으로 국적을 내세우지 않았다. 원더걸스 또한 그런 현지화 전략에 맞춰 주변에서부터 차근차근 차트로 진입하려는 목표를 세웠다. 이것은 박진영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초창기 SM엔터테인먼트가 보아를 일본에 진출시킬 때 그녀를 한국인이 아니라 코스모폴리탄으로 포장했던 것도 같은 이유 때문이다. 당시 보아는 영국에서도 몇 개월을 살았고, 뉴욕에서도 살았으며, 그래서 영어도 잘하고 일본어도 잘하며 노래도 잘하는 천재소..
-
왜 우리는 늘 한류가 갑작스러울까옛글들/네모난 세상 2011. 6. 28. 08:31
장근석 신드롬, 신 한류 드라마의 조건 일본에서 불고 있는 장근석 신드롬은 여러모로 배용준 신드롬을 닮았다. '겨울연가'는 우리나라에서 그다지 주목받지 못했지만 일본에서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배용준으로 대변되는 1세대 한류의 시작이었다. 장근석도 마찬가지다. 국내에서 '미남이시네요'나 '매리는 외박중'은 화제는 낳았지만 시청률에서는 그다지 성공하지 못했다. 하지만 일본은 물론이고 동남아, 심지어 미국이나 유럽에서도 이 드라마에 대한 반응은 뜨겁다. 이미 일본의 언론은 장근석으로 세대 교체된 한류를 얘기하고 있을 정도다. '겨울연가'는 돌발적인 사건에 가까웠다. 하지만 그 후 가능성을 발견한 우리네 드라마가 10여 년 동안 한류를 겨냥해왔던 것은 분명하다. 한 때는 퓨전사극이 그 뒤를 이었고, 심지어 ..
-
카라, 다시 뭉쳐야 하는 이유옛글들/네모난 세상 2011. 1. 21. 09:52
카라, 중요한 건 멤버들이다 도대체 무엇이 이 어린 소녀들을 갈라놓았을까. 초창기 생계돌이라 불릴 정도로 힘겨운 나날들을 함께 지내왔고, 그래도 꿈이 있어 아주 조금씩 걸어 나가다 보니 어느새 정상에 오른 카라. 그저 앳된 '프리티 걸'에서 파워풀하게 무대 위에서 '점핑'하는 그녀들을, 서로의 힘겨움을 잘 알기에 어깨를 두드려주며 그 힘으로 그 꼭대기까지 함께 올랐던 그녀들을, 도대체 무엇이 힘겹게 만드는 걸까. 많은 이들이 수익 배분을 두고 벌어지는 돈 문제를 지목한다. 일본 활동을 통해 180억에 가까운 매출을 올렸음에도 카라 당사자들에게는 그다지 큰 수익이 돌아가지 못했다는 것이다. 전속계약해지를 신청한 3인의 공식 입장 속에는 DSP재팬과 DSP의 대표이사가 동일인물임에도 불구하고 이런 회사 간의..
-
'드림하이', 배용준은 왜 박진영을 만났을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1. 1. 4. 09:04
'드림하이', 1세대 한류가 2세대 한류를 만났을 때 배용준이 얼굴을 보인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기대감을 높여놓은 드라마, '드림하이'. 제목처럼 그 꿈은 컸다. 제2의 한류가 아이돌로 이어지고 있는 현재, 제1의 한류를 이끌었던 배용준이 드라마로 이를 다룬다는 건 꽤 야심찬 기획이다. 그것이 무엇이든 한류의 선봉장으로서 배용준의 이미지는 이어질 것이고, 이제 새로운 한류로 피어나는 아이돌들은 그 품 안에서 드라마로 그 영역을 넓힐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배용준과 박진영을 위시한 아이돌들의 만남은 그래서 의미심장하다. 실제 가수들이 드라마 주인공으로 출연한다는 점에서 이 드라마는 반 리얼이다. 물론 설정된 캐릭터들의 상황들이 분명히 있지만, 스타를 꿈꾸던 그들이 차츰 성장하고 한류돌로서 세계무대에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