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극장가 대목? 아 옛날이여!

 

보통 설이면 극장가는 대목이다. 그래서 이 대목에 맞춰진 영화들도 속속 개봉했었고 극장가는 연회 매진을 기록하며 발 디딜 틈 없는 인파가 몰리곤 했다. 하지만 이런 풍경은 이제 옛말이 되어버렸다. 코로나19의 여파로 작년 한 해 내내 극장가가 한산했고 명절이라고 해서 달라지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코로나19가 불러온 새로운 풍경은 명절에 넷플릭스 영화 <승리호>에 대한 이야기가 더 많이 회자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사실 <승리호>는 딱 봐도 여름 블록버스터 시장에 어울리는 영화다. 실제로 작년 여름을 겨냥해 만들어진 작품이었지만 코로나19로 인해 추석 개봉으로 미뤄졌고 이마저 어려워지면서 결국 넷플릭스행을 결정했다.

 

넷플릭스에서 방영되고 있는 <승리호>에 대한 반응은 그래서 호불호가 갈린다. 애초 영화관 영화로서 기획되고 만들어진 작품인지라, 블록버스터 특유의 비주얼적 완성도는 높지만, 상대적으로 스토리는 단순하기 때문이다. 넷플릭스를 통한 안방극장 시청은 아무래도 이러한 비주얼적인 자극보다는 스토리에 더 집중하기 마련이다.

 

'신파'적 요소에 대한 아쉬움이 나오지만, 사실 우리네 여름이나 명절 블록버스터 시장에서 이른바 '되는 작품'은 신파 같은 다소 쉬운 가족용 스토리에 깊게 생각하지 않아도 될법한 확실한 볼거리나 웃음, 액션 같은 요소들이 들어간 작품들인 게 사실이다. 그러니 <승리호>에 대한 호불호는 물론 작품에 대한 관객들의 눈높이가 높아진 데도 원인이 있지만, 플랫폼이 바뀐 영향도 적지 않다 여겨진다.

 

어쨌든 올해 설 명절 영화로 떠오르는 건 극장가에 세워진 작품이 아니라 넷플릭스에서 방영되고 있는 <승리호>라는 건 분명한 사실이다. 코로나19가 야기한 설 명절 영화의 색다른 풍경이 아닐 수 없다.

 

그나마 극장가에서 선전하고 있는 건 디즈니 픽사의 애니메이션 <소울>이다. 설 명절에 아이와 함께 부모가 보는 애니메이션 영화들은 늘 선전할 수밖에 없는 장르였지만, <소울>은 특히 어른들도 감동받을 만큼 깊이 있는 내용을 애니메이션으로 잘 표현하고 있어 코로나 시국에도 관객을 끌어 모으고 있다. 20일 개봉 이후 누적 관객이 120만 명을 넘어섰다.

 

설 명절에 맞춰 개봉한 우리네 작품으로는 옴니버스 로맨틱 코미디 <새해전야>가 그나마 선전하고 있는데, 누적 관객 수 7만 명대(12일 기준)를 기록하고 있다. <소울>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예매율을 기록하고 있지만 이렇게 현저히 적은 관객 수는 코로나가 바꾼 극장가의 상황을 실감하게 해준다.

 

지금은 코로나 때문에 극장가 대목을 겨냥한 작품 자체가 세워지지 않는 형국이다. 언제가 될지 알 수 없지만 코로나가 어느 정도 지나가고 나면 극장가 풍경은 달라질 것이고 또 극장에 어울리는 블록버스터 영화들은 다시 기지개를 켤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래도 이 '경험의 관성'은 향후에도 분명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승리호>를 통해 느낄 수 있듯이 넷플릭스 같은 OTT를 통한 영화 관람이 그리 낯선 풍경으로 여겨지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사진:넷플릭스)

'소울', 우리의 삶은 추락인가 비행인가

 

(본문 중 영화 내용의 누설이 있습니다. 영화를 관람하실 분들은 참고 바랍니다.) 디즈니 픽사는 어떻게 삶과 죽음 같은 철학적인 주제마저 이토록 경쾌하고 명징한 상상으로 그려내는 걸까. <소울>은 한 마디로 인생 전체를 다시금 돌아보게 만들 정도로 깊은 통찰력을 갖고 있지만, 그걸 표현해내는데 있어서는 아이들도 즐길 만큼 쉽게 담아낸 놀라운 작품이다. 그건 마치 구상에서 점점 깊어져 선의 단순한 연결로 오히려 실체에 접근한 피카소의 추상을 보는 듯하다. 스토리도 그렇지만, 그림이나 연출에서조차도 우리네 삶이 가진 오르막과 내리막 그리고 추락과 비행의 아름다운 이중주가 묻어나는 작품이라니.

 

뉴욕에서 음악선생님으로 일하지만 평생의 목표가 재즈클럽에서 최고의 밴드와 함께 연주하는 것인 조. 드디어 그 기회를 갖게 된 조는 그러나 맨홀에 빠지는 불의의 사고로 영혼이 되어 저 세상으로 가는 길 위에 서게 된다. 거대한 빛을 향해 저절로 움직이는 계단 위에 서게 된 조는 그러나 그 목표가 눈앞에 있던 순간 이렇게 끝나게 된 걸 용납할 수가 없고, 결국 그 곳을 벗어나 '태어나기 전 세상'으로 떨어진다. 그 곳은 탄생 전 영혼들이 자신의 관심사로 인해 켜지는 마지막 불꽃을 찾아 지구로 돌아가는 곳. 하지만 조는 그곳에서 지구로 가는 걸 원치 않는 영혼 22를 만나게 된다.

 

그래서 결국 조는 다시 살아나 그토록 원하던 재즈클럽에서의 연주를 할 수 있게 되었을까. <소울>의 스토리는 그 '목표'를 향해 달려가지만, 그보다 중요한 건 그 과정에서 조가 얻게 되는 깨달음이다. 영혼 22 대신 지구로 가는 통행증을 갖게 되어 다시 살아난 조는 자신이 삶의 목표로 생각했던 재즈클럽에서 연주를 하게 되지만, 그걸 마치고 나서 묘한 감정에 사로잡힌다. 목표를 달성하긴 했지만 그것이 삶의 진정한 행복은 아니었다는 것을 알게 된 것.

 

그는 어느 날 은행나무에서 비행하며 떨어지는 씨앗을 보며 깨닫는다. 삶의 행복은 그런 거창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었던 게 아니고, 매일 먹던 음식, 아이들에게 음악을 가르치며 느꼈던 희열의 순간, 처음 재즈를 접했을 때의 그 기분 같은 일상의 순간순간에 깃들어 있던 행복감에서 찾아진다는 것이 그것이다.

 

<소울>은 이러한 삶과 죽음을 넘나드는 조와 22의 모험을 통해서 우리네 삶이 추락하고 있는 것인가 아니면 비행하고 있는 것인가를 묻는다. 드디어 평생을 원하던 목표를 눈앞에 둔 순간 맨홀로 '추락'하는 비운을 겪는 조의 상황은 우리네 삶에 대한 비관적 시각을 담아낸다. 삶이란 그렇게 어떤 최고의 순간에 다다르기 직전 추락하기도 하는 비극일 수 있다는 것. 추락하는 삶은 그래서 무겁디 무거운 존재의 무게를 드러낸다.

 

하지만 영혼이 된 조는 거대한 빛을 향해 저절로 올라가는 계단 위에서 깃털처럼 가벼워진다. 삶의 무게는 죽음 후의 가벼워진 영혼과 대비된다. 그래서 추락하는 삶은 죽음 이후의 비상하는 영혼으로 그려진다. 하지만 조는 그렇게 저 위로 가벼워진 채 비상하는 영혼을 받아들이지 못한다. 그래서 다시 뛰어내리고 그 무게 그대로 '태어나기 전 세상'으로 떨어진다.

 

<소울>이 깊은 감동을 주는 건 그것이 단지 삶과 죽음이라는 추상적이고 철학적이기까지 한 이야기를 애니메이션의 섬세한 표현들을 통해 형상화하고 있다는 사실 때문이다. 영혼의 세계가 마치 피카소의 그림에서 튀어나온 듯한 2차원적 형상으로 제리, 테리는 물론이고 영혼들의 가벼움을 표현해냈다면, 삶의 세계는 이와는 상반되는 중력과 무게감이 느껴지는 캐릭터들을 담아낸 점이 그렇다. 이런 가벼움과 무거움, 경쾌함과 장중함은 조가 그토록 하고 싶어 했던 재즈의 연주 속에도 그대로 묻어난다.

 

그 누가 추락하길 원할까. <소울>은 조가 그랬듯이 어떤 목표를 세워두고 그 곳을 향해 오르는 이들의 마음속에 어른거리는 추락에 대한 회피를 포착해낸다. 하지만 삶은 어쩌면 태어나면서부터 추락의 과정 그 연속인지도 모른다. 다만 그걸 마주하고 인정하고 싶어 하지 않을 뿐. 그렇지만 조는 떨어지는 은행 씨앗을 보며 그것이 추락이 아닌 비행이라는 걸 알게 되고, 더 이상 추락하지 않고 저 높은 곳으로 오르는 영혼의 세계보다 그 비행이 더 아름답다는 걸 깨닫게 된다.

 

그래서 <소울>이 전하는 '일상'의 소중함과 그 가치는 지금 같은 일상이 회복되지 못하고 있는 코로나 시국에 더욱 절실하게 느껴지는 면이 있다. 코로나 이전에는 몰랐던 길거리를 마스크 없이 활보하고, 마음껏 숨을 쉬며 누군가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던 그 일상의 소중함들. 그것이 진짜 삶의 행복이었다는 걸 우리는 깨닫고 있지 않은가. <소울>이 말하고 있듯이.(사진:영화'소울')

<슈스케>의 부활, 관건은 역시 출연자

 

아마도 잠시 채널을 돌리다 어 슈퍼스타K?” 했던 분들이 많았을 게다. 그만큼 이번 <슈퍼스타K 2016>은 과거에 비해 그다지 대대적인 홍보를 하지 않았다. 언제 시작하는지도 모를 정도로 슬그머니 시작하게 된 건 지금의 <슈퍼스타K>가 처한 상황을 잘 말해준다. 확실히 오랜 시즌을 거듭한 것도 있지만 이제는 오디션 트렌드가 한 물 지나간 요즘, <슈퍼스타K>는 이제 뜨거운 아이템은 아니다.

 

'슈퍼스타K2016(사진출처:Mnet)'

그런데 그렇게 우연히 채널을 돌리다 걸린 <슈퍼스타K 2016>에서 지리산에서 왔어요라며 자신을 소개한 한 소년이 시선을 잡아끈다. 시즌3 때부터 출전했지만 2차 예선에서 떨어졌다는 김영근이라는 소년. 영 노래 잘 할 것 같지 않은 모습인데다 시골스러움이 묻어나는 어눌함이 오히려 시선을 끄는 건 오디션이 반복되면서 이른바 오디션 준비생들이 그토록 많아졌기 때문일 게다.

 

그런데 이 소년 준비한 곡이 예사롭지 않다. 샘 스미스의 ‘Lay me down’. 무반주로 웅얼대는 듯한 시작 부분은 역시 어울리지 않는다는 느낌이었지만 고음으로 치고 올라가는 부분에서 알 수 없는 소름이 돋는다. 분명 소울이 가득한 목소리의 울림이지만 그 소울은 길이 말한 것처럼 듣도 보도 못한영근이만의 것이다. 그러고 보니 지리산 소년이라는 자막이 그 목소리와 너무나 딱 어울린다. 아직 다듬어지진 않았지만 그래서 더 매력적으로 느껴지는 그의 목소리.

 

그러려니 했던 심사위원들의 눈이 번쩍 떠진 건 당연한 일이다. 그래서 샘 스미스의 팝송이 주는 어떤 느낌 때문이 아닐까 의심스런 심사위원은 우리 노래를 한 곡 더 청해 듣기로 한다. 시청자가 원하는 바다. 그런데 웬 걸? 영근이가 부르는 윤종신의 탈진은 그 소울에 가사가 주는 맥락까지 얹어져 더 마음을 쥐고 흔든다. 잠깐 채널을 돌리다 만나게 된 <슈퍼스타K 2016>. 채널을 돌리지 못하게 된 건 영근이 같은 출연자 덕분이다.

 

<슈퍼스타K 2016>은 심사위원도 방식도 많이 바꾸었다. 가장 눈에 띄는 건 출연자가 노래할 때 오른쪽 하단에 시한폭탄이 돌아가듯 시간이 뚝뚝 떨어진다는 점이다. 노래를 들으며 심사위원이 버튼을 누를 때마다 시간이 더해져 노래를 더 들을 수 있다. 하지만 아무도 버튼을 누르지 못하면 반주가 끊기고 자동 탈락된다. 아마도 훨씬 더 긴장감을 조성하기 위해 만든 시스템일 게다.

 

심사위원들도 인원이나 구성이 바뀌었다. 용감한 형제는 예전 <위대한 탄생>에서 했던 심사에 있어서도 어떤 긴장감을 이끌어내는 심사위원으로 이번에 역시 새로 참여한 FNC 엔터테인먼트 한성호 대표와 때때로 각을 세운다. “똘끼가 장난이 아니다”, “미쳤다같은 거침없는 발언으로 <슈퍼스타K><쇼미더머니>처럼 만드는 인물이다.

 

마치 보스처럼 앉아 참가자들을 동생 대하듯 얘기하는 길은, 리액션에 있어서 거침없고 솔직한 에일리와 마치 삼촌-조카 같은 분위기를 만들어내고 김범수나 김연우는 보컬에 집중한다. 거미는 노래와 노래 부르는 사람의 소울에 깊게 빠져드는 모습을 보여준다. 영근이가 노래할 때 그녀는 그 친구에게 노래가 어떤 위안을 줬을 지까지를 미루어 짐작한다. 울컥해지는 건 그래서다.

 

하지만 이런 심사위원 구성과 오디션 방식의 변화들이 제아무리 달라졌다고 해도 역시 <슈퍼스타K>를 주목시키는 건 출연자다. 지리산 소울을 단박에 보여준 영근이나, 4차원의 가벼움을 보여주다가 갑자기 노래를 할 때는 놀라운 연주 실력과 그루브를 보여준 18세 소년 김예성, 버클리 음대 출신으로 시원시원한 가창력으로 귀와 눈을 번쩍 열리게 만든 이지은 같은 보물들이 <슈퍼스타K 2016>을 새삼 기대하게 만들었다. 역시 <슈퍼스타K>의 부활의 관건은 보물 같은 출연자들에 달렸다는 걸 여실히 보여준 무대였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