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네모난 세상

‘다큐 3일’에서 안상태 기자를 발견하다

728x90

시공을 잘라 사람을 포착하는 ‘다큐 3일’

지난 11월, 양천구 신월 5동에 있는 고물상 세 곳에서의 3일을 포착한 ‘다큐 3일-인생만물상편’에서는 다큐로서는 보기 드문 장면이 카메라에 잡혔다. 한 끼 식사를 위해 엄동설한에도 파지를 주우러 다니는 한 할머니를 쫓아다니며 촬영을 하던 한 여자 VJ가 카메라를 든 채 눈물을 흘리고 있었다. 단 한 끼를 챙겨먹기 위해 그 고된 일을 하는 할머니를 취재하는 입장이지만, 그 안타까움에 눈물을 감추기가 어려웠던 탓이다.

VJ의 의도되지 않은 틈입이 주는 감동
엄정한 카메라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을 제공하는 다큐멘터리에서, VJ의 의도되지 않은 틈입(예를 들면 질문 같은 것이 아닌)은 일반적인 것은 아니다. 하지만 ‘다큐 3일’에는 이러한 VJ의 존재가 문득 문득 영상을 통해 느껴질 때가 많다. 그 고물상에서 3일 동안 할머니를 쫓아다닌 한 VJ에게 그 할머니는 고생한 것에 대한 선물이라며 요구르트를 건네며 꼭 놀러오라고 말했고, VJ는 그러겠다고 화답했다.

지난 24일 방영된 탑골공원 주변의 3일을 다룬 ‘아버지의 얼굴 편’에서도 이런 상황은 다르지 않다. 매일 출근하듯 탑골공원 인근의 1천5백 원짜리 국밥집을 찾는다는 한 노신사는 공원의 명물인 백 원 짜리 커피 자판기에서 굳이 커피를 빼주겠다며 VJ에게 호의를 베풀었다. 31일 방영된 ‘고향 가는 길’에서는 버스에 동행 취재하는 VJ에게 한 아주머니가 가래떡을 건넸다. 촬영 중이라 먹지를 못하자, 아주머니는 “촬영 좀 그만하고 좀 먹어”하고 말해 기어이 VJ에게 정을 전했다.

이러한 VJ의 틈입은 자칫 다큐멘터리의 몰입을 방해할 수 있는 요소다. 하지만 ‘다큐 3일’에서의 틈입은 불편하거나 불쾌하지 않고 오히려 어떤 감동까지 준다. 그것은 VJ와 그가 찍는 사람들 간의 친밀감 때문이다. 도대체 무엇이 이런 친밀감을 만들어내는 걸까. 여기에는 단지 VJ의 능력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그 무엇이 있다. 그것은 ‘다큐 3일’만의 독특한 형식에서 비롯된다.

시간과 공간의 축에서 사람을 발견하다
‘다큐 3일’은 말 그대로 특정한 장소를 3일 간 관찰하고 기록하는 형식을 갖고 있다. 즉 시간적 제한과 공간적 제한이 그 핵심이다. 이렇게 제한적으로 시공을 압축해놓으면 그 안에 벌어지는 일들은 마치 돋보기를 댄 것처럼 자세해진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스쳐지나갔던 공간과 시간이 새롭게 제 모습을 드러내는 것이다. 시간의 축과 공간의 축 위에서 잡아내려 하는 것은 다름 아닌 그 곳을 살아가는 인간군상의 모습이다. 이 사람들을 통해 우리는 세상을 읽을 수 있는 단서를 얻게 된다.

즉 ‘다큐 3일’은 시공을 단지 제한해 압축해낸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그것은 그 안에 있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다 자세하게 그려내기 위한 장치다. 바로 사람에게 집중하게 되는 이 형식은 VJ를 그 한정적 시공간 속에 익숙해지게 만든다. 시청자를 대신해 VJ라는 외부적 시선이 그 특정 공간 속을 살아가는 사람들을 ‘발견’하고 또 점점 동화되고 공감하게 되는 그 3일간의 경험이 바로 ‘다큐 3일’인 것이다. 이 과정 속에서 VJ는 어느 순간 그 시공간과 교감을 나누게 된다. VJ의 눈물, 틈입은 이 순간에는 몰입의 방해가 아니라 감동이 된다.

최근 개그 콘서트에서 ‘난...뿐이고’로 뜬 안상태 기자는 사건현장 속에서 그 현장이 자신까지도 삼켜버리는 현실을 목도한 후, 기자의 본분까지 잊어버리고 자신의 처지를 토로한다. 시청자들 마음의 정곡을 찌르는 이 웃음의 포인트에는 이런 생각이 자리하고 있다. ‘기자라는 껍데기가 뭐가 중요해 나도 똑같은 인간이다.’ ‘다큐 3일’에는 웃음이 아닌 감동을 발견한 VJ의 틈입이 있다. 그들은 그 틈입의 장면을 통해 이렇게 말한다. ‘자세히 바라보면 감동인 저들과 나는 다 같은 사람이다.’ 이것은 시청자에게도 마찬가지의 느낌으로 전달된다. 난... 감동했을 뿐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