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해자 아닌 생존자, 무엇이 이들의 비극을 만들었나옛글들/이주의 방송 2025. 8. 20. 17:23
‘나는 생존자다’, 다 알고 있는 이야기? 우리가 제대로 아는 건 없었다
나는 생존자다 “이런 사고가 나게 되면 늘 보상이 먼저 나와요. 보상이. 생명 앞에 돈을 이야기하고.. ‘돈을, 보상을 잘해 줄게’, ‘돈 때문에 너희들 그러지?’ 이 한마디에 그냥 다 무너져 내리고..” 넷플릭스 오리지널 다큐멘터리 <나는 생존자다>에서 삼풍백화점 붕괴 참사 유족의 이야기는 못내 아프다. 그건 삼풍백화점만의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 사회가 참사를 대하는 경박하고 무례하기 이를 데 없는 태도를 콕 집어내고 있어서다.
사실상 원인이 분명히 있는 인재지만, 마치 인간이 어쩔 수 없는 천재인 것처럼 취급하고 그래서 그 진상을 규명하기보다 서둘러 보상 이야기를 꺼내며 돈으로 덮어버리려 하는 듯한 천박한 행태들이다. 그건 삼풍백화점 유족이 눈물을 꾹꾹 삼키며 피처럼 토해놓는 말처럼, 그들이 먼저 보낸 가족으로 이미 헐어버렸지만 애써 버텨내려 했던 삶의 옹벽을 또 한 번 무너뜨리는 일이다. “금전으로 목숨을 대신할 사람이 있겠습니까?”
<나는 신이다>로 사이비종교의 추악한 민낯을 적나라하게 꺼내놓음으로써 사회적 충격과 파장을 일으켰던 조성현 PD가 그 후속편으로 <나는 생존자다>를 내놨다. 총 8회로 형제복지원, JMS, 지존파 그리고 삼풍백화점을 다뤘다. 전작에 비해 유사한 사건들로 묶이지는 않지만, 대신 조성현 PD가 하나의 연결고리로서 들여다본 건 제목에 담겨있는 것처럼 ‘생존자’라는 키워드다. 그저 피해자가 아니라, 살아남은 이들이고 그 후에도 여전히 생존의 고통스런 삶을 버텨내며 살아가고 있다는 의미에서 ‘생존자’다.
당시 끔찍했던 사건들을 실제와 재연된 영상을 통해 꼼꼼히 그 진상을 담아내면서도, 생존자들과 피해자 가족들의 절절한 인터뷰가 중심이 되어 이들의 여전히 끝나지 않은 고통의 삶을 전한다. 초등학생 정도의 어린 나이에 아무 것도 모르고 경찰에게 붙잡혀 형제복지원이라는 지옥에 끌려 갔다 몸도 정신도 망가져 버린 채 현재까지도 그 시간에 멈춰 살아가는 생존자들이나, <나는 신이다>를 통해 교주 정명석의 성범죄를 용감하게 폭로했지만 그로 인해 생명의 위협까지 받은 메이플이나 조성현 PD, 또 지존파에 의해 살인 공장에 납치되었다가 9일 간의 사투 끝에 도망쳐 살아 남았지만 그 지독한 후유증에 시달리는 생존자, 그리고 30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고통의 시간을 보내고 있는 삼풍백화점 붕괴에서 살아남은 생존자들과 유족들...
<나는 신이다>가 숨겨진 사실을 꺼내놓는 폭로에 더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면, <나는 생존자다>는 이들의 고통을 들여다보면서 왜 이런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구조적인 접근도 빼놓지 않았다. 거의 홀로코스트에 가까운 형제복지원의 만행에도 불구하고, 그 폭력을 주도한 박인근 원장이 미미한 처벌을 받고 그 가족들이 지금도 호의호식하며 살고 있는 건 당시 이 사건이 군부독재의 비호 아래 이뤄졌기 때문이었다. 사건이 공개됐지만 제대로 된 진상규명 없이 유야무야 처리된 것.
그렇다면 군부독재의 시대를 지난 현재까지 제대로 된 진상규명과 사죄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건 무얼 뜻하는 걸까. 과거의 잘못과 선을 긋지 못하는 현 정부의 한계를 드러내는 것일까. 어쩌면 당장의 현실과 이익에만 집중하다 그런 일들은 이미 지나간 과거라고 생각하고 있는 건 아닐까. <나는 생존자다>는 그것이 지나간 과거가 아니라 생존자들과 유족들이 고통스런 싸움을 하고 있는 현재의 일이라는 걸 보여준다. 진심 어린 사과 한마디를 요구하는 생존자에게 비웃음을 던지는 가해자들이 존재하는 한 이건 결코 과거의 일이 될 수 없다고 이 다큐멘터리는 말하고 있다.
뒤를 돌아보지 말고 앞으로만 나아가라는 한국 사회의 강령은 개발시대 이후 끝난 게 아니라 아직도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잘 사는 것, 부유해지는 것 그래서 더 많은 돈을 버는 것이 가장 큰 가치로 여기는 그 풍조가 형제복지원, JMS, 지존파, 삼풍백화점 사건을 일으킨 근본적인 원인이다. 사건으로 발현된 증상은 저마다 달라 보이지만 그 안에 들어있는 원인은 강박에 가까운 돈과 성공, 성장에 대한 집착이 있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생존자다>가 삼풍백화점 참사를 다룬 마지막 회의 부제가 ‘돈으로 쌓은 탑’이라는 점은 의미심장하다. 보다 많은 수익을 내려는 백화점 측의 무리한 설계 변경 요구가 있었고, 이를 허가하는 대가로 뇌물을 받은 공무원들이 있었다. 또 들어가야 할 철근을 빼돌린 부실공사가 있었고, 붕괴될 위험을 이미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백화점 영업이 인명보다 중요하다 여긴 경영진들의 무책임이 있었다. 그 밑바닥에 깔려 있는 건 결국 ‘돈’이다.
형제복지원과 경찰이 공조해 무고한 아이들까지 잡아간 데는 더 많은 국가보조금과 뇌물이 있었고, JMS의 정명석이 감옥에 수감된 이후에도 이 사이비 교단이 계속 유지된 데는 2인자 정조은의 돈과 권력에 대한 욕망이 있었다. 지존파의 엇나간 폭력의 이면에도 양극화된 돈에 대한 박탈감이 존재했고, 삼풍백화점 붕괴에는 보다 많은 이윤을 남기려 무리한 설계 변경까지 하려 했던 경영진과 뇌물을 받고 이를 무마해 준 공무원들이 있었다.
그러니 가족을 잃고 절망하는 유족들에게 먼저 보상 이야기를 내놓는 건 돈이면 뭐든 다 된다고 믿는 여전한 돈 지상주의적 발상이 아니고 뭘까. 그래서 그런 비극을 과거로 빨리 밀어내고 앞으로만 가려는 행태는 광주 아파트 외벽 붕괴사고 같은 또 다른 삼풍백화점의 비극이 반복되는 이유다. 사실 생존자나 유족들도 그 끔찍했던 당시 사건들에 대해 인터뷰를 하는 건 고통 그 자체다. 그럼에도 왜 인터뷰에 응하게 됐는가를 묻는 조성현 PD의 질문에 한 유족은 이렇게 말했다. “이게 이렇게 안하면 잊어요. 우리 대한민국 사람은. 잊기 때문에 널리 좀 퍼지게 해주세요. 수고스러워도.” 그러니 보는 것만으로도 고통스러운 일이지만 우리 역시 이 사건들을 눈 부릅뜨고 바라볼 필요가 있다. 잊지 않기 위해서, 또 다시는 이런 일들이 반복되지 않아야 하므로.(사진:넷플릭스)
'옛글들 > 이주의 방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존경스럽다”, 기안84여서 가능했을 셰르파 체험의 뭉클함 (1) 2025.05.22 진과 지예은 아니었으면, 기안84의 상상 현실가능 했을까 (1) 2025.04.26 ‘대환장 기안장’, 기안84의 만화적 상상은 어떻게 현실이 됐을까 (2) 2025.04.14 성시경과 고로상의 만남, ‘미친 맛집’이 한일 양국에서 뜨거운 이유 (1) 2025.03.06 ‘슈팅스타’, 축알못도 K리그에 빠뜨리는 축구 예능의 탄생 (0) 2024.12.16