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드라마, 예능을 장악한 신상(?) 캐릭터들

728x90

대중들은 신상 캐릭터에 목마르다

윤상현이 ‘겨울새’에 출연했을 때, 그 마마보이 찌질남 역할에 시청자들이 주목할 줄 누가 알았을까. 잘 생기고 분위기 있어 보이는 외모의 윤상현은 오히려 한없이 망가지는 찌질한 역할을 통해 스타덤에 올랐고 그 여세를 몰아 MBC 일일시트콤 ‘크크섬의 비밀’에서 그 캐릭터의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한편 ‘엄마가 뿔났다’에서 가장 주목받는 캐릭터는 누굴까. 그건 주인공인 김한자(김혜자)도 아니고, 나일석(백일섭)이나 나이석(강부자)도 아닌 고은아(장미희)다. 이는 현재 광고계에서 타 캐릭터와 비교해 고은아 캐릭터가 더 많이 활용하고 있는 걸 보면 알 수 있다. 김수현 작가도 스스로 밝혔듯이 이렇게 된 것은 전적으로 장미희의 연기력이 한몫을 차지한다. 그렇다 하더라도 이 도도하면서도 때론 귀엽기까지 한 악역이란 독특한 캐릭터가 가진 힘은 부정하기 힘들다.

드라마의 신상 캐릭터, 윤상현과 장미희
확실히 ‘크크섬의 비밀’의 윤대리와 ‘엄마가 뿔났다’의 고은아는 지금껏 우리네 드라마에서 보지 못했던 캐릭터다. 이들은 악역은 아니면서 악역과 유사한 역할을 맡는다. 섬에 표류된 상황 속에서도 일 안하고 줄이나 서려 하며 아첨하고 험담하는 윤대리 역할은 함께 있는 타인들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 캐릭터이지만, 그렇다고 그 캐릭터가 그저 밉상은 아니다. 이것은 자신과 격이 맞지 않는다며 며느리를 구박하는 시어머니 고은아도 마찬가지다. 악역이면서도 왠지 밉지 않고 때로는 공감까지 가는 캐릭터. 드라마에서 한번도 보지 못했던 이들은 캐릭터계에 등장한 신상이다.

드라마의 신상 캐릭터에 대한 요구는 틀에 박힌 캐릭터들에 대한 비호감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한 때 한류바람을 타고 인기몰이를 했던 최지우, 이정재, 김희선 그리고 최근에는 김선아 같은 연기자들이 드라마에 복귀하면서 새로운 모습보다는 과거 그대로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외면 받았던 것은 바로 이 같은 대중들의 신상 요구에 부합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것은 복귀와 함께 신비주의를 벗고 파격적인 변신을 시도했던 고현정이 그나마 대중들에게 어필했던 이유이기도 하다. 이제 착하고, 영웅적이며, 카리스마 넘치지만 여전히 구태의연함을 못 벗은 캐릭터보다는, 차라리 악하고, 반영웅적이며, 찌질하지만 새로운 캐릭터가 더 환영받는 시대다.

예능의 신상 캐릭터, 서인영, 이효리, 이승기, 대성, 이천희
이러한 신상 캐릭터(?)에 대한 주목은 드라마에서만 일어나는 일이 아니다. 이미 캐릭터라이즈드 쇼(Characterized Show)가 되고 있는 예능 프로그램에서도 신상 캐릭터들은 확실한 지지도를 얻고 있는 상황이다. 서인영은 ‘싸가지’와 ‘당당함’을, 이효리는 ‘섹시함’과 ‘털털함’을 하나로 묶는 독특한 캐릭터를 선보였다. 언뜻 연결될 수 없을 것 같은 이 이질적인 요소를 하나로 묶는 순간, 캐릭터는 양극단을 오가는 아슬아슬한 묘미를 제공하면서 대중들의 지지를 얻었다.

한편으로는 신비화 전략을 구사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탈 신비화하려는 복합 캐릭터 전략은 지금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대부분의 가수, 배우들이 취하고 있는 것. 이승기는 무대에 오르면 누나들의 감성을 자극하는 목소리의 가수지만, ‘1박2일’에서는 엉뚱한 언동을 일삼는 허당이다. 빅뱅의 대성은 노래를 할 때는 아이돌 스타지만, ‘패밀리가 떴다’에서는 여지없이 망가지는 덤앤더머 캐릭터로 변신한다. ‘대왕 세종’에서 장영실로 진중한 연기를 보이는 이천희는 역시 같은 프로그램에서는 엉성하고 구박받는 천데렐라로 변신한다. 이 드라마에서의 모습과 예능에서의 모습이 다른 이중적인 캐릭터는 하나로 합쳐지면서 독특한 신상 캐릭터를 구축한다. 지금까지는 없던 새로운 영역을 갖게 되는 것이다.

신상 캐릭터에 대한 갈증, 캐릭터 소비 빨라진다
대중들의 새로운 캐릭터에 대한 갈증이 커질 대로 커진 요즘 그만큼 캐릭터의 소비는 더 빨라졌다. 연기자들이 매번 드라마를 통해 무언가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어야 한다는 강박은 과거 어느 때보다 더 높아졌다. 어디서 본 듯한 캐릭터들이 포진한 드라마들은 그만큼 대중들에게 외면 받기 쉬워졌다. 반면 잘 창조된 캐릭터들은 주연이 아니라 하더라도 조명을 받으며, 드라마를 이끌어 가는 주요 동력이 된다. 종영한 ‘일지매’에서의 쇠돌(이문식)이나 공갈아제(안길상) 같은 캐릭터는 주연 못지 않은 캐릭터의 힘을 과시했다.

한편 예능에서의 캐릭터들은 상황이 더 좋지 않다. ‘무한도전’의 캐릭터들이 최근 들어 조금씩 시들해지는 것은 그만큼 오랫동안 같은 캐릭터를 유지해왔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최근에 폭발적으로 증가한 신상 캐릭터 인구 때문이기도 하다. 드라마는 물론 각종 이벤트에 투입되고, 케이블을 통해 무한 재방영되며 심지어 타방송사의 프로그램에서도 같은 캐릭터로 무한소비되는 상황에 피곤해진 캐릭터들이, 자고 일어나면 새롭게 생겨나는 캐릭터들의 홍수 속에서 더 이상 버티기는 쉽지 않게 되었다. 이것은 ‘1박2일’에도 똑같이 해당되는 이야기다.

어디든 눈만 돌리면 넘쳐나는 욕망들이 거리를 가득 메우는 소비의 시대, 대중들의 TV 속 캐릭터 소비가 빨라지는 것은 당연하다. 이 시점에서 중요해지는 것은 TV 속 캐릭터의 변화 속도가 대중들의 소비 속도를 잘 따라잡고 있느냐는 점이다. 새로운 상품이 그 시대의 기호와 트렌드를 잘 반영하고 있듯이, 새로운 캐릭터 역시 그 시대를 고스란히 반영한다. 따라서 급속한 소비로 피곤해진 캐릭터들을 어떻게 재빠르게 보완하고 변신시키고 창출하는가는 드라마나 예능의 당면과제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