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
'미래의 선택', 사랑마저 사치가 된 청춘들에게 고함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3. 10. 24. 08:48
가 청춘들에게 던지는 작지 않은 질문 현재의 미래(윤은혜)가 이길 것인가 아니면 미래에서 온 미래(최명길)가 이길 것인가. 이라는 로맨틱 코미디를 보는 관점은 사뭇 새롭다. 기존 로맨틱 코미디들이 주로 주인공이 누구와 결혼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는 대신, 이 드라마는 그것이 그녀의 주체적인 선택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운명적으로 결정된 대로 이뤄진 것인지를 관전 포인트로 다룬다. 그래서 이라는 제목은 이중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즉 현재의 주인공인 미래(윤은혜)가 능동적으로 선택하는 삶을 살아갈 것인가의 의미와 말 그대로 ‘미래의 선택’ 즉 이미 결정된 운명에 수긍하며 살아갈 것인가의 의미를 담고 있다. 전자가 자기 삶을 개척해나가는 능동적인 입장을 말해준다면 후자는 운명론적이고 수동적인 입장을 말해..
-
'최고다 이순신', 왜 이상한 엄마들밖에 없을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3. 7. 2. 08:10
, 짜증나는 엄마들 공감가지 않는 이유 은 할 이야기가 이상하고 짜증나는 엄마들밖에 없나. ‘출생의 비밀’ 코드가 전면에 깔린 이 드라마는 이순신(아이유)을 길러준 엄마인 김정애(고두심)와 그녀를 낳은 엄마 송미령(이미숙) 사이의 갈등으로 이야기를 점화시켰다. 두 엄마가 한 자식을 두고 벌이는 갈등은 저 솔로몬의 선택에도 나올 정도로 고전적인 모티브를 가진 이야기다. 아이를 나눠가지라는 솔로몬의 판결에 아이를 살리려고 포기하는 친모의 이야기. 드라마는 길러준 엄마보다 더 비정한 낳은 엄마의 이야기로 변주된다. 자식이 상처받을 것을 걱정해 이순신을 친모인 송미령에게 보내는 김정애가 진정한 모성임을 이 드라마는 보여준다. 그런데 이 드라마가 보여주는 긍정적인 엄마의 상은 딱 거기까지다. 하긴 김정애라는 엄마..
-
'내 딸 서영이', 어쩌다 박정아는 잊혀진 존재 됐나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3. 1. 21. 08:27
, 최윤영과 박정아 주조연이 바뀌었나 에서 새롭게 주목받는 인물은 단연 호정(최윤영)이다. 상우(박해진)가 본래 진지하게 사귀었던 인물이 호정이 아니라 미경(박정아)이었던 사실을 생각해보면 이 갑작스런 변화는 당혹스러울 정도다. 한 회 분의 방송분량으로만 비교해 봐도 호정과 미경이란 캐릭터는 이제 주조연이 바뀌어버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우와 사귀던 시절만 해도 미경의 분량이 거의 대부분이었고, 호정은 그저 한 때 스쳐 지나는 한 조연에 불과했었지만, 지금은 미경의 존재감을 거의 지워버릴 만큼 그 방송분량이 많아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사랑과 결혼이라는 것이 언제든 바뀔 수 있지만, 드라마에서는 그래도 개연성이라는 것을 따라야 하는 게 사실이다. 상우와 미경은 서로 사랑했던 사이였고, 그들..
-
'더 로맨틱', '짝'보다 기대되는 이유옛글들/명랑TV 2012. 2. 10. 10:54
'짝'과는 다른 '더 로맨틱'의 매력 '짝'은 교양다큐의 포장을 하면서 기존 '짝짓기 프로그램'과 차별점을 만들었다. 리얼리티 프로그램처럼 깊숙이 일반인들의 심리 변화를 파고드는 지점은 좀 더 강하고 리얼한 스토리를 가능하게 했다. 출연자들의 스펙, 외모, 성격 등이 매회 대중들의 화제가 되는 것은 이 프로그램이 '결혼'이라는 현실적인 지점을 세워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 현실적인 지점은 애정촌의 행동강령 첫 구절에 들어있다. '애정촌의 존재목적은 결혼을 하고 싶은 짝을 찾는 데에 있다'. 실제로 이 '결혼'이라는 현실은 '짝'이 화제가 되는데 가장 큰 요소로 작용했다. 대부분 겉으로는 드러내지 않던 스펙이나 외모에 대한 경도를 슬쩍 드러냈을 때, 마치 우리들 속에 있는 치부를 본 듯한 '불편함'은 생겨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