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영화로 풀어보는 2006년 문화계④개그계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영화로 풀어보는 2006년 문화계④개그계

D.H.Jung 2006. 12. 31. 11:38
728x90

공개개그삼국지, 마빡이, ‘왕의 남자’

‘왕의 남자’의 장생과 공길이 가진 것이라고는 멀쩡한 사지와 세 치 혀였다. 그들이 생존할 수 있는 길은 사람들에게 그 몸을 놀려 즐거움을 주고, 세 치 혀를 놀려 웃기는 일이었다. 이 시대의 개그맨들은 장생과 공길이 그랬던 것 같은 다양한 기예와 놀라운 순발력을 가져야만 살아남는다. 그들이 저 살 판과 죽을 판을 가르는 줄 위에서 한 판 걸판지게 놀았다면, 이 시대 개그맨들은 공개무대라는 칼날 위에서 편집과 벌이는 ‘몇 분 간의 승부’를 벌인다.

공개개그삼국지
KBS ‘개그콘서트’에 이어, SBS의 ‘웃음을 찾는 사람들’ 그리고 MBC의 ‘개그야’가 등장하면서 국내 개그 프로그램들은 안정적인 ‘공개개그삼국지’의 형세로 들어간다. 그 바탕은 저 전국 각지에서 올라온 재인들이 웃지 않는 왕(시청자들)을 웃기기 위해 왕의 마당에서 벌이는 연희처럼, 끝없는 경쟁과 아이디어의 결과였다. 이른바 ‘개그의 인해전술’을 방불케 하는 이 시스템 속에서 당연히 시청률은 상승했다. 동시에 이루어진 것은 개그맨의 단명. 캐릭터라는 탈을 만들어야 하는 개그맨들에게 있어 그 탈의 유통기간이 줄어들었다는 건, 심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결과적으로 어느 정도 뜬 개그맨들은 하나둘 그 아이디어 전쟁에서 밀려나 새로운 분야(방송진행, 드라마, 영화, 연극, 뮤지컬 등)로 떠날 수밖에 없다. 이들 공개 개그 프로그램들의 성공은 어찌 보면 개그맨들의 살을 깎는 경쟁과 대전을 통해 이룬 것이다. 어쨌거나 장생과 공길처럼 ‘라스트 맨 스탠딩’의 마지막 생존자가 된 사람에게는 갈채가 집중된다. 대중이라는 지엄한 왕 앞에서 개그맨이 가질 수 있는 특권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 정점에 있는 인물이 바로 마빡이다.

마빡이가 말해주는 개그현실
요즘의 개그가 점점 기예의 모습을 띈다는 점에서 그것은 저 조선시대 남사당패들의 연희를 닮아가고 있다. 다른 사람들을 웃기기 위해서는 죽음을 불사하는 죽을 판에도 뛰어드는 것이다. 개그 무대 위에서는 시선을 잡아끌기 위해 무인들처럼 몸을 날리는 액션은 물론이고, 온 몸에 물을 끼얹고 크림에 범벅을 하며, 바닥에 떨어진 것을 주워먹기도 한다. 마빡이는 가장 단순하게 현재 개그의 본질을 보여주었다.

‘마빡이’는 그 설정이 단순하여 마치 개그맨들을 위한 퍼포먼스를 보는 듯하다. 특별한 스토리도 없이 그저 몇몇 개그맨들이 차례로 무대에 나와 이마를 치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 하지만 이 단순함이 가진 웃음의 파괴력은 크다. 그 공감의 기저에는 복잡다단한 우리네 삶에 대한 어려움을 단순화시키는 명쾌함이 자리잡고 있으며, 자학적 동작이 가진 우스꽝스런 모습을 통해 자신이 겪고 있던 힘겨움을 웃음으로 털어 버리게 하는 힘이 있다. 줄 위라는 죽을 수도 있는 현실의 무거움 위에 올라선 장생과 공길이(현대인들) 오히려 그 줄의 탄성을 이용해 하늘로 치고 오르는 것. 마빡이는 개그맨의 현실을 오히려 이용해 몸으로 보여줌으로써 공감을 얻고 있었다.

무대개그의 한계를 넘어서려는 시도들
아무리 그 정점에 오른 장생과 공길이라 하더라도, 결국 연희가 끝나면 무대 밑으로 내려와야 하는 것. 이것이 무대개그가 가진 한계이다. 몇 분 간의 승부가 끝나면 그 힘으로 한 주를 이어가고, 이것이 반복되다가 결국에는 쉬 사라져버리는 것 말이다. 따라서 무대 밖으로 개그를 옮기려는 시도가 일어난다. ‘웃음충전소’는 스튜디오와 현장을 오가며 그 간극에서 벌어지는 웃음을 잡아낸다. 패러디에 기반한 이 프로그램은 일상을 패러디하고(막무가내중창단), 전원드라마를 패러디하며(지친다 지쳐), 고발프로그램을 패러디하고(진실이 알고싶다), 오락프로그램을 패러디한다(계층공감 올드&형님).

하지만 여전히 무대개그의 경쟁형식에 시청자들은 익숙한 것 같다. 웃음충전소의 간판이라 할 수 있는 ‘타짱’은 영화 ‘타짜’의 형식을 빌어 몸 개그 대전을 벌이는 코너로 기반은 바로 이 대결구도에 있다. 또한 그 대전 형식의 밑바탕에는 여전히 마빡이의 유령이 떠다닌다. ‘웃기면 이기고 웃으면 진다’는 이 개그맨의 숙명을 고스란히 안고 있는 것이다. 인터넷에서 검색순위 1위를 꼽는 ‘타짱’이지만, 실제 ‘웃음충전소’의 시청률이 많이 오르지 않는 것은 역시나 무대개그의 경쟁형식에 익숙한 시청자들의 골라보기에서 비롯되는 것 같다.

‘장생과 공길’이 저 몸뚱어리 하나로 왕의 눈과 귀를 먹게 했듯이 우리네 개그맨들 역시 올 한해 열심히 몸을 놀려 시청자들을 즐겁게 했다. 몸 개그가 대세인 세상, 어찌 그 몸짓이 슬프지 않을까. 각종 시상식에서 그제야 눈물을 흘리는 개그맨들을 보면서 그들의 슬픈 몸짓이 그렇게도 아름다운 것이었던가를 새삼 깨닫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