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아름다운 쯔위, 더러운 정치, 부끄러운 어른들옛글들/명랑TV 2016. 1. 20. 09:02
쯔위 사태가 드러낸 잔인한 어른들의 세상 “쯔위는 정말 아름답고, 정치는 너무 무섭다.” 중국의 어느 네티즌이 올렸다는 쯔위에 대한 동정적인 이 한 줄의 글은 이번 사태를 가장 적확하게 표현하고 있다. MBC 의 사전 인터넷 방송에 출연한 쯔위에게 제작진은 대만 국기를 들렸다. 낯선 이국에서 그것도 낯선 방송에서 제작진이 준 소품에 무슨 의미가 있을까. 의미가 있다 해도 이제 갓 열여섯 살 소녀에게는 버릴 수도 거절할 수도 없는 일이었을 게다. 그래서 우리 국기와 대만 국기를 같이 들었다. 소녀가 국기를 통해 보여주려는 건 ‘대만 독립’의 의미가 아니라 국가를 뛰어넘는 화합의 의미였다. 하지만 대만에서 태어나 중국에서 활동하며 연예인들의 갖가지 정치적 이슈들을 건드리는 걸로 유명한 황안은 여기에 기막힌 ..
-
표창원, 이철희, 대중들이 방송보다 정치를 원하는 까닭옛글들/명랑TV 2016. 1. 9. 12:33
표창원과 이철희, 방송도 정치도 진심이었기에 이철희 소장이 JTBC 에서 하차했다. 이미 어느 정도는 알려진 내용이었다. 올해 4월에 치러질 총선 때문이다. 은 이 부분을 에둘러 암시적으로 표현했다. 동시에 하차하는 이철희 소장과 이준석에게 김구라는 “두 분 같은 경우는 여기저기서 많이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고 했다. 하차는 그 자체로 이철희 소장이 어떤 식으로든 본격적으로 총선에 뛰어들 거라는 걸 말해준다. 흥미로운 건 이철희 소장의 하차에 대한 대중들의 반응이다. 아쉬움과 기대감이 교차하고 있다. 아쉬움은 그간 특유의 논리적인 분석과 따뜻한 진심으로 의 중심을 잘 잡아왔던 그의 하차에 대한 것이다. 정치, 시사를 소재로 다룬 이 제대로 설 수 있었던 건 방송적으로만 보면 이철희 소장과 강용석 변호사 ..
-
'장영실', 그는 왜 조선을 떠나야 한다 했을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1. 5. 09:14
에서 떠오르는 헬조선과 탈조선 “장영실은 별에 미친 조선의 노비 놈이다.” 장영실(송일국)은 하늘에 가득한 별들을 바라보며 그렇게 소리친다. 그 자조 섞인 목소리에는 절망감이 가득하다. 조선에서 별을 본다는 것. 아니 조선에서 노비로 태어나 별을 본다는 것은 참으로 허망한 일이다. 그의 사촌인 양반 장희제(이지훈)는 일찍이 이 현실을 장영실에게 뼛속까지 느끼게 해준 바 있다. “노비는 아무 것도 몰라야 한다. 시키는 것만 하면 되는 것이야.” 그것이 ‘별에 미친 조선의 노비 놈’의 운명이다. 하늘에는 귀천이 없다. 별에도 귀천이 있을 리 없다. 그리고 그 움직임은 그저 자연의 법칙일 뿐 그 어떤 의미가 담겨 있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그 별을 바라보는 이들은 거기에 의미를 부여한다. 때론 그 의미는 과학..
-
'육룡이 나르샤'는 왜 끊임없이 질문을 던질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5. 12. 16. 14:38
'육룡'의 질문, 백성이냐 가족이냐 백성인가 아니면 가족인가. SBS 가 이성계(천호진)의 위화도 회군을 통해 던진 질문이다. 회군을 결정하자 최영(전국환) 장군은 이성계의 식솔들을 인질로 잡고 만일 군사를 이끌고 도성으로 들어올 시 만월대 위에 그들의 목을 내걸 것이라고 위협한다. 5만의 군사들을 구하자니 가족의 생명이 위태롭고, 그렇다고 가족을 구하자니 5만의 군사들이 눈에 밟힌다. 이성계의 선택은 결국 군사들, 아니 영문도 모르고 죽을 전쟁에 차출된 백성들이었다. 백성이냐 가족이냐는 질문은 고스란히 지금 현재로 되돌려진다. 국정을 좌지우지하는 정치인들은 과연 국민들을 위한 선택을 하고 있을까 아니면 자신들의 가족적인 당파와 세력을 위한 선택만을 하고 있을까. 물론 정당정치가 그러한 당의 방향성을 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