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원스’의 성공이 우리 가요, 영화에 시사하는 것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원스’의 성공이 우리 가요, 영화에 시사하는 것

D.H.Jung 2007. 12. 1. 00:21
728x90

영화, 음악... 진심이 닿지 않을 곳은 없다

제작비 1억4천만 원에 촬영기간은 고작 2주, 게다가 남녀 주연배우는 연기경험 전무의 뮤지션들로 만들어진 독립영화 ‘원스’. 작은 몸집(?) 때문에 미국에서도 2개관에서만 개봉됐던 이 영화는 80일 만에 140여 개 관에서 볼 수 있는 초대박 영화가 되었다. 이것은 우리나라에서도 마찬가지. 10개관에서 개봉했던 영화는 현재 16개관으로 늘어났고 지금까지 독립영화로서는 좀체 거두기 힘든 16만여 명의 관객을 끌어 모았다. 도대체 그 흥행의 이유는 무엇일까. 스토리? 캐릭터? 아니면 연출?

가난한 영화 ‘원스’가 성공한 이유
‘원스’는 거의 스토리가 없는 영화다. 어느 날 길거리에서 노래하는 남자와 그의 음악을 알아차린 여자가 만나고 서로 음악을 나누면서 사랑을 키우다가 이별한다는 흔하디 흔한 이야기다. 드라마틱한 인물들의 만남이나 구성도 없고 캐릭터를 살리기 위한 시퀀스나 극적 상황도 없다. 게다가 카메라는 어떠한 연출의 묘도 살리지 않으며 그저 묵묵히 이 두 남녀를 따라다니기만 한다. 이것을 극영화라 할 수 있을까 싶을 정도. 다큐멘터리에 가까운 이 영화의 진짜 흥행 이유는 무엇일까.

많은 사람들이 거기에 깔린 음악을 지목한다. 노래가 너무 좋아서 듣다보면 눈물이 날 지경이란다. 영화를 봤던 이들이 서둘러 음반가게로 달려가 OST를 사는 바람에 이 영화의 음반은 지금까지 2만5천여 장에 달하는 유례 없는 판매고를 올리고 있다고 한다. 영화의 주연남녀가 유명한 인디밴드 ‘더 프레임즈’의 보컬이자 기타리스트인 글렌 한사드와, 작사가이자 작곡가인 마르게타 이글로바라는 점은 분명 이 영화의 성공에 훌륭한 영화음악이 있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하지만 단지 그것뿐일까. 영화를 보러간 관객들의 마음을 단지 음악 하나로 사로잡았다는 것은 어딘지 부족해 보인다.

‘원스’, 영화와 음악의 진심이 보이는 영화
‘원스’는 진심 하나로 승부한 영화다. 그 진심은 음악에 대한 진심이기도 하고 영화에 대한 진심이기도 하다. 영화 속에서 주인공들은 연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진짜 마음을 담아 노래하고 생활한다. 카메라는 연출이란 화장을 덕지덕지 하기보다는 그저 진정성 하나로 이들을 담아낸다. ‘원스’는 진정한 음악을 하는 가난한 예술가의 진심을 담는다.

상심으로 절망적인 남자는 거리에서 자신의 마음을 담아 노래하고, 여자는 그 마음을 알아차린다. 가난한 삶 속에서 음악은 그들에게 구원이자 유일한 행복이자 소통의 창이 된다. 가난한 여자가 가끔 들러 피아노를 치곤 하던 악기가게에서 남자와 함께 노래를 부르고, 남자가 만든 곡에 가사를 붙이는 담담한 장면이 감동적인 것은 그네들의 진심이 관객에게도 고스란히 전해지기 때문이다.

그것은 또한 영화의 진심이기도 하다. 몇 백 억의 돈을 들여 만들어진 블록버스터가 수백 개의 극장을 잡고 상영되는 현실 속에서 가난한 영화의 선택은 화려한 연출이나 멋진 배우, 기상천외한 스토리가 아닌 영화에 대한 진심 하나였다. 따라서 가난하지만 영화에 대한 진지한 눈 하나로 통할 것이라는 믿음은 영화에 다큐멘터리 같은 성격을 갖게 만들었다.

‘원스’가 우리 가요계, 영화계에 시사하는 점
진심을 담아 성공을 거둔 ‘원스’는 불황의 늪에 빠진 작금의 우리 가요계와 영화계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가요계는 불황의 원인으로 수많은 마케팅 분석 자료들을 쏟아내고 있다. 불법 다운로드되는 시장상황과, 디지털 음원을 갖고 있는 이동통신사, 유통사의 문제, 상업적으로만 무장한 기획사 등등 이 자료들의 분석은 틀린 것이 없을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마케팅적인 분석들은 또한 ‘누구 탓’을 지목하기 위한 것처럼 보일 때가 많다. 정작 자신들은 음악에 대한 애정을 저 ‘원스’만큼 가지고 있는지 반문하고 싶다.

작금의 가요계는 음악에 대한 애정과 절실함보다, 마케팅 분석에 따르면 기본을 할 수 있다는 상업적 성공에 더 관심이 있는 건 아닐까. 대자본이 문화를 좌지우지하는 상황 속에서 정해진 안무에 맞춰 인형처럼 춤을 춰대는 상품화된 가수들만 양산되고, 설 무대가 없어진 노래하는 가수들은 급기야 개그를 해야하는 현실이 그걸 말해준다.

이것은 비단 가요계만의 이야기는 아닐 것이다. 영화계가 쏟아내는 엄청난 기획작품들이 감독의 진심을 전하기보다는 몇 백 개의 개봉관을 잡았는지, 또 몇 백만 명의 관객이 들었는지에 더 관심을 보이는 것도 가요계의 현실과 마찬가지다. 감독을 자신의 작품세계를 구축하고 관객들과 나누는 작가로 보지 않고, 기획된 작품의 공장장으로 만들어버린 대자본이 오히려 영화계의 불황을 낳은 것은 아닐까.

음악이든 영화든 그것을 만드는 사람이 작품이 아닌 상품을 만들 때, 그걸 향유하던 문화인들은 구매자로 전락한다. 문화를 향유하려는 대중을 구매자로 만들어버리는 현실 속에서 대중들은 짜 맞춘 성공방정식 속의 기획상품들에 질려있다. 가요계와 영화계는 왜 저 ‘원스’의 성공이 보여주는 음악과 영화 자체가 가진 진심의 힘을 믿지 못하는 것일까. 영화든 음악이든 진심의 힘이 닿지 않을 곳은 없다는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