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영석 PD 천재설'에 대해 본인은 이렇게 답했다

“능력 있는 친구들을 빨리 알아보고 내 것처럼 빼 쓰는 능력 덕분에 이 자리까지 올 수 있었다.” 지난 23일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주최한 ‘콘텐츠 인사이트’ 세미나에 강연자로 나온 나영석 PD는 이렇게 말했다. 그는 또 지금이 “천재를 요구하지 않는 시대”라고도 했다. 그보다는 “좋은 동료들”을 더 많이 옆에 두는 게 좋다는 것. 

나영석 PD의 이 이야기는 최근 콘텐츠 제작에 있어서 화두가 되고 있는 ‘협업’을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꺼내놓은 것으로 보인다. 그는 이미 KBS 시절부터 협업이 얼마나 콘텐츠 제작에 있어서의 시너지를 올리는가를 경험해왔던 PD다. 혼자서는 힘겨웠던 신출내기 연출자 시절 그에게 손을 내밀어줬던 이명한 PD와 이우정 작가가 있어 그는 비로소 날개를 펼 수 있었다. 

그가 CJ로 이직하게 된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도 이명한 PD와 이우정 작가가 거기 이미 포진해 있었고 그들과 함께 하는 작업에 대한 신뢰가 충분했기 때문이었다. 그는 결국 CJ로 와 tvN 예능의 대기록들을 만들어내기 시작했다. 그 기반이 ‘협업’에 있었기 때문에 그에게는 지난 한 해 동안의 성과가 남다르게 다가올 법 했다. 지난 한 해 그는 내내 후배들과의 협업을 통해 <윤식당>, <강식당>, <알쓸신잡> 같은 빛나는 성과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올해는 어떤 계획을 갖고 있냐는 필자의 질문에 나영석 PD는 “후배들과의 협업을 계속 할 것”이라고 답했다. 사실 나영석 PD가 홀로 자신의 프로그램을 새롭게 런칭하기를 기대했던 필자에게는 다소 실망스런 답변이었지만, 이제 그 의미를 확실히 알 수 있었다. 그건 이제 혼자 작업하는 것보다 함께 작업하는 협업이야말로 그가 가진 가장 큰 자산이었다는 걸 확인할 수 있으니 말이다. 

사실 이런 협업의 중요성은 이미 신원호 PD가 저 <응답하라> 시리즈의 성공을 두고 밝힌 바 있다. 많은 이들이 그의 작품들을 보고 그가 천재가 아니냐고 말하곤 한다. 그토록 많은 취향들을 담아내고, 그 많은 다양한 인간군상들의 이야기들을 꼼꼼히 펼쳐내는 것에 대한 놀라움의 표현들이다. 하지만 신원호 PD는 일찍이 그것이 여럿이 함께 하는 작업이 만들어내는 일종의 ‘착시현상’이라고 밝힌 바 있다. 

예능 방식으로 작가와 PD들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기획부터 캐릭터, 대사까지 하나하나 회의를 통해 만들어나가는 그의 방식은 협업이 어째서 지금의 제작 방식에 중요한 화두가 되는가를 보여준다. 많은 이들의 아이디어와 생각과 취향이 녹아들기 때문에 작품은 훨씬 다채로워질 수밖에 없다. 당연히 폭넓은 시청자들의 공감대를 끌어낼 수 있는 힘이 바로 그 협업에서 나온다. 

<미생>, <시그널>을 연달아 성공시킨 김원석 PD는 지금의 성공하는 작가들의 대부분이 ‘협업’을 얼마나 잘 해나가느냐에 그 성패가 달려있다고 말한 바 있다. 놀랍게도 그 역시 나영석 PD가 얘기한 것처럼, 성공하는 작가들은 대부분 같이 협업하는 작가들의 가능성을 내 것처럼 빼쓰는 능력을 갖춘 이들이라고 했다. 

한때 ‘사단’이라고 하면 그저 관계로 서로 밀어주고 당겨주는 부정적인 의미가 담기기 마련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사단’이라는 말의 뉘앙스가 완전히 달라졌다. 나영석 개인이 아닌 나영석 사단이라고 부르고, 신원호 개인이 아닌 신원호 사단이라고 부르는 데는 그 밑바탕에 그 성취가 혼자 이룬 것이 아닌 여럿이 함께 한 협업을 통한 것이라는 전제가 깔린다. 이제 성공하는 콘텐츠의 기본 조건으로 ‘협업’은 중요한 화두로 자리할 것으로 보인다. 그런 의미에서 다양한 ‘사단의 탄생’은 이제 보다 강력한 콘텐츠를 위한 기본전제가 되어가고 있다.(사진 : 한국콘텐츠진흥원)

<미션 임파서블>, 잘 빠진 액션 그 이상의 정서적 공감

 

역시 톰 아저씨다. 이미 쉰을 넘긴 나이지만 여전히 빛나는 외모에 잘 관리된 몸에서 뿜어져 나오는 폭발적인 액션. 게다가 <미션 임파서블>의 톰 크루즈는 유머감각까지 보유한 매력남이다. 이번 <미션 임파서블>에는 일사라는 의문의 여인 역할을 맡은 레베카 퍼거슨의 매력까지 더해졌다. 적인지 아군인지 알 수 없는 그녀의 미스테리한 매력은 여러 회 반복 제작되면서 어찌 보면 단순해보일 수 있는 액션과 이야기에 새로운 재미를 더해주었다.

 


사진출처 : 영화 '미션 임파서블'

즉 한 마디로 말해 스파이물에 <미션 임파서블> 특유의 역할 액션이 더해진 이번 작품은 오락물로서 충분한 재미를 제공하고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이 영화의 매력은 그것만이 아니다. 그 이외에도 이 작품에는 정서적으로 우리들의 마음을 잡아끄는 요소가 있다. 그것은 저 007 시리즈에서는 발견할 수 없는 <미션 임파서블>만의 고유한 힘인 동료의식에 대한 것이다.

 

이번 <미션 임파서블> 로그네이션편은 예고편에서 살짝 드러난 것처럼 에단 헌트(톰 크루즈)가 정치적인 희생양이 되어 버려지고 심지어 테러의 주범으로 지목되어 쫓기는 입장에 처하게 된다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불가능한 미션들을 수행해온 IMF는 해산되어 CIA에 복속된다. 그런데 에단 헌트와 함께 일을 해왔던 옛 동료들은 CIA에 들어와서도 그를 암암리에 돕는다.

 

목숨을 걸고 일해 왔지만 조직으로부터 버려지고 이제는 제거대상이 되어버린 인물.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를 믿고 도우려는 옛 동료들과의 끈끈한 관계. 이 상황에 대한 이야기들은 액션 저 뒤편으로 물러나 있어 잘 드러나지 않지만 <미션 임파서블>이 갖고 있는 독특한 영화적 재미가 발생하는 지점이다.

 

과거 TV 시리즈로 방영되던 <미션 임파서블>이 국내의 시청자들에게 인기를 끌었던 요인도 바로 이것이었다. 007 시리즈는 거의 제임스 본드라는 1인 스파이 영웅이 모든 문제들을 해결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미션 임파서블>은 물론 에단 헌트라는 인물이 중심에 서긴 하지만, 그와 함께 전략 분석요원 브랜트(제레미 레너), IT 전문요원 벤지(사이먼 페그), 해킹 전문요원 루터(빙 라메스) 같은 인물들이 협업을 한다는 점이다.

 

그래서 제목처럼 혼자라면 도저히 불가능한 미션을 여럿이 함께 하기 때문에 비로소 가능한 미션으로 만드는 것이 이 작품만의 독특한 재미요소가 된다. 이번 작품에서도 에단과 짝패처럼 활동하는 브랜트나 끝없는 웃음을 만들어내는 벤지 그리고 우직한 우정을 보여주는 루터의 역할이 에단만큼 만만찮다. 여기에 이야기의 변수로서 등장하는 일사는 이쪽과 저쪽을 넘나들면서 에단과 미션 그 이상의 썸을 만들어낸다.

 

그런데 이런 조직의 이야기와 그 조직에게 버려지지만 그 안의 동료들이 여전히 연결되어 있는 동료의식에 대한 이야기는 이 스파이 액션 무비를 퇴출된 조직원의 복직을 위한 안간힘처럼 읽혀지게 만든다. 물론 <미션 임파서블>의 핵심은 그 불가능한 미션을 수행하는 액션에 맞춰져 있지만, 우리가 정서적으로 더 이 영화에 공감하는 까닭은 어쩌면 이 퇴출된 조직원의 현실이 남 얘기처럼 들리지 않기 때문은 아닐까.

 

이 영화를 보며 문득 정리해고의 문제를 떠올렸다면 그건 분명 과한 영화 감상이 될 것이다. 하지만 그 밑바탕에 깔려 있는 조직과 동료들 간의 끈끈한 정서는 분명 이 영화가 다른 어떤 액션보다 우리의 마음을 잡아끄는 이유임에 분명하다. 실로 퇴출된 직장으로 다시 돌아간다는 건 불가능한 미션처럼 여겨지기도 하니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