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
-
메르스 사태와 소통, 그리고 백종원옛글들/명랑TV 2015. 6. 12. 09:10
백종원도 하는 일을 왜 정부는 못하나 때로는 각각 떨어진 사안들이 하나의 문화적 결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요즘 들어 연일 인터넷 실시간 검색어에 계속 회자되는 두 단어가 있다. 하나는 백종원, 다른 하나는 메르스다. 이 둘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을까 싶지만 그 사이에 ‘소통’이라는 단어 하나를 집어넣으면 그 연결고리를 쉬 알아차릴 수 있다. 메르스 사태는 갈수록 바이러스의 문제가 아니라 소통의 문제라는 게 드러나고 있다. 초동대처가 좀 더 빨랐다면, 또 감염 병원에 대한 정보가 빨리 공개됐더라면 지금처럼 문제가 확산되지는 않았을 거라는 점이다. 사극 에서 세종 이도(한석규)의 한글 유포를 막으려는 이유로 정기준(윤제문)은 미개한 백성들에게 한글은 혼동을 주는 무기가 될 수 있다는 논리를 든다. ..
-
괜찮쥬? 방송천재, 백선생의 대중요리법옛글들/명랑TV 2015. 6. 4. 09:11
의 고급진 방송 레시피 1997년 1인 토크쇼들이 우후죽순 쏟아져 나오던 그 시기에 에서는 ‘참참참’이란 코너로 토크와 요리를 접목한 독특한 콘셉트를 선보였다. 하지만 이 맛좋은 야참을 만들며 이야기를 나누는 ‘참참참’에서 요리는 하나의 양념일 뿐이었다. 그보다 중요한 건 게스트. 그래서 방송이 끝나고 나면 어떤 요리를 만들었는가보다 그 요리를 누가 만들었느냐가 더 주목되었다. 하지만 그로부터 20여 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새로운 요리와 토크가 어우러진 스튜디오 프로그램에 푹 빠져있다. JTBC 나 tvN , 같은 이른바 쿡방 프로그램들이 그것이다. 이들 프로그램들은 그러나 게스트보다는 그 날의 요리에 대한 집중이 두드러진다. 프로그램이 끝나고 나면 게스트의 이야기만큼 요리 이야기가 쏟아져 나온다. 모두..
-
‘헬스보이’만 화제 되는 '개콘'은 지금 위기다옛글들/명랑TV 2015. 3. 31. 09:04
다이어트는 이벤트일 뿐, 특유의 웃음 찾아야 한때 KBS 의 코너들은 방영된 다음날이면 어김없이 대중들의 화제에 올랐다. 일요일밤의 개그 코너에 대한 이야기로 월요일 무거운 출근길이 조금은 가벼워질 수도 있었다. 가 때론 날리던 현실에 대한 풍자 섞인 한 방은 서민들의 답답한 속을 풀어주었다. 이 프로그램이 단순히 콩트 코미디가 아니라 대중들과 함께 나누는 소통의 장처럼 여겨졌던 건 그래서다. 하지만 이런 얘기는 어느 순간 옛말이 되어버렸다. 코너들은 현실 풍자를 잃어버렸고 흔하디흔한 남녀 간의 심리나 연애담을 소재로 끌어들였고 유치한 유행어들을 반복하는 매너리즘을 보였다. 빼놓을 수 없는 건 외모 개그가 너무 많아졌다는 것이다. 시청자들과의 소통을 이루려는 노력보다는 표피적인 웃음에 머물고 있는 인상을..
-
'아빠를 부탁해', 우리가 몰랐던 이경규의 쓸쓸한 민낯옛글들/명랑TV 2015. 3. 23. 09:27
의 관찰카메라 특별하게 다가오는 까닭 호통치고 면박주고 때론 낄낄 대던 이경규의 모습은 어디로 갔을까. SBS 의 이경규는 우리가 방송으로만 대했던 모습과는 사뭇 달랐다. 검사와 시술을 받기 위해 병실에서 초조해하는 이경규는 그 나이의 보통 아빠들과 다를 바 없는 중년의 모습 그대로였다. 그것은 낯설기도 했지만 또한 쓸쓸한 공감대가 느껴지는 모습이기도 했다. 우리가 그동안 몰랐던 이경규의 민낯이다. 의 시선이 남다를 수 있는 건 그것이 딸의 관점 나아가 일반 대중들의 관점으로 거기 등장하는 아빠들을 바라보고 있기 때문이다. 딸 예림이가 보게 된 병상에 누운 아빠 이경규의 모습은 저 스튜디오에서 좌중을 쥐락펴락하는 아빠의 모습과는 다를 수밖에 없다. 털털하기 그지없는 예림이가 하릴없는 농담을 괜스레 건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