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연기력을 두고 논란이 되는 연예인들이 있다. 이들에 대한 비판은 배역과 연기가 따로 노는 데서 비롯한다. 관객 혹은 시청자 입장에서는 도무지 감정이입이 되지 않는 것이다. 그런 비판받는 연예인들을 우리는 굳이 연기자라 부르기가 꺼려진다. 진정한 연기자라면 자신을 과감히 훌훌 털어 버리고 배역에 자신을 완전히 몰입시킬 수 있어야 한다. 연기자들이 배역 때문에 수없이 망가지면서도 그것으로 인해 오히려 아름답고 박수 받을 수 있는 것은 바로 그 때문이다. 올 한 해도 망가진 만큼 아름다웠던 많은 연기자들이 있었다.
나이를 가늠할 수 없는 끼, 류덕환
‘웰컴 투 동막골’에서 동구 역으로 그 가능성을 보여준 류덕환은 ‘천하장사 마돈나’에서 역시 동구 역으로 확고한 연기자로서 자리매김했다. 이 나이(1987년생)에 이처럼 깊이 있는 내면연기가 어떻게 가능했던 걸까. 영화 속 오동구가 되기 위해 20kg을 찌우는 것은 어쩌면 내면연기보다는 쉬운 일이었을 것이다. ‘마돈나가 되고 싶은 천하장사’. 자칫 잘못하면 코미디에 묻혀 영화가 말하는 마이너리티에 대한 진정성을 놓칠 수도 있었던 상황. 그러나 이 여성성과 남성성이 혼재된 연기를 류덕환은 너무도 진지하게 받아들였다. 그는 진짜 연기자가 아니면 난감할 수 있는 이 오동구라는 역에 기꺼이 자신을 망가뜨렸다. 그는 디렉터스 컷의 신인연기상을 받았다.
광기와 감성을 잡은 김래원
MBC 드라마, ‘넌 어느 별에서 왔니’에서 김래원은 늘 하던 그 모습을 연기했다. 도회적이면서 장난기 많은 김래원표 연기. 하지만 그는 거기서 멈추지 않았다. 작년 개봉했던 ‘미스터 소크라테스’에서 살짝 드러냈던 광기를 ‘해바라기’에서 제대로 보여주었다. 이 영화는 반 이상이 김래원의 공이라 할 정도로 그의 온몸을 던지는 미친 듯한 연기가 한 몫을 해주었다. 눈을 제대로 맞추지 못하는 죄의식에, 순간 순간 튕겨 나오는 광기가 어루러져 마지막 라스트 신의 폭발력을 갖게 만들었다. 김래원은 이 연기를 통해 액션연기에도 감성적인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40여 년 연기 세월의 내공, 변희봉
영화 ‘괴물’을 통해 비로소 그 진가를 알아보게 된 배우. 그러나 그의 연기는 하루아침에 생겨난 것이 아니었으니 40여 년 조연과 단역으로 잔뼈가 굵은 결과였다. ‘수사반장’이나 ‘113 수사본부’에서 범법자의 역할을 단골로 해오던 그는 차츰차츰 자신만의 스타일로 개성강한 단역들(점쟁이 같은)을 소화해낸다. 그를 제대로 알고 제대로 기용한 인물은 바로 봉준호 감독. ‘플란다스의 개’서부터 ‘괴물’까지 함께 작업을 해오다 드디어 ‘괴물’의 박노인이란 캐릭터로 들어와서는 그 진가를 발휘한다. 부성 가득한 할아버지면서도 어딘지 기괴하고 괴팍한 구석이 있는 연기를 연기9단답게 소화해냈다.
웃으면서 우는 연기의 달인, 유오성
KBS 드라마 ‘투명인간 최장수’로 돌아온 유오성은 영화 ‘친구’에서의 섬뜩한 카리스마는 버렸다. 대신 그가 입은 최장수라는 옷은 바보스러울 정도로 헌신적인 ‘우리 시대의 아버지’이다. 알츠하이머라는 병을 앓는 역할을 맡아 진짜 환자 같은 섬뜩한 연기를 보여준 유오성은 특히 웃으면서 우는 연기의 절정을 보여주었다. 웃음 끝에 주르륵 흘러내리는 눈물과 오열하며 콧물에 범벅이 되었지만 그걸 보는 시청자들은 그것을 아름답게 느꼈다. 이미 똑같이 최장수가 되어 눈물, 콧물을 같이 흘렸기 때문이다.
솔직 대담해진 연기, 고현정
다시 돌아온 고현정은 과거 청순 이미지를 과감히 벗어버렸다. 영화 ‘해변의 여인’에서 문숙 역을 맡은 그녀는 그간의 공백기간을 단 몇 마디의 꾸미지 않은 말과 거침없는 행동으로 채워버렸다. “차가 귀엽네요”라는 말에 “똥차예요”라고 답변하고, “키가 크다”는 말에 “잘라버리고 싶어요”라고 말하는 그녀에게서는 신선한 충격마저 느껴졌다. TV 속으로 돌아온 고현정은 ‘여우야 뭐하니’에서 노처녀 고병희 역할을 맡아 어딘지 어리숙하면서도 솔직하고, 내성적이면서도 대담한 연기를 소화해냈다. 그녀의 거침없는 망가짐은 오히려 ‘그 속에서 더 귀여운’ 그녀만의 독특한 자신감으로 나타난다.
변신의 귀재, 김윤석
KBS 드라마, ‘인생이여 고마워요’에서 평범해 보이는 남편 역할을 보여준 김윤석. 우리는 그가 ‘타짜’의 아귀로 등장했을 때 동일인물인지 고개를 갸우뚱했다. 평범한 얼굴은 순식간에 살 떨리는 카리스마로 변신해 있었다. 선글라스를 끼고 약간 기우뚱한 자세로 노려보는 그는 저 허영만 만화 원작에서 보았던 그 인물, 천상 아귀였다. 사실 만화 속의 아귀는 그 이름에서부터 풍겨나듯 만화적인 인물. 따라서 영화화되면서 그 형상화하기가 쉽지 않았을 터, 하지만 김윤석은 오히려 이 어려움을 기회로 만들었다. 그는 온전히 아귀를 자신의 한 아이콘으로 만들었다.
개성으로 승부, 유해진
유해진을 통해 우리는 연기자의 얼굴이 때로는 보통, 아니 보통 이하여야 더 유리할 수도 있다는 걸 깨닫게 된다. 특히 요즘처럼 다 잘생긴 연기자들이 작품 속에 들어오는 경우, 유해진의 얼굴은 오히려 강력한 무기가 될 수도 있다. 물론 전제가 있다. 그 얼굴을 개성으로 바꿀 수 있어야 된다는 것. 영화 ‘타짜’를 통해 유해진은 바로 그것을 보여주었다. 어설프게 폼잡지 않고 완전 캐릭터에 몰입해 시종일관 입을 가만두지 않는 이 정이 가는 타짜를 보면서 유해진의 연기 공력이 보통이 아니라는 걸 누구나 알게 되었을 것이다.
천의 얼굴, 박용우
13년 동안 그닥 눈에 띄지 않았던 박용우는 ‘달콤 살벌한 연인’에서 그 진가를 보여주었다. 소심하면서도 우습고 그러면서도 어딘가 섬뜩한 느낌마저 주는 눈빛 연기가 예사롭지 않았는데 그걸 통해 박용우는 ‘달콤하고 살벌한’ 느낌을 리얼하게 보여주었다. 하지만 그의 연기에 대한 욕심은 거기서 멈추지 않는다. ‘조용한 세상’의 김형사는 ‘달콤 살벌’의 대우와는 상반된 캐릭터. 일상에 찌들어 있는 유들유들한 성격의 인물이다. 코믹으로 성공한 그가 다시 코믹이 아닌 장르로 뛰어든다는 것은 모험이지만 그것은 연기자들만이 선택할 수 있는 길이다.
바닥을 치고 올라온 추자현
영화 ‘사생결단’에서 마약에 취한 추자현의 모습은 충격적이었다. 손을 부들부들 떨고 불안한 듯 허공을 쳐다보는 그녀의 모습은 완전히 자신을 버리고 저 바닥에 드러누운 연기자의 그것이었다. 그녀의 역할은 어찌 보면 황정민, 류승범 사이의 대결구도 속에서 그다지 큰 비중의 역할이 아니었을 수 있다. 그러나 그 짧은 순간 순간들에 자신을 버리고 혼신을 다해 연기한 그녀는 대종상 신인여우상, 대한민국 영화대상 신인여우상, 여우조연상에다 올해 감독들이 시상하는 디렉터스 컷의 신인연기상까지 거머쥐었다. 노출연기에서부터 부산사투리까지 소화해낸 그녀는 바닥에서 비로소 연기를 낚은 연기자이다.
망가짐이 아름다운 배우, 예지원
연기자가 망가질수록 더 아름답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 이가 바로 예지원이다. ‘올드미스다이어리’에서 그녀는 손톱만큼도 ‘예쁜 척’을 하지 않는다. 그냥 그 캐릭터 그대로의 최미자가 된 셈인데, 술에 취해 비틀거려도, 과하게 노처녀 히스테리를 부려도, 심지어는 심한 키스로 입술이 퉁퉁 불어도 어찌된 일인지 밉지가 않다. 이 정도면 거의 빙의가 된 셈인데, 예지원이 최미자가 된 것인지, 본래 최미자가 예지원에서 비롯된 것이었는지 알 수가 없을 정도다. 망가짐의 미학을 기대할 수 있는 연기자다.
연기자는 매번 망가져야 한다
이밖에도 자신을 충분히 망가뜨려 작품을 살린 배우들은 많다. ‘라디오 스타’의 안성기, 박중훈, ‘왕의 남자’의 감우성, 이준기, 정진영, ‘타짜’의 조승우, 김혜수, 백윤식, 드라마 ‘연애시대’에서 제대로 연기맛을 보여준 손예진, 드라마 ‘주몽’에서 제대로 악역을 해준 대소 역의 김승수와 굴욕을 보여준 영포 역의 원기준 등등 일일이 거론하지 못할 정도로 훌륭한 연기자들은 많다. 반면, 연기변신이나 자신을 철저히 부숴 새로운 인물을 받아들이는데 실패한 연기자들도 있다. 대부분 연기력 논란이 되는 이들 배우들이 출연해서 성공한 작품들은 보기가 어렵다. 이런 작품들을 보면서 심지어 불쾌감이 느껴지는 것은 당연하다. 우리는 연기자를 통해 작품 속의 인물에 감정이입되고 싶은 것이지, 본래의 연기자 자신에 감정이입되고 싶은 건 아니기 때문이다. 연기자는 작품을 위해 기꺼이 망가져야 아름답다.
'옛글들 > 영화로 세상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로 풀어보는 2006년 문화계② 출판계 (0) | 2006.12.31 |
---|---|
영화로 풀어보는 2006년 문화계① 영화계 (0) | 2006.12.31 |
‘중천’, 매트릭스급 CG, 은행나무침대식 이야기 (0) | 2006.12.22 |
개콘 같은 통쾌함, ‘올미다’ (0) | 2006.12.20 |
누가 이 쭉쭉빵빵 몸매에 돌을 던질까 (0) | 2006.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