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해품달'과 조연에 대한 예의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해품달'과 조연에 대한 예의

D.H.Jung 2012. 3. 25. 08:31
728x90


'해품달', 왜 뒷얘기가 무성할까

'해를 품은 달'(사진출처:MBC)

아쉬움 때문일까. 아니면 드라마 시청률이 40%를 넘겼다는 도취감 때문일까. 물론 드라마가 끝나면 거기 참여한 제작진이나 연기자들의 인터뷰가 있기 마련이다. 하지만 '해를 품은 달(이하 해품달)'에서 유독 작가의 인터뷰가 눈에 거슬리는 건 왜일까. 또 40% 이상의 시청률을 낸 작품 치고 몇몇 주연들에게만 지나치게 쏠려 있는 스포트라이트도 이례적이다. 이 정도의 시청률이라면 거기 참여한 조연들에 대한 조명 역시 따라오는 게 당연할 것이다. 하지만 김수현과 한가인을 빼고 나머지 조연들에 대한 이야기는 별로 없다.

물론 그럴 리는 없겠지만 이런 상황은 마치 의도된 것처럼 비춰진다. '해품달'의 마지막회에 남는 아쉬움은 결국 남녀 주인공인 훤(김수현)과 연우(한가인)의 해피엔딩을 위해 주변인물들이 줄초상을 당하거나 들러리로 선 인상이 짙다는 것 때문일 게다. 그러니 작품이 끝나고 두 주인공과 작가의 인터뷰만 유독 눈에 띄는 건 어딘지 씁쓸함을 남긴다. 그래서였을 것이다. 극중 윤대형이란 인물을 연기해 작품에 확고한 극성을 만들어낸 김응수의 색다른(?) 인터뷰가 눈길을 끄는 것은.

김응수는 인터뷰를 통해 극중 딸 캐릭터인 윤보경(김민서)이 극 후반 연우가 등장하면서 이렇다 할 대응 한 번 하지 않고 스스로 무너져가는 반응이 이해가 가지 않는다는 의견을 내놨다. 또 결국 스스로 목숨을 끊는 설정 또한 너무 과하지 않았나 하는 자신의 생각을 전했다. 작품이야 결국 작가가 쓰는 대로 굴러가기 마련이다. 따라서 우리네 드라마처럼 흘러가면서 스토리가 써지는 대본은 주연이 아닌 연기자라면 때로는 '살생부'처럼 여겨지기 마련이다. 언제 어느 순간 갑작스레 (작가에 의해) 죽음을 맞이할 지 모르는 운명이란 얘기다.

인터뷰 내용을 보면 김응수는 이 상황이 꽤 고질적이라는 걸 드러내고 있다. '해품달' 대본을 받고는 윤대형이란 인물이 끝까지 나오냐고 물었고, 나온다고 했지만 자신은 믿지 않았다는 것이다. 왜? 우리네 드라마 제작 현실이 거의 실시간으로 쓰여지고 상황에 따라 제멋대로 흘러가기도 하는 것이 다반사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김응수는 '샐러리맨 초한지'에서도 같은 상황을 겪었다. '초한지'의 초나라에 해당되는 장초그룹 회장으로 출연한 김응수는 그러나 몇 회가 지나고 아무런 이유도 설명되지 않은 채, 드라마에서 사라져버렸다. 아무리 조연이 작가의 글줄 몇 개로 존재 자체가 날아가는 파리 목숨이 됐다고 해도 이건 너무 무례한 처사가 아닌가.

만일 어쩔 수 없이 드라마 방향이 이렇게 흐를 수밖에 없었다면 최소한 작가는 후에라도 상황이 이렇게 된 것에 대한 해명이나 적어도 미안함을 표하는 것이 예의일 것이다. 하지만 진수완 작가가 한 일련의 인터뷰들은 어딘지 불편함이 느껴진다. 진수완 작가는 각종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본래 하고자 했던 대본에 대한 아쉬움을 늘어놓았다. 20부작이 아니라 24부작이었다면 달랐을 결말의 디테일들에 대한 이야기나, 유난히 많았던 연기력 논란에 대한 안타까움, 또 작품의 메시지에 대한 부연 설명까지. 얼마나 아쉬웠으면 이렇게 인터뷰를 통해서라도 이런 얘기를 할까 싶지만, 다른 시각으로 보면 작품 내에서 결국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변명처럼 들리는 것도 사실이다. 결국 작가는 작품으로 얘기해야 하지 않을까.

인물들이 작품 내에서 저 스스로 살아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 작가의 소임일 것이다. 하지만 그럴 듯한 설득력이 없이 작가가 나서서 인물들을 인형처럼 이리 움직이고 저리 움직이게 하다가 결국에는 주인공들의 해피엔딩을 위해 줄초상을 내는 것처럼 느껴지는 '해품달'을 두고 작품 밖에서 애써 부연 설명하려는 모습은 그다지 좋게 보이진 않는다. 그래서일까. 김응수의 토로가 마치 작가에 의해 인형처럼 마구 휘둘리는, 그래서 대본을 살생부처럼 여기게 되는 조연들의 진중한 질책으로 여겨지는 것은.

심지어 개그 프로그램을 보고 웃다가 죽음을 맞이하는 조연이 나오는 우리네 드라마판이 아닌가. 조연들은 주연을 위해 이리저리 굴리다 갑작스럽게 팽 당하는 그런 존재들이 아니다. 이것은 마치 드라마판만이 아니라 우리네 사회의 축소판을 보는 것만 같아 씁쓸하기 그지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