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펜트하우스'와 '결사곡', 닮은 듯 다른 두 막장의 색깔론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펜트하우스'와 '결사곡', 닮은 듯 다른 두 막장의 색깔론

D.H.Jung 2021. 2. 18. 13:01
728x90

이야기 폭풍전개 '펜트하우스'와 자극적 설정 '결사곡'

 

다 같은 막장드라마 아닐까. SBS <펜트하우스>와 TV조선 <결혼작사 이혼작곡>은 시작 전부터 이런 의문을 유발시켰다. 다름 아닌 김순옥 작가와 Phoebe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돌아온 임성한 작가의 작품들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두 드라마는 그저 '막장'이라는 하나의 지칭으로 묶여질 수 없을 것 같은 다른 세계를 보여준다. 일단 한 회에 다뤄지는 스토리의 양이 극과 극으로 다르다. <펜트하우스>는 한 마디로 폭풍전개라는 표현이 어울릴 정도로 스토리의 양도 넘쳐나고 속도도 빠르다. 반면 <결혼작사 이혼작곡>은 스토리의 진행 속도가 너무나 느리고 그것도 상황 전개가 아닌 과도한 대사로 채워짐으로써 마치 '옛날 드라마'를 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펜트하우스>는 빠른 이야기 전개와 반전을 통해 이야기를 쏟아내는 카타르시스에 맞춰져 있다면, <결혼작사 이혼작곡>은 부딪침과 갈등이 예고되는 상황들을 천천히 누적시키고 쉽게 이야기의 전모를 드러내지 않는 '지연작전'을 쓴다. 남자들이 불륜을 저지르고 있는데, 그 상대가 누구인지 아직까지 드러내지 않고 있는 게 단적인 증거다.

 

물론 <펜트하우스>나 <결혼작사 이혼작곡>의 공통분모도 존재한다. 그것은 작가의 자의식이 강해 때로는 이야기에 개입하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는 점이다. 그래서 두 작품 속 인물들은 어딘지 작가에 의해 이리 저리 휘둘리는 경우가 많다. <펜트하우스>에서 갑자기 자매 같은 동지의식을 발휘했던 심수련(이지아)을 배신하는 오윤희(유진) 같은 캐릭터가 그랬다면, <결혼작사 이혼작곡>에서 아내 사피영(박주미)에게 한없이 달달한 남편으로 보였지만 아버지 사후에 새어머니인 김동미(김보연)를 과도하게 챙기는 신유신(이태곤)이 그렇다.

 

바로 이런 작가의 개입이 느껴지는 두 드라마의 공통적 요소들은 '개연성' 문제와 직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이른바 '막장'이라 불리는 이유로 작용한다. 작품이 등장인물들의 내적 개연성에 의해 흘러가기보다는 작가의 과도한 의도에 따라 '조종'될 때 작품의 완성도는 떨어지기 마련이다. 또한 이것은 시청자들이 막장드라마를 볼 때 가끔씩 느끼게 되는 불쾌감의 이유이기도 하다. 작가의 의도대로 인물이 휘둘리듯, 그 인물에 몰입하는 시청자들도 휘둘리는 느낌을 받기 때문이다.

 

또한 막장드라마들의 특징 중 하나인 자극적인 설정도 두 드라마는 모두 유사하게 갖고 있다. 공교롭게도 가족의 죽음을 방치하는 패륜적인 상황은 <펜트하우스>에도 또 <결혼작사 이혼작곡>에도 등장했다. <펜트하우스>에서 아버지의 죽음을 방치하고 피묻은 손으로 광기의 피아노를 치던 천서진(김소연)의 장면이나, <결혼작사 이혼작곡>에서 남편의 죽음을 방치한 채 광기어린 표정으로 웃으며 눈물 흘리는 김동미의 장면 모두 시청자들을 소름 돋게 만든 바 있다.

 

그런데 이렇게 유사한 요소들을 갖고 있으면서도 두 드라마에 대한 느낌은 사뭇 다르다. 복수극의 틀을 가져와서인지 <펜트하우스>는 고구마 설정만큼 확실한 사이다를 주며 시청자들에게 카타르시스를 주지만, 불륜극의 틀을 가져온 <결혼작사 이혼작곡>은 아직까지는 꾸역꾸역 고구마를 목구멍 속으로 천천히 집어넣는 듯한 느낌을 준다. 물론 이것은 후에 등장할 엄청난 후폭풍을 위한 예비단계일 가능성이 높지만.

 

이번 주 금요일부터 <펜트하우스2>가 다시 시작된다. 물론 토일드라마인 <결혼작사 이혼작곡>과 완전히 겹치지는 않지만, 토요일밤의 대전이 어떤 결과를 드러낼지 벌써부터 궁금해진다. 물론 이젠 막장드라마도 취향대로 골라 보는 시대인지라, 그 시청층이 얼마나 겹칠지는 예측하기 어렵겠지만.(사진:S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