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프리미엄은 옛말, 새로움에 시청자는 끌린다

 

18.8%(닐슨 코리아). 요즘 지상파에서도 이런 시청률은 드물다. tvN <응답하라1988>이 낸 성적표는 이 드라마가 거의 신드롬에 가까웠다는 걸 말해준다. 엔딩에 대한 논란이 불거져 나왔지만 그렇다고 이 드라마가 해놓은 공적까지 지워질 수는 없는 일이다. 이 드라마의 신드롬이 지상파 드라마들에 시사 하는 바는 분명하기 때문이다.

 


'응답하라1988(사진출처:tvN)'

지상파 월화드라마의 성적을 보자. 웰메이드 사극 SBS <육룡이 나르샤>15.8% 시청률에 머물고 있고, MBC <화려한 유혹>12.7%의 시청률이다. KBS <무림학교>는 처참하다. 겨우 4%에 머무는 이 드라마는 앞으로도 더 떨어질 수 있다는 불길한 예측이 나온다. 수목도 사정이 다르지 않다. SBS <리멤버-아들의 전쟁>16.4%로 시청률 1위를 달리고 있지만 대작이라고 할 수 있는 KBS <장사의 신-객주>11.4%에 머물고 있고 MBC <달콤살벌 패밀리>4%라는 창피한 성적을 남기고 종영했다.

 

지상파 드라마 시청률이 빠지는 건 시청자들의 시청 패턴 변화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일처럼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지상파도 아닌 케이블에서 18.8%의 시청률을 낸다는 건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이런 전반적인 시청률 하락이 단지 시청 패턴의 변화로 인해 받아들여야만 하는 숙명일 뿐일까. 지상파 드라마가 갖고 있는 내부적인 요인 또한 분명하다는 것을 인정해야 하는 게 아닐까.

 

그렇다고 <응답하라1988>이 대단히 새로운 소재나 내용을 다룬 것도 아니다. 복고 콘셉트에 80년대를 소재로 한 가족드라마가 이 드라마의 정체다. 하지만 <응답하라1988>이 그리고 있는 가족드라마는 지상파의 그것과는 사뭇 다르다. 일단 길이가 그렇다. 지상파의 가족드라마는 기본이 50부작이 되기 일쑤다. 그러니 매 회의 드라마 밀도가 높을 리가 없다. 그저 비슷비슷한 캐릭터들이 나와 갈등을 겪고 그것이 풀어지는 과정을 지겹도록 반복하는 게 지상파 가족드라마다.

 

이런 지상파 가족드라마에 정환(류준열)이나 택이(박보검), 덕선(혜리), 선우(고경표) 같은 반짝반짝 빛나는 캐릭터가 존재할 리가 만무다. 물론 성동일이나 이일화, 라미란이나 김성균, 최무성이나 김선영 같은 중년 캐릭터도 마찬가지다. 어째서 이런 차이가 나는 걸까. 그것은 <응답하라1988>이 갖고 있는 캐릭터의 디테일과 참신함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예능판에서 일해왔던 제작진들은 인물 하나하나의 매력을 먼저 탄탄하게 세워놓는다. 그렇게 되면 이야기가 조금 약하다고 해도 그 느낌은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

 

20부작이 짧은 건 아니지만 지상파 가족드라마들과 비교해보면 그 압축도가 압도적이었던 건 분명하다. 게다가 이 20부작은 한 회씩 따로 떼어서 봐도 무방할 정도로 각 회가 저마다의 주제로 완결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20개의 단편 드라마를 보는 것 같은 느낌이다. 이것은 지상파 드라마들이 연속극형태로 시청률을 견인하던 것과는 사뭇 다른 구성 방식이다. 물론 <응답하라1988>도 이어지는 이야기가 존재한다. 하지만 그걸 잘 모르더라도 한 편을 그냥 보는 게 그리 힘들지 않은 드라마다.

 

이 부분은 중요하다. 보다가 중간에 몇 회를 빼먹은 시청자들도 이어서 볼 수 있고, 아예 한 번도 보지 않았지만 워낙 화제가 되다 보니 한번쯤 볼까 생각하는 시청자들에게도 유입장벽을 낮춰준다. <응답하라1988>의 시청률이 갈수록 쌓이게 된 건 이런 구성 방식이 힘을 발휘했기 때문이다. 물론 다음 회에 대한 궁금증 역시 그 구성 안에 자연스럽게 녹여냈지만.

 

이제 지상파는 인정해야 할 것 같다. 더 이상 지상파 프리미엄은 옛말이 되고 있다는 걸. <응답하라1988>은 마치 그걸 상징이라도 하듯 신드롬을 낸 드라마가 되었다. 이 신드롬이 말해주는 건 극명하다. 지상파 드라마에 비해 훨씬 참신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참신함은 틀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제작방식과 드라마의 형식 등에서 나온 것이다. 지상파 드라마들이 배워야할 부분이다



tvN 대표상품 <응팔><삼시세끼> 그 연전연승의 비결

 

올해의 마지막을 <응답하라1988><삼시세끼>가 잘 마무리해주었으면 합니다.” <응답하라1988>이 시작되기 전 tvN 이명한 본부장은 그 전망을 묻는 필자에게 그렇게 말한 바 있다. 결과론이지만 말 그대로 올해의 마지막을 <응답하라1988><삼시세끼>가 제대로 마무리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고 시청률 13%(닐슨 코리아). 이 두 프로그램이 거둔 성적이다. 케이블 채널에서 이렇게 나란히 두 프로그램이 이런 성적을 낸 건 그 유례가 없다.

 


'응답하라1988(사진출처:tvN)'

단지 성적만이 아니다. 올해 대중문화 콘텐츠에서 대표적인 것들을 꼽으라고 한다면 단연 <삼시세끼><응답하라1988>이 빠질 수 없을 것이다. <삼시세끼>는 예능이 어디까지 갈 수 있는가를 보여줌으로써 그 잠재력을 한없이 확장시켰고, <응답하라1988>은 이제는 신원호표라고 해도 좋을 법한 새로운 드라마 시리즈의 틀을 확고히 구축했다. 이 두 콘텐츠는 다름 아닌 tvN을 대표하는 상품이 되었고 그 방송국 브랜드를 만드는데도 지대한 위치를 차지했다.

 

궁금한 건 어떻게 이처럼 이 두 프로그램이 연전연승을 할 수 있었을까 하는 점이다. 대부분 본편이 성공하면 속편은 망하는 게 통상적이다. 본편의 기대감을 속편이 채워주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삼시세끼><응답하라1988>은 시즌을 거듭할수록 시청률이 점점 올라간다. 반응도 점점 뜨거워진다. <삼시세끼>가 이제 어촌편 마지막을 찍었다는 이야기에 벌써부터 시청자들은 마지막이란 말은 하지 말아 달라고 토로한다.

 

이것이 가능한 건 새로움과 익숙함을 제대로 묶어내는 나영석 PD와 신원호 PD의 탁월한 균형감각 덕분이다. 신원호 PD는 과거 필자와의 인터뷰에서 속편이 왜 망하는가에 대한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대부분 본편이 성공하면 속편에는 무언가 새로운 걸 보여주려 한다. 만일 감독이 바뀌게 되면 이런 새로움에 대한 욕망은 더욱 커진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대중들이 원하는 건 본편의 성공에 들어있는 익숙한 요소들이다. 물론 속편만이 갖고 있는 새로운 이야기는 있어야 하지만 본편의 매력적인 요소들을 무시해선 안 된다고 신원호 PD는 말한 바 있다.

 

나영석 PD의 연전연승의 힘은 항상 대중들의 눈높이에서 생각한다는 것에 있다. 대중들이 원하는 것, 또 생각하는 것들을 본인도 똑같이 공유하고 있어야 저들만의 이야기가 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삼시세끼>가 정선을 여러 번 찾아가고 또 만재도를 찾아가서도 변함없는 건 이 대중들이 원하는 편안하고 아날로그적인 정서다. 물론 매번 새로운 인물들이 찾아오고 거기서 새로운 이야기가 펼쳐지지만 궁극적으로 그 바탕의 이야기는 이서진과 옥택연, 차승원과 유해진의 익숙한 이야기를 벗어나지 않는다.

 

<응답하라1988><응답하라1994><응답하라1997>보다 더 좋은 성적을 거두며 승승장구하고 있다는 건 그래서 놀랍긴 하지만 신원호 PD의 생각을 떠올려보면 전혀 예측불허의 일도 아니었다는 걸 알게 된다. 이건 <삼시세끼><꽃보다> 시리즈를 변주하며 연전연승을 기록하고 있는 나영석 PD에게도 똑같이 해당되는 이야기다. 그것은 모두 대중들에게 맞춰진 이들의 일관된 시선에서 가능해진 일들이다.

 

어쨌든 이들이 이처럼 대중의 눈높이를 유지해준 결과 올해도 우리는 즐거움과 감동을 이들의 콘텐츠를 통해 얻을 수 있었다. 마치 우리의 마음을 대변하듯 <삼시세끼>는 피곤한 일상에 청량제가 되어주었고, <응답하라1988>은 각박한 현실에 따뜻한 손난로가 되어주었다. 내년에도 이들의 연전연승을 볼 수 있기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