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전여빈과 나나의 워맨스로 ‘글리치’ 작가가 꺼내놓은 이야기 본문

동그란 세상

전여빈과 나나의 워맨스로 ‘글리치’ 작가가 꺼내놓은 이야기

D.H.Jung 2022. 10. 13. 10:37
728x90

‘글리치’, 넷플릭스 ‘인간수업’ 작가가 펼쳐놓은 또 하나의 상상력

글리치

과연 외계인은 존재하는가. 본 사람을 만나는 건 어렵지만, 그렇다고 없다고 부정하기도 애매한 알 수 없는 미지의 존재. 외계인이니 UFO니 이야기할 때 우리는 과연 그런 존재가 있는가를 먼저 질문한다. 하지만 실제로 보기 어렵고 증명하기 어려운 존재에 대한 접근은 그것이 있는가 아닌가의 문제가 아니라 그 존재를 믿는가 아닌가의 문제가 아닐까. 마치 우리게 종교에 있어 신의 존재를 그렇게 대하듯이.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글리치>는 바로 그 UFO로 이야기의 문을 연다. 지효(전여빈)가 학창시절 겪은 사건이 그것이다. 어느 들판에서 마주하게 된 거대한 빛. 전부터 UFO와 외계인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갖고 관련 기사들을 꼼꼼히 챙겨 읽으며 자신도 그 존재를 확인하고 싶어 저 미지의 세계에 신호를 보내곤 했던 지효였다. 우연히 만나 친하게 된 보라를 들판 한 편에 있는 버려진 봉고차에 꾸며진 자신의 아지트로 데려가 UFO와 외계인의 이야기를 늘어놓던 지효는 그러나 그 빛을 마주한 후 들판에 버려진 채 발견되고, 자신을 버리고 갔다고 믿는 보라와 결별한다. 

 

성장한 지효는 적당한 직장에 다니며 무감정한 섹스를 나누는 남자친구가 동거를 제안하고 부모들도 함께 살아보는 게 어떠냐는 이야기까지 듣는 어찌 보면 평이한 삶을 살아가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그에게는 비밀이 있다. 그건 현대 유니콘스 모자를 쓴 외계인이 자꾸만 눈에 보인다는 사실이다. 다른 이들에게는 보이지 않는 그 존재가 점점 거대해져 거인처럼 지효 앞에 나타나기 시작하고 급기야 남자친구마저 실종되어 버리자 그는 이것이 외계인의 소행이라 의심한다. 그러면서 자신의 정신이 이상하다 생각해 상담을 받으면서도 UFO를 추적하는 모임을 기웃거린다. 그리고 거기서 예전에 결별했던 친구 보라(나나)를 만난다. 

 

외계인을 보지만 그것이 자신의 환상일 뿐이라고 치부하는 지효와, 과거 지효가 알려준 내용들을 바탕으로 여전히 외계인이 존재할 거라고 믿으며 이를 추적하는 보라. 이들은 실종된 남자친구를 찾아 나서고 동시에 이 실종과 하늘빛드림교회라는 종교집단이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이 하늘빛드림교회는 다름 아닌 외계인(하늘빛)의 도래를 믿는 사이비 단체다. 지효와 보라는 이 휴거를 꿈꾸는 사이비 종교 단체를 추적하고, 그 과정에서 그 빛을 봤다고 여기는 지효는 저들에게 호산나(구원자)로 지목되어 받들어지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지효의 선택에 의해 그를 호산나로 믿는 신도들이 모두 구원이라고 믿는 집단자살을 하게 될 수도 있는 상황. 지효는 자신의 믿음에 대한 선택의 기로에 놓이게 된다. 이들은 사이비 종교단체가 분명하지만 그렇다고 자신이 외계인과 UFO를 봤다는 그 믿음조차 자신의 환상일 뿐이었다는 걸 인정하기가 어렵다. 그게 아니라면 자신은 특별한 경험을 한 것이 아니라 그냥 미친 것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글리치>는 과연 지효가 본 게 진짜 UFO와 외계인이 맞는가에 대한 궁금증으로 끝까지 이야기를 풀어가지만 엔딩은 속 시원히 그 결론을 말해주지 않는다. 그래서 이 작품은 결과가 아니라 오히려 그 질문을 갖고 그 끝까지 함께 달려가며 지효와 보라가 겪는 일련의 과정들과 그 사이에서 벌어지는 관계의 변화를 다시 돌아보게 만든다. 그 무엇도 확신할 수 없는 미지의 세계 앞에 덩그라니 놓여 있는 것이 우리의 실존일 때, 믿음의 문제는 그것이 사실이냐 아니냐보다 누가 그걸 공유하고 공감해주느냐가 더 중요해질 수 있다. 

 

그 누구도 믿어주지 않아 자신 혼자만 보는 세계를 애써 타인에게 숨겨가며 살아왔던 지효가, 그걸 직접 보진 않았지만(확실한 근거는 없지만) 믿어주는 보라와 함께 그 세계를 공유하는 과정은 그래서 단순한 ‘워맨스’의 차원을 뛰어넘는다. 그건 어쩌면 우리가 이 미지의 세계에 저마다 홀로 외롭게 던져져 있어도 살아갈 수 있는 힘이 바로 그 ‘믿음의 공유’에 있다는 걸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글리치>를 쓴 진한새 작가는 전작이자 첫 작품이었던 <인간수업>에서처럼 이번에도 자신의 상상을 어떤 정제된 틀에 가두기보다는 하나하나 끄집어내 끝까지 밀어붙이는 에너지를 보여준다. 그래서 이야기가 처음에는 UFO로 시작해 외계인으로 이어지고 실종사건과 사이비 종교단체로까지 펼쳐져 나가더니 급기야는 믿음과 인간 실존의 문제로까지 확장시킨다. 

 

물론 <글리치>는 깔끔하게 정제되어있는 작품이라 보긴 어렵다. 하지만 다소 거칠게 밀어붙이는 상상력의 에너지가 느껴지는 작품이다. 말끔한 기성작가의 작품에서는 느낄 수 없는 거칠지만 일단 어디로든 달려 나감으로써 거기서 어떤 의외의 결과를 만나기도 하는 그런 패기가 이 작품에는 있다. 진한새 작가의 이런 작품의 경향은 마치 <글리치>의 주인공들인 지효와 보라를 닮았다. 어떤 하나의 궁금증과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어 길을 나서고 그 과정에서 별의 별 사건들을 만나면서 끝내 무엇 때문에 그 길을 나섰는가를 드디어 마주하게 되는 이들의 여정 같은.(사진:넷플릭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