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그 누구도 만나지 않고 일주일만 살아본 적이 있다면, '인간은 반려(伴侶)의 동물'이라는데 누구나 고개를 끄덕일 게다. 뭣도 모르던 어린 시절에는 심지어 낭만적으로 읽혔던 '로빈슨 크루소' 이야기가 사실은 처절한 생존기였다는 것을 알 것이다. '캐스트 어웨이'라는 영화에서 톰 행크스가 폭풍에 떠내려간 윌슨씨(윌슨 배구공이다)를 그토록 애절하게 부르던 장면이 이해가 갈 것이다. 정말이지 모든 인연을 끊고 속세를 저버린 고승들이 얼마나 위대한 지를 깨닫게 될 것이다. 혼자 살아간다는 건 정말 힘든 일이다.

대학을 졸업하고 끔찍한 반 지하 자취방에서 두문불출 소설만 쓰던 시절, 친구의 전화 한 통화는 삶의 빛과 같았다. 전화를 받으면 그 곳이 어디든 쪼르르 달려 나가던 나는 친구들과의 이 유난한 애착(?) 관계가 다 이 놈의 어두침침한 반 지하 자취방 때문이라 생각했었다. 이 방만 벗어날 수 있다면 감기처럼 앓던 우울도 사라질 것이라 여겼었다. 하지만 웬걸? 우울은 공간의 문제가 아니라 반려의 문제라는 걸 알게 된 건, 휴가를 떠나며 일주일만 자기 집을 봐달라는 친구 덕분이었다. 마치 럭셔리 펜션으로 여행 가듯 즐겁게 친구네 48평 짜리 강남 아파트에 놀러 간 나는 단 이틀만에 똑같은 외로움에 빠져버렸다. 아이러니하게도 그 외로움을 이겨내게 해준 건 그 집 어항에 있던 거북이였다. "이틀에 한 번 밥 좀 챙겨줘라." 이게 친구가 내게 일주일 간 집을 맡긴 이유였는데, 처음엔 여행가면서도 보호받는 이 놈을 보며 묘한 질투심을 갖기도 했다. 그런데 한 이틀이 지나자 자연스레 나는 이 거북이와 대화를 하기 시작했다. 그제야 인간이 반려의 동물이라는 걸 깨달은 나는 반지하방 옆 칸 사는 젊은 친구와 가끔 소주 한 잔하는 친구가 되었다.

하지만 어디 인연이 좋기만 할까. 결혼을 하고 직장을 갖고 사회생활을 한 사람들은 어쩌면 거꾸로 관계의 피곤을 앓고 있을 지도 모른다. 그런데 아이들은 그 수많은 관계 속에 개나 고양이 같은 관계를 더 끼워 넣고 싶어 한다. 처음엔 그 때 생각 때문인지, 거북이를 키웠고, 그 다음엔 열대어, 그 다음엔 햄스터를 키웠다. 거북이는 방치되다가 결국 어머니 손에 이끌려 단양의 한 호수에 방생되었고, 열대어는 알 수 없는 병에 걸려 모두 죽어버렸다. 철장을 빠져나오자 쥐의 공포로 돌변한 햄스터는 결국 다른 집으로 입양 가버렸다. 이제 정말 반려동물이라면 질색을 한다. 그런데 이상한 일이다. 그러다가도 아이들이 고양이나 개를 키우고 싶다고 얘기하면 또 마음 한 구석이 흔들리니 말이다. 혼자 있으면 외롭다가 둘이 되면 관계의 피곤을 느끼는 건 이 인간이라는 반려의 동물의 아이러니인가 보다. 그래도 그 따뜻한 체온이 느껴지는 그 누군가를 보듬고 싶은 욕망을 어찌 이겨낼 수 있으랴. 혼자보다는 그래도 둘이 더 좋은 걸.

결혼 권하는 사회에 대한 도발, '결못남'

'결혼 못하는 남자'는 언뜻 보기에는 이 결혼적령기를 지나 혼자 살아가는 남자, 조재희(지진희)에 대한 동정적인 시선의 드라마처럼 보인다. 다들 하는 것을 '못하고' 있는 이상한 성격의 남자, 조재희의 행동에 주변사람들은 "재수 없다"고 말한다. 그도 그럴 것이 혼자 먹는 저녁에 정성껏 스테이크를 굽고 와인까지 챙겨먹는 모습은 자신의 고독감을 속이려는 행동으로 보인다. 심지어 고깃집에 혼자 앉아 고기 맛을 음미하며 먹는 모습은 측은하게까지 생각된다.

하지만 이런 '결혼 못하는 남자'를 바라보며 머릿속으로 떠올리는 측은한 생각과는 달리, 보면 볼수록 마음 한 편으로 이 남자가 꽤 매력이 있고, 또 심지어 이 남자의 생활이 부럽기까지 한 것은 왜일까. 아마도 그 첫 번째는 이 남자가 관계의 피곤에서 해방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는 혼자인 대신, 그 혼자가 누릴 수 있는 자유를 만끽한다. 축제가 벌어질 때, 군중들 속에 자신도 끼고 싶다는 막연한 욕구는 종종 그 군중들이 가져오는 피곤함에 의해 배반당할 때가 많다. 이것은 결혼에 대한 은유다. 조재희가 불꽃놀이를 보기 위해 저 혼자만이 아는 뷰포인트에서 와인이 세팅된 테이블에 앉아 오페라망원경을 손에 들고 그걸 감상하는 것이 궁상맞아 보이다가도 부럽게 느껴지는 건 그 때문이다.

관계 밖으로 나와 있는 그의 삶은 자신에게 충실한 삶을 그려낸다. 드라마는 과장되게 마니아적인 삶으로 그것을 그려내지만 어떤 음악을 들을 때는 볼륨을 어느 정도에 맞춰 들어야 한다고 말할 정도로 그는 자신의 즐거움에 철두철미하다. 우리가 무심히 지나치거나 혹은 포기해버린 그 즐거움을 그는 지독할 정도로 챙긴다. 파도에 자갈 쓸리는 소리를 들으며 잠이 들 때의 그 즐거움은 사실 이런 삶의 태도에서 비로소 건져낼 수 있는 것이 아닐까.

'결혼 못하는 남자'는 지상과제로서의 결혼을 거부함으로써 혼자 사는 삶이 가져다주는 즐거움의 일면들을 목도하게 해준다. '결혼적령기'라는 말이 가진 사회적 압박감, 즉 '결혼은 몇 세 이전에는 반드시 해야 한다'는 그 압력은 혼자로서의 삶을 비정상적인 것으로 치부하게 만든다. 결혼이 사회구성원의 생산과 관련된 것이기에, 이것은 사회의 생존을 건 압력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결혼은 사회생활을 하는 이들의 삶의 모든 것들을 규정해버린다. 가족을 부양해야 하고, 싫어도 사회적 관계들을 유지해야 하고, 그 속에서 개인적인 삶은 잠자리에 들기 전 소파에 앉아 잠깐 TV를 쳐다보는 것 정도로 뒷전에 세워두어야 한다.

'결혼 못하는 남자'는 이러한 결혼을 중심으로 상식이 되어버린 삶에 대한 도발이 아닐 수 없다. 혼자 사는 조재희가 처음에는 이상하고 심지어 안쓰럽게까지 보이다가 차츰 그 삶이 부럽고 또 그가 매력적으로까지 느껴지는 것은 이 드라마가 가진 이 사회에 대한 도발이 효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징후가 아닐 수 없다. 이것은 또한 결혼이 궁극의 목표가 되는 여타의 멜로드라마들에 대한 도발이기도 하다. 멜로드라마 속에 등장하는 지극히 상투적인 '결혼 못해 안달난 남녀들'보다 이 드라마의 "결혼? 그걸 왜 해?"하고 묻는 이 남자가 더 매력적인 건 그 때문이다.

‘우리 결혼했어요’, 그 재미 속에 남는 우려

MBC ‘일요일 일요일 밤에’의 ‘우리 결혼했어요’는 가상으로 설정된 남녀들의 결혼생활을 리얼리티쇼 형식으로 담아낸 프로그램. 전성호 PD는 ‘우리 결혼했어요’가 “결혼을 진지하게 생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고 자평한 적이 있다. 아마도 가상이지만 타인들의 좌충우돌 결혼 생활을 들여다봄으로써 타산지석이 될 거라는 의미일 것이다.

하지만 ‘가상 결혼’이라는 말은 우리가 흔히 쓰는 ‘동거’라는 말과 그다지 다르지 않다. 결혼은 ‘하는 것’이지만, 동거는 ‘해보는 것’이듯이, 이 ‘가상 결혼’도 그저 해보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우리 결혼했어요’가 보여주는 것은 결혼이 아니라 동거다.

바로 그 동거생활, 즉 결혼처럼 해보는 생활은 적어도 책임감이나 의무감 혹은 관계의 피곤으로 점철된 우리네 결혼생활이 자리한 사회 속에서는 환타지에 속한다. ‘우리 결혼했어요’가 주는 재미의 포인트는 현실적인 리얼함에 있는 것이 아니라, 현실에 부족한 이 환타지를 충족시켜주는 데 있다.

따라서 정형돈-사오리 같은 현실적인 부부생활의 리얼리티는 이 프로그램의 주요 재미요소인 환타지를 상쇄시킨다. 시청자들이 원하는 것은 알렉스-신애 같은 풋풋하고 절절한 연애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커플이거나, 크라운제이-서인영 같은 거침없고 개성강한 신세대 커플, 솔비-앤디 같은 귀엽고 사랑스러운 커플, 혹은 황보-김현중 같은 엇박자지만 잘 어울리는 연상연하 커플이다.

답답한 현실에서 잠시 벗어나 그 달콤하고 유쾌한 환타지 속에 빠져보는 것이 무엇이 문제일까. 시청자들은 이미 드라마나 영화를 통해 이런 몰입과 관조의 기술을 터득하고 있다. 저건 가상이지 실제가 아니라고 스스로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환타지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그 목적에 합당하게 충분한 재미를 주면 되는 것이라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동거생활을 보여주면서 ‘결혼했어요’라는 제목을 붙이는 것에는 문제가 있다. 이것은 결혼에 대한 개념을 전적으로 혼동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 프로그램은 가상결혼이라는 컨셉트로 ‘우리 결혼했어요’라는 제목을 달면서, 보는 이에게 이건 ‘가상의 결혼생활’이라는 것을 강조한다. 마치 ‘가상’이라는 전제를 달았기 때문에 괜찮다 생각될 것처럼 보이지만, 한편으로 이것은 여전히 결혼생활이라는 강변을 하고 있다. 비록 가상이지만 결혼생활은 결혼생활이라는 말이다.

이로써 이 프로그램이 실제로 보여주는 동거생활은 결혼생활로 치환되면서 저 케이블TV에서 줄곧 방영되며 선정성 논란에 휘말린 동거 프로그램들로부터 자유롭게 된다. 어찌 보면 ‘우리 결혼했어요’는 이미 케이블TV에서 방영되고 있던 ‘애완남 키우기 나는 펫’같은 동거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공중파 버전으로 볼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뉘앙스의 차이다. 둘 다 같이 사는 것이지만 동거와 결혼은 그 뉘앙스가 다르다.  “나 결혼했어”하고 말하는 것과 “나 요즘 동거해”하고 말하는 것에는 차이가 있다.

‘우리 결혼했어요’는 동거 프로그램이 갖는 어두운 면들을 ‘결혼’이라는 용어로 포장함으로써 양지로 끄집어낸 혐의가 짙다. 여기에 일반인들이 갖는 남녀관계의 환타지를 결혼에 대한 환타지와 묶음으로써 자칫 자극적으로 흐를 수 있는 방향을 로맨틱 모드로 바꾸어주었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은 한 편의 로맨틱 코미디를 보는 것과 그다지 다르지 않은데, 바로 이 부분이 스타들의 리얼리티쇼와 맞닥뜨리는 부분에서 폭발력을 갖게 되는 이유다. 하지만 동거생활을 결혼생활로 포장하면서 발생하는 결혼의 개념에 대한 혼란은 여전히 문제로 남는다. 이것이 그 열렬한 환타지에 대한 희구에 푹 빠져 시간가는 줄 모르고 보면서도 한편으로 남는 우려의 실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