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으로 가는 <객주>, 도 넘은 아이에 대한 집착

 

왜 이토록 아이에 대한 쟁탈전을 반복하는 것일까. KBS <장사의 신 객주(이하 객주)>의 아이 쟁탈전에 대한 집착이 도를 넘었다. 마치 이 사극 속의 육의전 대행수 신석주(이덕화)가 아이에 대해 집착하는 모습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는 것처럼, ‘장사의 신이라고 떡 하니 문패를 박아놓은 드라마가 장사는 안하고 아이를 두고 벌이는 쟁탈전이 상식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장사의 신 객주(사진출처:KBS)'

덕분에 이야기는 산으로 가고 있고, 괜찮았던 캐릭터들은 점점 매력을 잃어가고 있다. 국사당 마마로서 전체 장사판을 혀 하나로 좌지우지 하던 매월(김민정)은 천봉삼(장혁)이 조소사(한채아)와 혼인을 맺은 일 때문에 질투에 눈이 멀어버렸다. 한 때는 마음 속 연인인 천봉삼을 음으로 도왔던 매력적인 인물이지만 이제는 그의 아이를 훔쳐 길소개(유오성)가 신석주를 망신 주는 술수를 쓰는 인물로 전락했다.

 

천봉삼과 팽팽한 대결구도를 이루던 신석주도 마찬가지다. 육의전 대행수로서 적수지만 그래도 대인으로서의 풍모를 보이던 그는 천봉삼과 조소사 사이에 태어난 아이에 집착하기 시작하면서 추락하기 시작했다. 결국 매월이 훔쳐 온 아이를 길소개가 그에게 넘겨주고, 김보현(김규철), 민겸호(임호)와 객주들이 다 모인 자리에서 아이의 친부는 사실 천봉삼이라는 것이 폭로됨으로서 대행수로서의 위신은 바닥에 떨어지고 만다. “내 아들이야 육의전을 이어받을 내 아들이야!”라고 소리치며 악쓰는 신석주에게서 한 때 천봉삼의 호적수였던 모습은 사라진 지 오래다.

 

원산객주와 길소개의 모략으로 천가객주의 말뚝이(황태)라고 속여 못 먹을 말뚝이를 섞어 팔던 전주객주를 찾아간 천봉삼은 결국 모든 문제들을 풀어나갈 실마리를 잡지만, 마침 온 원산객주가 신석주와 자신의 아이의 일을 얘기하자 모든 걸 집어치고 천가객주로 달려간다. 그나마 장사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던 참에 이야기는 다시 아이 쟁탈전 문제로 돌아가 버린다.

 

물론 아이 쟁탈전 문제가 <객주>에서 전혀 의미가 없는 건 아니다. 어찌 보면 신석주의 유일한 약점이 거기에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어찌 보면 무모해 보이는 아이 쟁탈전이 감행되고, 그 하나의 약점이 만천하에 드러남으로써 신석주가 육의전 대행수로부터 불신임을 얻게 됐다는 것. 따라서 이 아이 쟁탈전으로 신석주는 뒤로 물러나고 대신 길소개가 전면에 나서게 되는 이야기가 이어지게 된다.

 

그렇다면 이제 신석주가 물러난 마당에 아이 쟁탈전은 더 이상 이어지지 않게 되지 않을까. 이제 본연의 장사 이야기로 흘러가지 않을까. 하지만 길소개라는 인물이 전면으로 나서는 만큼 그것이 온전히 장사에 대한 이야기가 될 지는 의문이다. 길소개는 자신의 이득을 위해서라면 온갖 술수를 다 동원하는 인물이다. 신석주보다 더 하면 더했지 덜 하지 않은 캐릭터라는 것이다. 결국 온전한 장사의 대결을 보기보다는 그의 술수와 맞서는 천봉삼의 이야기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객주>에 대한 시청자들의 볼 멘 소리는 장사에 집중된 성공과 실패의 이야기가 아니라 그 이면에 벌어지는 온갖 술수들이 너무 과도하게 등장함으로써 이야기의 본말이 흔들리고 있는 것 때문에 생겨난 일이다. 물론 이런 술수와의 대결이 <객주>가 그리려는 진정한 상인의 길을 말하는 것일 테지만 그것이 너무 과도한 것이 문제다. 과도한 설정의 반복은 자칫 캐릭터의 매력까지 앗아갈 수 있다. 산으로 가고 있는 <객주>. 빨리 제 갈 길을 찾아야 시청자들을 되돌릴 수 있지 않을까.



상도가 땅에 떨어진 현실, <객주>의 시사점

 

장사에도 상도가 있다. 그것을 지키는 것이 장사꾼의 첫 번째 도리다.’ KBS 드라마 <객주>의 천봉삼(장혁)이 말하는 장사다. 하지만 이런 얘기를 건네는 천봉삼에게 길소개(유오성)는 장사에 상도가 어디 있냐고 말한다. 그는 장사는 그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돈을 버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 두 관점의 부딪침. 이것은 아마도 <객주>가 현재에 전하려는 메시지의 대부분일 것이다.

 


'장사의 신 객주(사진출처:KBS)'

상도를 지키려는 천봉삼의 길은 험난하다. 그는 화적들에 의해 막혀있던 북관대로를 뚫고 그 길을 막아놓은 것이 육의전 대행수인 신석주(이덕화)라는 사실에 분노한다. 수로를 이용한 유통망을 독점하고 있는 신석주가 육로를 일부러 막아 엄청난 이문을 남기고 있었던 것. 하지만 한달음에 찾아와 상도를 얘기하는 천봉삼에게 신선주는 오히려 달콤한 제안을 한다. 북관대로를 놔두면 자신이 육의전 어물전을 내주겠다는 것. 하지만 천봉삼은 이를 거부하고 전국의 보부상들에게 이제 북관대로가 열렸다는 사발통문을 돌린다.

 

그렇다면 상도는커녕 돈을 벌기 위해서라면 가까운 이들조차 죽음으로 몰아넣는 길소개나 신석주의 길은 어떨까. 거대한 자본을 이용해 매점매석하는 것이 이들이 돈을 쉽게 버는 방식이다. 북관대로가 열려 보부상들에 의해 장삿길이 열리자 이들은 대신 물화를 꽉 움켜쥐고 내놓지 않음으로써 보부상들의 뒤통수를 친다.

 

육의전과 보부상. 육의전을 표상하는 인물이 신석주와 길소개라면 보부상을 대표하는 인물은 천봉삼이다. <객주>는 결국 천봉삼이라는 주인공을 통해 국가에 의해 독점적인 권리가 부여된 육의전의 폐해를 알리고 대신 보부상들이 열어갔던 그 험난해도 가치 있는 장삿길의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육의전은 거대한 자본을 이용해 장삿길을 막음으로써 매점매석으로 폭리를 취하고, 보부상은 그렇게 막혀있는 장삿길을 맨몸으로 뚫고 나간다.

 

<객주>가 지금의 시청자들에게도 어떤 통쾌함을 주고 있는 지점은 바로 여기에 있다. 세상이 달라졌고 시대도 많이 흘렀으며 먹고 사는 문제도 조선시대에 비해서는 훨씬 나아진 현재이지만 그럼에도 달라지지 않은 것이 있고 어떤 면에서도 더 나빠진 것도 있다. 그것은 지금도 여전한 정경유착의 육의전들이 대자본을 이용해 폭리를 취하고 있는 현실이다. 그 과정에서 작은 장삿길들이 막혀 고사하는 것에 대한 최소한의 상도 따위는 없어진 지 오래다.

 

그러니 <객주>의 천봉삼 같은 인물이 육의전 대행수와 맞서 막혀있던 북관대로를 뚫고 달콤한 유혹을 거부한 채 전국의 보부상들이 살아갈 길을 열어주는 대목이 우리에게 특별하게 다가올 수밖에 없다. <객주>가 다루는 길은 그래서 여러 가지 의미들을 내포한다. 그것은 장사꾼들에게는 자신은 물론이고 식구들의 목숨이 달려있는 목숨길이다. 하지만 그것은 장사꾼들만이 살기 위한 길은 아니다. 그 삶과 죽음의 문제는 그들만이 아니라 이 나라 백성 모두에게 해당되는 일이기도 하다.

 

<객주>의 천봉삼이 육의전의 독점적 상권과 맞서 자유로운 상업의 길을 주창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그것이 신자유주의적인 자유방임을 얘기하는 건 아니다. 그가 말하고 있는 상도는 그 안에서도 지켜져야 할 것들이 있다는 걸 말해준다. 그 상도가 지켜져야 모두가 함께 잘 살 수 있는 길이 열린다고 천봉삼은 말한다. 장삿길은 그래서 마치 우리네 몸에 돌고 있는 혈관처럼 비유된다. 그 길이 막히면 누구 하나만 죽는 것이 아니라 몸 전체가 쓰러질 수밖에 없다.

 

<객주>는 그래서 단순히 천봉삼이라는 민초들이 그들끼리 잘 먹고 잘 살았다는 식의 영웅담이 아니라 함께 사는 길의 모색이다. 원작자인 김주영 작가는 <객주>라는 작품에 대해 환난상구십시일반의 정신을 얘기한 적이 있다. 환난상구란 곤란에 빠진 사람을 그냥 지나치지 않는 정신이고 십시일반은 완전히 망한 동료에게 한 푼씩 모아 최소한의 밑천을 만들어주던 정신이다. 지금 우리네 경제에는 환난상구십시일반의 정신이 남아있는가. 오히려 저 누군가 막아놓고 독점적 이득을 취하는 북관대로와 작은 장삿길들을 막아버리는 자본만 남은 것은 아닌가. 함께 사는 길을 모색하지 않으면 공멸한다는 것을 <객주>의 그 장삿길이 보여주고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