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덕여왕
-
'선덕여왕', 왜 힘이 빠졌을까, 그 해법은?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09. 9. 29. 09:32
고립무원의 덕만, 새로운 국면 절실하다 진정한 여성 리더십을 보여주는 여성사극으로서, 매번 흥미진진한 미션들이 펼쳐지는 미션사극으로서, 또 무수한 매력적인 인물들이 등장하는 캐릭터 사극으로서 '선덕여왕'에게 50% 시청률은 무난할 듯 보였다. 하지만 어느 순간 그 속도가 정체되는 것처럼 보이더니 지금은 40%대 이하에서 멈춰서 있는 상황이다. 드라마는 어딘지 초기보다 힘이 현저히 빠진 모습. 도대체 무엇이 기세등등 달려 나가던 '선덕여왕'의 힘을 뺀 것일까. 제일 먼저 지적될 것은 초반부 덕만(이요원)을 중심으로 흘러가던 극이 현재 비담(김남길)과 춘추(유승호)의 등장, 유신(엄태웅)의 풍월주 등극 등의 에피소드 속에서 조금씩 흐트러지고 있다는 점이다. 초기 이 사극에는 수많은 매력적인 캐릭터들이 등장했..
-
'선덕여왕'의 출생의 비밀은 왜 식상하지 않을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09. 9. 23. 07:25
'선덕여왕'이 보여주는 사극의 가능성 '선덕여왕'이 만일 현대극이었다면 어땠을까. 사극이라는 껍질을 벗겨내면 '선덕여왕'에서 우리는 익숙한 코드들을 발견하게 된다. 그 첫 번째는 '출생의 비밀'이다. 이 드라마업계에서는 이미 안정적인 성공 코드로 취급되는 '출생의 비밀'은 이 사극의 전반부를 거의 차지하고 있다. 살기 위해 중국으로 도피했던 덕만(이요원)의 귀환은 그 신호탄이었다. 그녀는 먼저 언니인 천명(박예진)을 우연히 만나고, 또 친부모인 마야부인(윤유선)과 진평왕(조민기)을 차례차례 만난다. 게다가 그녀는 중국에서 그녀를 키워주었던 소화(서영희)를 또 한 명의 부모로 두고 있기 때문에, 소화의 등장과 덕만과의 재회는 또 하나의 '출생의 비밀' 코드를 만들어낸다. 그런데 이 사극이 가진 '출생의 비..
-
'선덕여왕' 빼곤 볼게 없다, 어쩌다가?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09. 9. 18. 09:54
장르의 경쟁적인 소비가 낳은 트렌디한 스토리의 문제 지금 드라마들은 장르가 가진 트렌디한 틀 속에서 허우적대고 있다. 스포츠 에이전시의 세계를 들고 온 스포츠 드라마, '드림'은 이종격투기라는 새로운 소재를 다루고 있지만 스토리는 스포츠 드라마가 갖는 전형적인 틀 속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중심에서 벗어난 남자들의 성공을 향한 질주, 권력을 쥔 자와의 대결구도 그리고 적절한 멜로구도가 반복된다. 새롭게 시작한 '공주가 돌아왔다'는 줌마렐라를 내세운 전형적인 트렌디 멜로드라마다. 발레라는 소재를 집어넣었지만, 드라마의 핵심 스토리는 이 트렌디 멜로를 벗어나지 못한다. 물론 '선덕여왕'이라는 발군의 사극과 경쟁하고 있지만, 5%에도 미치지 못하는 '드림'이나 6% 정도의 시청률에 머물러 있는 '공주가 돌..
-
드라마 세상... 아버지의 실종, 어쩌다가?옛글들/네모난 세상 2009. 9. 1. 02:50
병풍이거나, 민폐거나 어쩌다 아버지들은? 드라마 세상이 바로 현실은 아니다. 하지만 적어도 현실을 어느 정도는 반영한다. 언제부턴가 드라마 속에 아버지들이 사라지기 시작한 것은 현실에서 자꾸만 좁아져가는 아버지라는 위상을 가늠하게 한다. 아버지는 집 담보까지 집어넣었지만 결국 망한 회사 앞에서 망연자실해 하고, 그 회사를 버리고 야반도주해버린 사장 앞에서 쓰러져버린다(SBS '천만번 사랑해). 이혼하고 다른 남자에게 간 어머니를, 수선집을 하는 아버지는 "자기가 해줄 수 있는 일이 없어서" 보냈다며 그래도 여전히 생각이 난다고 쓸쓸하게 말한다(SBS '스타일'). 이것은 전통적으로 남성 시청자들의 몫이었던 사극에서도 마찬가지다. '선덕여왕'에서 덕만(이요원)과 천명(박예진)의 아버지인 진평왕(조민기)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