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부터 <꽃할배>, <삼시세끼>까지, 이서진의 매력

 

이서진씨가 완전히 물이 올랐어요.” <삼시세끼>의 승승장구에 대해 나영석 PD는 이렇게 한 마디를 툭 던졌다. 신기한 일이지만 이서진이라는 인물은 나영석 PD만 만나면 반짝반짝 빛난다. 최근 그가 출연했던 드라마 <참 좋은 시절>은 최근 <삼시세끼>로 인해 재조명되는 느낌이다. 이 드라마에 출연했던 이서진을 중심으로 함께 삼시세끼를 해먹는 옥택연과의 조합이 만들어졌고 윤여정, 최화정, 김광규, 김지호가 연달아 출연했다.

 

'삼시세끼(사진출처:tvN)'

참 좋은손님들은 이 MSG 없는 예능 프로그램에 괜찮은 양념 역할을 했다. 그런데 그들이 그런 양념으로서 기여하게 된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면 거기 이서진이라는 손맛이 있었다는 점이다. 열심히 하려는 택연에게 노예근성운운하는 말로 캐릭터를 부여한 것도 이서진이고, 김광규가 왔을 때 수수밭만 베라고 그를 자꾸 부추긴 것도 바로 이서진이며, 김지호에게 뱃속에 거지 앉았냐고 투덜대며 텃밭 브레이커의 탄생을 알린 것도 이서진이었다류승수는 이서진에게 속아 아궁이 일꾼이 되었다. 이서진은 하다못해 염소 잭슨과의 러브라인(?)까지 만들어졌다. 이 정도면 나영석 PD 말대로 물이 오른 것(?)이 분명하다.

 

이서진의 가능성을 처음 나영석 PD가 발견한 건 <12> 때다. <12>에서 이서진은 미대 형이라는 캐릭터로 불렸다. 전혀 웃길 것 같지 않은 진지함을 보이는 인물이지만 엉뚱한 면으로 웃음을 주었다. 이 때부터 투덜대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는데 그러면서도 특유의 선한 이미지가 보는 이들의 마음을 훈훈하게 만들기도 했다.

 

<꽃보다 할배>에서 이서진은 조커 역할을 했다. 어르신들에게 대놓고 이래라 저래라 할 수 없는 상황을 나영석 PD는 이서진을 중간에 놓음으로써 해결했다. 이서진을 끊임없이 힘겹게 만들고 또 깐족대는 것으로 나영석 PD는 이 어르신들의 여행에 톡톡 튀는 재미를 만들어냈다. 이서진의 매력은 투덜대면서도 할 건 다 하는(심지어 아주 잘 하는) 모습에서 나온다. 어르신들을 위해 동분서주하면서 나영석 PD에게는 으르렁대는 모습에서 이서진의 양면적 매력이 탄생했다.

 

<삼시세끼>는 악덕 마름 같은 나영석 PD와 투덜대는 노예 같은 이서진 캐릭터의 조합이 흥미진진한 재미를 만들어낸다. 고기 한 점에 수수 빚을 받는 마름 나영석 PD, 빚이 불어남에도 불구하고 찾아오는 손님들 때문에 점점 고기를 찾게 되는 이서진이 곤란해지는 그 상황을 한껏 즐기는 모습이다.

 

즉 이서진이라는 대체 불가의 매력이 탄생하게 된 것은 다름 아닌 그 악역을 자처한 나영석 PD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것은 마치 주인공을 부각시키는 악역처럼 보인다. 물론 그 악역에게서 실제 악의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은 중요하다. 나영석 PD는 악당이라기보다는 악동 같은 면모를 보여준다.

 

그저 순응하기보다는 투덜대는 캐릭터가 훨씬 재미있고, 그러면서도 결국은 시키는 일을 하는 캐릭터는 더더욱 재미있다. 그리고 그를 그렇게 점점 노예처럼 길들여가는(?) 악동 캐릭터는 마치 시청자들의 욕구를 반영하듯 은근한 쾌감까지 선사한다. 하지만 이들의 전체 그림이 주는 느낌은 살풍경한 것이 아니라 참 좋은훈훈함이다. 이렇게 좋은 캐릭터들이니 승승장구하지 않을 까닭이 없다. 이서진이 나영석 PD만 만나면 반짝반짝 빛나는 이유다.

 

<삼시세끼>가 묻는다, 행복이란 무엇인가

 

사실 이런 걸로 예능이 될지 누가 알았을까. 고추 장아찌를 담근다며 항아리를 사다가 고추를 넣고 간장 양념을 끓여 넣는다. 장아찌가 잘 되게 하기 위해 눌러 놓을 돌을 구하러 간 이서진은 소식이 없다. 알고 보니 뭐든 과한이서진이 짱돌 하나를 구하려고 별 고심을 다하고 있다. 그래서 어찌어찌해 고추 장아찌를 담아낸다는 이야기다.

 

'삼시세끼(사진출처:tvN)'

이 아무 것도 아닌 짧은 에피소드는 그러나 <삼시세끼>라는 예능 신세계에서는 충분한 예능 소재가 된다. 가져온 짱돌이 항아리 구멍에 맞지 않아 투덜대는 이서진과 다 채워넣고 고추에 미리 냈어야할 구멍을 안내 다시 꺼내 고추 자르게 만드는 옥빙구 택연이 있으니 금상첨화다. 어떻게 이런 소소함이 예능이 될까.

 

그것은 메인으로 내세울만한 극적 내러티브가 없는 <삼시세끼>라는 신세계 덕분이다. 도시와 유리된 이 곳에서는 뭐든 하나하나가 작은 모험(?)처럼 다가온다. 사실 곰탕 한 그릇 먹는 것이 뭐 그리 대단할까. 도시에서라면 유명한 곰탕집을 찾아가면 그만이다. 하지만 <삼시세끼>에서는 다르다. 가마솥에 밤새 우려낸 국물에 기름을 덜어내고 직접 담근 깍두기와 텃밭에서 갓 뽑은 파를 썰어 가마솥 밥과 함께 내놓는 곰탕. 하나하나 손길이 닿은 그 일련의 과정들은 곰탕 한 그릇의 맛은 물론이고 그 훈훈함까지 더해준다.

 

없다는 것은 <삼시세끼>에서는 이 새로운 공간에서의 설렘과 모험의 시작이다. TV가 없어 할 게 서로 떠드는 일이고, 보일러가 따로 없어 군불을 때며, 커피 메이커가 없어 맷돌로 갈아 커피를 한약 내듯 뽑아낸다. 물론 해야 될 일들이 많아 바로 눈앞에 펼쳐진 구름 낀 옥순봉조차 눈에 들어오지 않지만 그렇게 옥순봉 풍경 한 번 쳐다보고 지나갈 도시인들이 느낄 수 없는 시골 체험의 묘미가 거기에는 있다. 하다못해 이 곳에서는 강아지 밍키의 성장 하나도 볼거리다.

 

갓 딴 텃밭 채소를 숭덩숭덩 썰어 넣고 솥뚜껑에 기름 뿌려 만든 달걀프라이를 솥밥에 얹어 참기름, , 고추장을 넣고 썩썩 비벼먹는 맛은 그래서 그대로 도시인들에게는 로망이 될 수밖에 없다. 생김에 숟가락으로 기름을 살살 칠하고 소금을 뿌려 숯불에 직접 구워낸 김은 또 어떤가. 비록 손은 많이 가지만 그렇게 한 장 한 장 구워내 한 통 가득 담긴 김이 주는 느낌은 말 그대로 뿌듯하다. 석쇠에 구운 고등어 한 점이 주는 훈훈함. <삼시세끼>는 멀리서 바라보면 아무 일도 벌어지지 않는 곳처럼 보이지만 이처럼 매번 새로운 사건(?)들이 벌어진다.

 

여기에 수수밭 베기같은 노예 놀이는 마치 <12>의 복불복처럼 자칫 가라앉을 수 있는 분위기에 팽팽함을 만들어낸다. 노동이 만들어내는 땀의 힘은 <삼시세끼>에서도 여지없이 효력을 발휘한다. 그저 삼시세끼 챙겨먹는 시골 생활의 소소함을 클로즈업하고 거기에 강도 높은 노동을 얹으니 나영석 PD만의 균형 잡힌 예능 신세계가 탄생한다. 마치 소꿉장난하는 듯한 설렘은 이 세계가 건네는 꿀잼의 덤이다.

 

여기에 이서진처럼 전혀 과하지 않은 나영석 PD만의 스타일로 재미에 의미가 덧붙여진다. 물 한 잔을 얻어 마시러 군청에 들어간 택연을 차에서 서진이 기다릴 때 마치 맞춘 것처럼 흘러나오는 라디오의 내레이션. “행복이란 무엇일까. 아리스토텔레스. 행복은 삶의 의미이며 목적이고 인간 존재의 궁극적 목표이며 지향점이다.” 힘든 하루의 노동에서 잠시 허리를 펴고 거실에서 뒹굴대는 이서진과 택연의 모습이 그 내레이션 위에 겹쳐진다.

 

조지 오웰. 인생의 목적이 행복이라고 단정 짓지 말아야 행복할 수 있다.” 서진이 수수를 베는 모습이 이어지고, “빅토르 위고. 인생에 있어서 최고의 행복은 우리가 사랑받고 있다는 확신이다.”라는 멘트에 백일섭이 이서진에게 무언가를 먹여주는 장면이 보여진다. 그리고 자막. ‘아아 나는 정말 노예인가 아닌가 과연 행복은 무엇인가...’ 아마도 이 자막의 목소리는 도시에 사는 대부분의 시청자들이 스스로에게 던지는 질문이 되지 않았을까.

 

마침 군청에서 물 한 잔 얻어 마시고 돌아온 택연이 패트병에 담아온 물을 서진에게 건네자 그가 물을 마시는 장면에 이런 자막이 붙는다. ‘아 역시 난 행복해..’ 이것은 나영석 PD<삼시세끼>가 왜 아무 일도 벌어지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보는 이들을 훈훈하고 흐뭇하게 만드는가를 잘 보여주는 편집 영상들이다. 이제 나영석 PD는 시골의 짱돌 하나로도 예능을 만들어내는 놀라움을 보여주고 있다.

 

<개콘>, 노예, 거지 캐릭터 전성시대 왜?

 

“지가 마님 옷을 떨어뜨렸슈.” “우리 목도 떨어지겄구만.” “옷이 찢어졌슈.” “내 사지도 찢어지겄어.” <개그콘서트(이하 개콘)>의 새 코너 ‘노애’는 드라마 <추노>의 상황을 패러디한다. ‘분수도 모르고 종놈들끼리 눈 맞으면’ 개죽음을 당하는 그 상황에 송영길과 허안나는 격렬한 사랑의 감정을 액션(?)으로 표현한다.

 

'개그콘서트'(사진출처:KBS)

빨려던 마님의 옷을 떨어뜨린 별 것도 아닌 일에 자신들의 목도 떨어질 거라고 말하는 송영길의 모습은 그 과장된 처절함 때문에 웃음을 준다. 하지만 고작 웃전의 옷 하나 때문에 사지가 찢어질 것을 걱정하는 이 노비들의 죄를 들은 마님의 반응은 이들의 상황을 더 처참하게 만든다. “나 이 옷 안 그래도 질려서 버리려던 참인데. 이거 개집에나 깔아줘라.”

 

누군가에게는 목숨이 왔다 갔다 하는 물건이지만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그저 개집에 버리는 그런 물건. 하지만 그렇게 버리려는 물건을 허안나는 굳이 자신이 챙겨 입겠다고 한다. 그러자 송영길은 만류하며 이렇게 말한다. “글쎄 입지 말라면 입지 말란 말여. 그거 입으면 하늘나라로 올라가 버릴 거잖여. 너는 선녀니께.”

 

분노의 빗자루질로 사랑을 표현하는 송영길과 먹다 버린 고기를 챙겨먹으려는 허안나의 처절과 분노가 과장되게 뒤섞인 이 개그는 그러나 어느 한 사극 속의 한 대목을 패러디하는 것에 머물지 않는다. 그 웃음 속에는 양극화로 시름하는 현실의 처절함이 공감대로 깔려 있다. 우리는 이 웃전들의 옷 한 벌에 또 고기 한 점에 온 몸을 떠는 노비들의 삶에 빵 터지지만, 그 뒤에 남겨진 씁쓸함을 공감하게 된다.

 

“궁금해요? 궁금하면 오백원.” 이 대사 하나로 대중들의 뇌리에 확실히 각인된 ‘거지의 품격’이 거지가 되어버린(어쩌면 과거에는 어떤 품격을 갖추었던 평범한 사람이었을) 삶을 유쾌하게 뒤집어 웃음을 주었다면, ‘노애’는 그 노예가 되어버린 처절하며 분노에 찬 삶을 과장되게 드러냄으로써 웃음을 준다. 그래도 ‘거지의 품격’이 낭만적인 구석이 있었다면 ‘노애’는 그런 여유가 보이지 않는 절절한 사랑을 바탕에 깔고 있다.

 

이제 첫 코너로 등장한 ‘노애’가 주목받는 것은 그 캐릭터가 공감가기 때문이다. 웃전이 씹다 질겨서 뱉어버린 고기를 서로 먹으려 아옹대는 모습에서는 날선 풍자가 느껴진다. 한 편에서는 ‘정여사’ 같은 이들이 질려서 버리며 흥청망청 살아가고, 말도 안 되는 이유로 “바꿔줘”를 연발하는 천민자본주의가 횡행하고 있지만, 한편으로 또 다른 누군가는 돈 한 푼이 없어 굶어 죽어가는 현실이 아닌가.

 

“아들 아들 아빠 회사에서 잘렸어. 너도 곧 유치원에서 잘릴 거야.” “저는 아들 갈비도 못 사주는 쓰레기니까요.” ‘갑을컴퍼니’의 홍대리(홍인규)가 웃으면서 아무렇지도 않은 얼굴로 던지는 이 말은 그래서 그 공감 때문에 웃음이 터지지만 한참을 곱씹어보면 마음 한 구석이 짠해진다. 도대체 그 누가 이런 말도 안 되는 극과 극의 삶을 만들어냈단 말인가. 이건 해도 너-무한 삶이다. 그러니 ‘정여사’의 말을 빌어 한 마디 던져볼밖에. “바꿔줘.”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