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짠내투어’, 김생민 만큼 돋보이는 박명수

tvN <짠내투어>는 여러모로 최근 ‘짠내’의 아이콘으로 불리는 김생민을 중심으로 내세운 예능 프로그램이다. 여행을 소재로 한 예능 프로그램들은 넘쳐나고, 그 많은 프로그램들이 이른바 ‘욜로’를 주창하며 어떤 여행의 판타지를 건드렸다면, <짠내투어>는 보다 현실적인 여행이 주는 공감대를 추구한다. 

3박4일의 여정동안 김생민, 박나래, 정준영이 각각 하루씩 일정을 스스로 짜서 여행을 하고 이를 평가해 최고 점수를 받은 이가 마지막 날 ‘스몰 럭셔리’를 경험할 수 있는 시간을 혜택으로 제공하는 방식. ‘짠내’를 아예 내놓고 하는 여행이지만 이들의 여행은 저마다 달랐다. 

아끼고 아끼는 걸 여행에서도 당연하게 지켜가는 김생민의 첫 날이 곤궁해도 오히려 체험 하나하나의 가치를 더 느끼게 해주는 여행이었다면, 박나래의 둘째 날은 저렴한 비용에도 가성비 높은 여행을 즐길 수 있다는 걸 보여줬고, 정준영의 마지막 날은 마음먹기에 따라서 적은 비용으로도 여유 있는 여행을 할 수 있다는 걸 보여줬다. 

<짠내투어>는 그 제목에서 묻어나듯 김생민이라는 캐릭터가 절대적일 수밖에 없다. 다른 이도 아닌 김생민이 출연하는 <짠내투어>이기 때문에 시청자들은 관심을 가진다. 실제로 박나래가 데려간 선술집에서 얼마나 먹었는지 계산을 잘 못하는 박나래와 달리 김생민은 척척 먹은 걸 계산해내는 모습으로 다른 출연자들을 놀라게 만들었다. 게다가 ‘아껴야 한다’는 사실을 아예 생활의 금과옥조로 생각하는 그의 말 한 마디 한 마디가 “해도 너무 한다”는 식의 웃음으로 돌아오기도 했다. 

하지만 <짠내투어>에서 김생민만큼 중요하게 보이는 인물은 박명수와 박나래다. 김생민이 프로그램의 진정성을 담당하고 있다면 박명수와 박나래는 상황을 웃게 만드는 양념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박명수는 예능 9단으로서의 밀고 당기는 방식으로 이 ‘짠내’나는 여행에 감칠맛을 만들어낸다. 

이를 테면 이런 야외 예능 자체가 낯선 김생민에게는 그 특유의 캐릭터에 대해 황당한 표정을 지으며 아껴도 너무 아끼는 그를 핀잔주다가도, 때론 합리적인 선택이라며 칭찬을 해주기도 한다. 한 끼라도 제대로 먹어야 한다는 신조를 가진 박나래가 미슐랭 별을 받은 집을 찾아가기 위해 2시간이나 열차를 갈아타는 와중에 박명수는 끝없이 투덜댐으로써 그 생고생을 웃음으로 바꿔놓는다. 그러다가도 막상 그 음식점에서 맛을 보고는 2시간을 찾아올 만하다고 솔직한 찬사를 보낸다. 

박명수는 김생민에게는 핀잔과 칭찬을 반복해 이 프로그램에 적응하게 해주고, 개그계 후배인 박나래에게는 계속 구박을 주면서 코미디적인 합으로 웃음을 만들어낸다. 그리고 정준영에게는 뭘 해도 잘 한다고 칭찬을 해주는 모습으로 박나래와 비교시키며 웃음을 준다. 이런 밀당은 많은 경험에서 우러나는 것이 아닐 수 없다. 

물론 이건 김생민, 박나래, 정준영이 투어를 짜는 역할이고, 박명수는 그걸 평가하는 입장이기 때문에 생겨나는 현상일 수 있다. 결국 박명수가 어떤 반응을 보이느냐에 따라 그 여행의 평가가 다르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중심축에서 박명수가 다른 출연자들을 놓고 밀고 당기는 모습을 보면 실로 자유자재라는 느낌을 준다. 

<무한도전>에서 박명수는 늘 2인자를 자처했다. 한 번은 1인자 역할을 부여받은 적이 있지만 잘 적응해내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고, 결국 유재석을 앞세운 2인자 역할이 자기 자리라는 걸 확인시켜주곤 했다. 하지만 적어도 <짠내투어>를 보면 박명수가 유재석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그 위치나 프로그램에 따라 자기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를 정확히 알고 그걸 효과적으로 해내는 모습. 김생민식의 여행을 담는 <짠내투어>지만 박명수의 진가가 드러나는 대목이 아닐 수 없다.(사진:tvN)

‘짠내투어’, 어째서 짠내가 욜로보다 재밌을까

김생민과 <짠내투어>의 만남. 이건 기획의 승리다. 욜로가 이른바 하나의 라이프 트렌드로 등장해 ‘단 한 번뿐인 인생’ 여행에서만이라도 누리고 싶은 욕구를 자극했던 게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하지만 갑자기 등장한 김생민이라는 ‘통장요정’은 이런 트렌드 이면에 있는 ‘하고 싶어도 실상은 하기 어려운’ 그 현실 정서를 콕 짚어냈다. 그가 말하는 짠내 나는 일상은 오히려 대중들의 공감을 얻었고, 그것 역시 가치 있는 라이프스타일이라는 걸 확인시켜줬다. 

욜로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게 여행이다. 그래서 예능 프로그램들에서 여행을 소재로 하면 서민들이 할 수 있을까 의구심이 들 정도의 판타지를 주는 경우가 많았다. 단 하루라도 좋으니 저런 곳에서의 하룻밤을 지낼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그 로망을 자극했던 것. 하지만 김생민의 등장은 그런 로망이 있어도 실현할 수 없는 서민들의 ‘그래도 썩 괜찮은’ <짠내투어>를 가능하게 만들었다.

tvN 예능 <짠내투어>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 그래서 ‘가성비’다. 적은 비용으로 나름 누릴 건 다 누릴 수 있는 그런 여행. 김생민이 꾸린 첫 날의 투어는 그래서 짠내 나는 여행의 진수를 보여줬다. 몇 천원을 아끼기 위해 조금 불편한 교통을 이용하고 오사카성 앞에 도착하고서도 미리 사둔 주유패스로 공짜로 이용할 수 있는 배를 타는 걸 선택한다. 

물론 여행이니 모든 게 예상대로 돌아갈 수는 없다. 생각했던 날씨와 달리 비바람이 몰아치자 예상치 못했던 우비를 사야했고 또 걸어서 가도 되는 길에 굳이 교통편을 이용해야 하는 비용이 들었다. 또 비용을 아끼려다 보니 7시간 동안이나 공복으로 오사카를 돌아다녀야 하는 처지이기도 했다.

하지만 이렇게 짠내가 나는 여행이어서 오히려 소중하게 다가오는 것들이 있었다. 오사카성에서 공짜라 탔던 뱃놀이는 비 오는 날씨와 어우러져 의외로 환상적인 느낌을 주었고, 길거리에서 너무 배가 고파 두 개를 사서 다섯 명이 나눠먹었던 빵은 그렇게 적었기 때문에 오히려 더 맛이 있고 소중하게 다가왔다. 

김생민이 찾은 라면집에서도 뜨끈한 국물의 라면이 더 맛있게 다가왔던 것도, 또 마침 그 달의 생일이 있는 사람에게 주는 서비스가 남다른 행운처럼 느껴졌던 것도, 어찌 보면 여유가 없는 여행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흔히들 마음껏 돈을 쓰고 뭐든 배불리 먹을 수 있는 그런 여행에서는 포만감은 있을지언정 그 진정한 맛과 느낌은 상대적으로 덜할 수 있을 테니 말이다. 

김생민이 찾아낸 여행 코스들은 실로 저게 일본이 맞는가 싶을 정도로 놀라운 가성비를 보여줬다. 초밥집이 1인당 1만원을 넘기지 않고, 와규 한 점에 1천원이라는 고깃집은 일본이라고 해도 아끼면서 여행하는 게 불가능하지 않다는 걸 보여줬다. 무엇보다 이 여행이 재밌게 느껴진 건 뭘 하나 해도 남다른 소중함이 느껴진다는 점이다. 고기 한 점, 초밥 한 개가 이토록 행복감을 줄 수 있다니.

<짠내투어>는 그래서 김생민을 만나 욜로를 주창하며 로망을 건드리던 여행들의 뒤통수를 제대로 쳤다. 예능 프로그램으로서 그 아끼자고 별의 별 선택을 다하는 그 모습이 주는 웃음과 짠함, 공감대는 물론이고, 그래서 오히려 발견하게 되는 여행의 진짜 묘미까지 이 프로그램이 보여주고 있어서다. 김생민과 <짠내투어>의 만남. 실로 그 기획만으로도 ‘그뤠잇’이 아닐 수 없다.(사진:tvN)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