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자
-
'하이킥', 캐릭터들이 말하는 현실은?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1. 10. 20. 14:54
지붕 뚫던 '하이킥', 바닥 뚫은 이유 먼저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이라는 이 시트콤의 화자가 이적이라는 점을 생각해보자. 그는 대장항문과 의사로 줄곧 항문만 바라보면서 살아온 인물. 이 설정은 이 시트콤의 냉소적이고 풍자적인 시각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때론 더럽고 때론 힘겨운 현실을 마치 항문을 들여다보듯 보고 있다는 얘기다. 얼마나 기가 막힌 시점인가! 아마도 작가는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이 현실을 바라보는 것이 항문을 바라보듯 지독한 구석이 있다고 여기는 것 같다. 극 초반에 주목된 두 캐릭터, 백진희와 안내상은 이 현실을 잘 말해주는 캐릭터다. 대학을 나와도 취직이 되지 않는 청년백수에, 등록금 때문에 진 빚에 허덕이며 고시원을 전전하는 백진희는 이 시대 암울한 청춘의 자화상이다. 그녀의 악..
-
현실이 답답해요? '개콘' 보면 돼요옛글들/명랑TV 2011. 10. 7. 09:45
'개콘', 깊어진 공감, 신랄해진 풍자 "이렇게 후보가 돼서 당선되는 것도 어렵지 않아요. 그냥 선거 유세 때 평소에 잘 안 가던 시장을 돌아다니면서 할머니들과 악수만 해주면 되고요. 평소 먹지 않았던 국밥을 한 번에 먹으면 되요. 선거 유세 때 공약도 어렵지 않아요. 공약을 얘기할 때는 그 지역에 다리를 놔준다던가, 지하철역을 개통해준다던가, 아 현실이 너무 어렵다고요? 괜찮아요. 말로만 하면 되요. 이래도 당선이 될까 걱정이라면 상대방 진영의 약점만 잡으면 되는데 과연 아내의 이름으로 땅은 투기하지 않았는지 세금은 잘 내고 있는지 이것만 알아내세요. 아 그래도 끝까지 없다면 사돈에 팔촌까지 뒤지세요. 무조건 하나는 걸리게 돼있어요. 이렇게 여러분들 이 약점을 개처럼 물고 늘어진다면 국회의원이 될 수가..
-
'하이킥3', 왜 모자이크만 보고 풍자는 안볼까옛글들/명랑TV 2011. 9. 30. 11:20
'하이킥3', 모자이크에 가려진 절묘한 풍자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이하 하이킥3)'은 왜 굳이 노출 장면에 모자이크를 썼을까. 이런 식의 질문에는 함정이 있다. 질문 자체가 결국 모자이크와 노출에만 집중시키기 때문이다. 모자이크든 노출이든 둘 다 자극적이긴 마찬가지다. 즉 백진희의 치마를 걷어 올리고 드러난 팬티를 끄집어내려 엉덩이를 보여주는 노출 자체도 자극적이지만(물론 이 장면은 실제가 아니라 레깅스를 입고 찍은 장면이다), 그것을 모자이크 처리한 점은 더 자극적이기 때문이다. 모자이크는 상상력을 촉발시킨다. 하지만 노출과 모자이크만 자꾸 떼어내 벌어지는 논란은 어쩌면 방송된 장면 그 자체보다 더 자극적일 수 있다. 전체적인 맥락을 가리고 국소적인 부분에만 집중시키기 때문이다. 왜 청년백수 백..
-
'방자전', 무엇이 그토록 음란한가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0. 6. 5. 06:33
'방자전', 김대우식 유쾌하고 음란한 도발 '방자전'의 상상력은 음란하다. 아니 어쩌면 이건 전작 '음란서생'에서 이미 싹을 보였던 김대우 감독의 상상력인지도 모른다. '춘향전'을 뒤집는 이 이야기에서 춘향이는 더 이상 정절을 지킨 열녀가 아니고, 이몽룡은 사랑의 맹세를 지킨 의리의 사나이가 아니다. 변학도는 탐관오리의 표상이 아닌 다만 성적 취향이 변태적인 인물일 뿐이며, 물론 방자도 그저 몽룡과 춘향이 사이에서 메신저 역할을 하던 그 방자가 아니다. 성욕이나 성공 같은 욕망에 솔직하고 그것을 서로 이해할 정도로 쿨한 그들은 더 이상 조선시대의 인물들이 아니다. 그들은 오히려 현대인에 더 가깝다. 우리가 '방자전'의 등장인물들의 대사 하나하나에 민감하게 웃음을 터뜨리게 되는 건, 그 때문이다. 이 사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