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
이승철 입국거부, 하나는 알아도 둘은 모르는 일본정부옛글들/네모난 세상 2014. 11. 12. 09:53
이승철 입국거부, 왜 일본의 자충수일까 “저도 송일국씨의 귀여운 세쌍둥이 이름을 불러봅니다! 대한 민국 만세~~!!!” 이승철은 자신의 트위터에 이런 글을 남겼다. 지난 9일 아내와 함께 일본 지인의 초대로 하네다 공항에 내렸지만 석연찮은 이유로 출국사무소에 4시간 가량 억류된 후 국내로 돌아온 후의 심경이었다. 소속사측이 말하는 것처럼 독도 이슈 후 첫 일본 방문이었던 이승철의 이번 일은 “표적 및 보복성 입국 거부”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입장이다. 이승철은 JTBC 에 출연해 이번 일을 계기로 “국민 참여를 통한 독도 지킴이 행사 같은 건 좀 열심히 적극 나서야겠다”는 뜻을 전했다. 사실 연예인들의 입국 거부 사례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11년 비스트와 씨엔블루가 비자 문제를 빌미삼아 공항에 ..
-
'별그대', 특별기획전 열풍과 동북공정 논란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4. 6. 27. 14:44
중국 열풍을 바라보는 양면성 끝났지만 끝난 게 아니다? 종영한 SBS 드라마 를 두고 하는 말이다. 지금 현재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는 외국인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고 한다. 특별기획전 때문이다. 이 기획전은 지난 10일 오픈해 하루 평균 1천여 명의 관람객이 다녀갔다고 한다. 관람객 외국인 비율이 무려 85%에 달하는데, 그 중 중화권 관람객들이 80%를 차지한다고 한다. 의 중국 열풍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는 대목이다. 도민준과 천송이의 집이 촬영된 세트를 재연해 놓은 이 기획전은 그간 드라마의 부가사업이 거의 콘텐츠에만 머물러 왔던 것을 생각해보면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드라마와 연계한 테마파크 같은 사업의 시도는 향후 한류 콘텐츠 사업의 다각화를 향한 의미 있는 행보로 보이기 때문이다. 하지..
-
'별그대' 경제효과, '상속자들'보다 컸던 까닭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4. 6. 6. 09:19
전지현 효과, 박신혜 효과보다 컸다 노믹스. 의 경제효과를 지칭하는 말이다. 전문가들이 의 경제효과를 추산하는 건 무려 3조원. 이 드라마 한 편으로 중국인들은 김수현과 전지현의 일거수일투족을 구매하게 되었다. 이들이 입는 의류와 화장품은 물론이고, 전지현이 드라마 속에서 했던 치맥(치킨과 맥주) 문화에 빠져든다. 성지가 되어버린 촬영지는 중국관광객들의 발길을 잡아끈다. 물론 중국에 진출했거나 관련 사업을 하는 이들도 특수를 누리기 마련이다. 도대체 무엇이 다른 드라마와 달리 의 경제효과를 이토록 크게 만들어냈던 걸까. 지난 23일 서울대 아시아연구소에서는 이색적인 컨퍼런스가 열렸다. ‘ 열풍으로 본 중국사회의 이해.’ 이 거창한 제목의 컨퍼런스에는 중국 전매대학 연극영상학부의 리셩리 교수, 북경방송국 ..
-
중국인들은 왜 '별그대'에 빠져들었을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4. 3. 10. 09:31
열풍에 엿보이는 중국인들의 변화 “가 불러온 한국 드라마 열풍은 하나의 문화적 충격이며, 이런 현상의 출현은 우리에게 뭔가를 생각하게 만든다.” 중국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兩會, 전국인민대표대회·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나온 말이다. 중국의 정치권에서조차 한류를 언급한 것은 실로 이례적인 일이다. 어째서 이 정치행사에서는 올해 를 가장 뜨거운 주제로 거론했을까. 양회에서 나온 이야기들을 정리해보면, “한국 드라마의 상업화 능력을 본받아야 한다”, “한국드라마가 인기 있는 것은 현실적이고 온화한데다 낭만적이기 때문이다”, “한국 드라마가 각광받는 이유는 한국인들의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방식이 확실히 좋기 때문이다” 등이다. 또 전국인민대표대회에 참석한 왕치산 중국 기율위 서기는 “한국드라마가 왜 중국을 점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